환율 올라 좋겠다고? 외국살이 더 힘겨워요

불황이 해외 이주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록 2009.02.28 17:24수정 2009.03.11 15:11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2년전 1달러에 600하던 환율이 오늘(2월 27일) 1000원을 찍었다 ⓒ 야후 환율 정보


2006년 싱가포르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 싱가포르 1달러는 600원이었다. 싱가포르에서 이주노동자 생활을 하겠다고 연봉계약을 마무리 지을 때, 600원을 기준으로 한국에서 받는 월급보다 약간 많이 받는 수준에서 합의를 봤다.


2009년 2월, 1달러는 1000원이다. 연봉 인상이 전혀 없었다 하더라도 환율 변화 만으로 2년 반 만에 연봉이 60% 인상된 거나 마찬가지다. 부러움과 시샘 섞인 눈길이 바다 건너 이곳까지 느껴진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산수다.

싱가포르에서 번 돈을 전액 한국에 송금한다면 연봉이 60% 인상된 게 맞다. 하지만 여기서 번 돈, 여기서 다 쓰고 그것도  모자라 한국에서 돈을 가져와야 한다면 사정이 정반대다. 경기가 좋을 때는 회사에서 월급 외에 싱가포르 집세와 학비를 지원했었다. 경기한파의 한가운데 서 있는 지금, 집세는 깎였고 학비는 나오지 않는다. 월급이 대폭 삭감된 건 물론이다.

경기가 좋을 때 회사에서 지원된다는 이유로 경비시설이 잘 되어 있는 콘도를 구하고, 아이들을 그 비싸다는 국제학교에 보냈는데, 지금은 그 비용을 월급에서 충당하게 생겼다. 당장 집세가 싼 공공아파트(HDB)로 옮겨야 하지만 계약기간이 남아 있어(계약기간 이내에 옮기려면 3개월치를 물어주고 나가야 한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를 뿐이다. 아이들 다니는 학교도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싱가포르 공립학교로 옮기기로 했는데, 아이들은 친구들과 헤어진다는 사실에 실망해 맘이 많이 상해 있다.

싱가포르에서 외화를 벌어 한국에 보내는 게 아니라, 한국에서 돈을 가져와서 써야 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직장을 구해서 온 이주노동자들 대부분이 나와 비슷한 처지다. 한국인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학비가 싼 공립학교로 옮기는 방법이나 환전 싸게 하는 방법 등을 묻는 글들이 자주 눈에 띈다. 다들 형편이 어려워 인터넷 벼룩 시장에도 팔려고 내 놓는 물건들이 꽤 많다.

지금 상황을 절망케 하는 건 환율이 아니라 한국


a

싱가포르 한인커뮤니티 사이트의 게시판 - '외환거래는 할 수 없'다는 공지를 비웃듯, 환전문의가 게시판 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이봉렬


여기가 끝이 아니다. 복리후생 제도를 없애고, 월급을 삭감하고도 현상유지가 어려운 회사들은 일찌감치 감원에 나섰다. 싱가포르에서 제일 안정적이라던 DBS(은행)가 작년 말 900명을 감원한 소식은 싱가포르에 충격을 주었다. 그 이후 봇물 터지듯 진행된 각 기업들의 감원 바람이 한국인이라고 피해 가지 않았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금융과 IT 업종 회사에서는 현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한국인을 우선적으로 내 보내기도 했다. 회사를 그만두면 한 달 안에(경우에 따라 최대 석 달) 싱가포르를 떠나야 하기 때문에 급하게 짐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가는 이들 소식이 곳곳에서 들려 온다. 함께 지내던 이웃이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고 한국으로 떠나는 걸 지켜보는 남은 이들의 마음이 편할 리가 없다.

싱가포르를 언제 떠나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그리고 올라 버린 환율에 한 푼이라도 아낀다는 심정으로 다들 허리띠 조이기에 나서는 형국이다. 외식을 줄이고, 택시 대신 버스나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는 건 기본이다. 덕분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사하던 한국 식당이 타격을 입고 있다. 손님을 끌기 위해 식당마다 경쟁적으로 가격을 낮추고 있다. 한 병에 25달러(2만5천원) 하던 소주 한 병을 10달러(1만원)까지 낮춰 파는 곳까지 나왔다. 그럼에도 장사가 안 돼 매물로 나온 한국 식당도 꽤 많아졌다.

그래도 싱가포르에서 돈을 버는 이주노동자는 낫다. 아이들 조기 유학 때문에 기러기 가족 생활을 하는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훨씬 심하다. 미국이나 캐나다보다 싸고 가까워서 2006년 전후로 수많은 기러기 가족들이 싱가포르에 왔다. 유학비용을 계산할 때 1달러에 600원으로 하고 예산을 세웠는데 1000원이 되어버린 지금, 앉아서 돈을 떼이는 기분에 다들 환율 떨어지기만을 손꼽아 기다릴 뿐이다. 환율 하락의 기대를 접은 기러기 가족들은 다시 짐을 싸서 한국으로 돌아가는 중이다.

하지만 싱가포르 한국 이민자로서 지금 상황을 절망케 하는 건 싱가포르의 경제상황이나 환율이 아니라 바로 한국이다. 인터넷이나 방송을 통해 확인하는 한국의 소식은 싱가포르 상황에 못지 않게 나쁘기만 하다. 마이너스 성장과 더불어 나빠지기만 하는 고용의 질, 너무도 비교육적인 교육 현실, 용산참사로 대표되는 약자에 대한 횡포, 찾을 길 없는 사회안전망 등, 도무지 한국으로 돌아가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발 딛고 사는 남의 땅에서는 자꾸만 등을 떠밀고, 언젠가 돌아 가야 할 내 땅은 도무지 정이 가지 않으니…, 불황은 이민자들을 오갈 데 없는 국제 난민으로 만들고 있는 중이다.
'싱가포르를 곧 떠나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내 말에 아내는 이렇게 대답한다.

"한국만 아니면 어디서든 새로 시작해 볼 수 있을 거야."

덧붙이는 글 | '불황이 OOO에 미치는 영향' 응모글


덧붙이는 글 '불황이 OOO에 미치는 영향' 응모글
#불황 #환율 #싱가포르 #기러기아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단독] 김건희 일가 부동산 재산만 '최소' 253억4873만 원
  4. 4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