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해' 뒤 괄호 '동해'라고 넣어달라 구걸...쓸개가 있니?

'한국해' '동해' 우리나라 동쪽 해역의 명칭에 관해 정치권 등 논의 필요성 제기

등록 2009.04.10 08:41수정 2009.04.10 08:41
0
원고료로 응원

 자유선진당 대변인 박선영 의원(비례대표)은 집무실에 1785년 발행된 영국 고지도를 걸어두고 있다. 우리나라 동쪽 바다를 '한국해'라고 표기한 지도다. 이 방을 찾는 이들 대부분은 박 의원으로부터 한국해와 관련한 우리 외교의 '생각 없음'을 지적하는 얘기를 듣게 된다.

 

 "독립국가로서 말이 되는 얘기인가요? '일본해' 뒤에 괄호하고 한국해도 아닌 '동해'라고 써달라고 구걸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속이 터지지요. 지난 번 국감 대정부질의에서도 터뜨렸지요."

 

a

박선영의원실 고지도 박 의원이 '한국해(Sea of Korea)'가 명기된 영국 발행 고지도를 기리키며 우리나라 동쪽 해역의 명칭에 관해 얘기한다. ⓒ 여의도통신

▲ 박선영의원실 고지도 박 의원이 '한국해(Sea of Korea)'가 명기된 영국 발행 고지도를 기리키며 우리나라 동쪽 해역의 명칭에 관해 얘기한다. ⓒ 여의도통신

 이 지도 발행 당시 영국은 지금의 미국과 같은 수퍼파워였다, 우리의 지도 뿐 아니라 그 무렵 국제 공인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의 지도까지 이렇게 표기하고 있는 한국해를 포기하는 이유가 뭐냐 하는 질타다. 왜 스스로 일본의 억지에 말려드는지를 따지는 것이다.

 

 지도 전문 사설박물관인 호야지리박물관(강원도 영월)의 양재룡 대표도 고지도 등 많은 사료로 볼 때 동해 표기는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확인되고 있는 16~18세기에 걸쳐 제작된 세계지도에는 한반도 동쪽 해역이 한국해 또는 조선해로 명기돼 있다. 러․일전쟁(1904~1905년) 이후 일본은 이 지역을 일본해로 명기해 왔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 조선해 한국해라는 명칭을 버리고 동해로만 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 대표는 독도문제가 국제사법적인 쟁점이 될 경우, 일본해를 주장하는 일본과 동해를 주장하는 한국의 논리 중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이 있을 것인가 하는 지적을 펴기도 한다.

 

 사실 동해라는 명칭은 역사적으로 창해(蒼海) 조선해 한국해 등 여러 이름과 함께 한반도의 동쪽 바다를 이르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동해 명칭은 '삼국사기'에 적힌 것이 처음이다. 역사성도 있고 서해 남해와 함께 '우리의 바다'라는 주체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도 읽을 수 있다.

 

 이 바다를 일본해라며 억지를 부리는 일본의 존재만 없다면 동해로 불러도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강압적으로 지배하던 일본이 벌인 '공작'으로 우리 앞바다가 상당수 세계지도에 일본해로 적히게 된 내역을 생각한다면, 동해보다 한국해가 더 적절하다는 정치권이나 전문가들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일 이들도 많겠다.

 

 항해안전 지원을 위한 정부 간 기술자문기구로 만들어진 국제수로국(IHB) 회의에서 일본은 당시 그들의 식민지였던 한국의 동쪽 바다를 일본해라고 주장했다. 이 영향으로 1929년 IHB가 발간한 '해양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라는 지도책에 이 바다가 일본해(Japan Sea)로 표기된 것이 그 후 세계 주요 지도에 일본해로 실리게 된 근거다.

 

 우리나라는 1957년 IHB의 기능을 물려받은 국제수로기구(IHO)에 가입하면서 잘못된 명칭을 바로 잡아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역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 상황에서 '일본해' 표기를 '일본해(동해)'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리 외교의 전략이 박선영 의원의 말마따나 '구차하고 주체성도 없다.'는 힐난과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2007년 IHO총회에서 우리나라는 명칭이 합의된 바다만으로 4판 1권을 내고, 동해처럼 합의되지 않은 바다를 모아 추후 2권을 내자는 의장 제안을 이끌어냈다. 동해 표기 문제는 2012년 IHO총회에서 세계무대에 재등장할 전망이다.

 

 애국가에도 그 이름이 등장하는 동해 또는 한국해는 한국과 러시아의 연해주 사할린 섬, 일본 열도 등으로 둘러싸인 남북 길이 1,700㎞, 동서 최대 길이 1,100㎞, 수심 평균 1,361m의 해역이다. 대한해협으로부터 난류가 올라오고 연해주로부터 한류가 내려와 만나기 때문에 황금 어장을 이룬다. 오늘날 세계 4 대 어장 중 하나인 북태평양 서부 어장의 중요한 일부이기도 하다.

 

 독도 주변 해저에는 미래의 연료로 주목받는 '불타는 얼음' 하이드레이트가 대량 매장되어 있다고 하여 새롭게 주목을 받는다. 군사적, 지정학적(地政學的) 중요성도 크다. 1900년대에 러시아는 부동항(不凍港) 블라디보스토크 항을 건설하고 동쪽으로 진출을 추진했다. 이를 경계한 일본이 함대를 보내 이 해역에서 러시아 함대를 격침시켰다. 러ㆍ일 전쟁이다.

 

 우리의 귀한 바다다. 중요성에 걸맞은 명칭이 중요하다. 그친 적이 없는 일본의 침탈행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이유다. 이에 앞서 '동해'냐, '한국해'냐 하는 명칭의 문제에 관해서도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겠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여의도통신과 자서전학교(www.mystoryschool.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의도통신 편집위원입니다. 

2009.04.10 08:41 ⓒ 2009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여의도통신과 자서전학교(www.mystoryschool.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의도통신 편집위원입니다. 
#동해 #독도 #한국해 #일본 #외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동아일보 등에서 일했던 언론인으로 생명문화를 공부하고, 대학 등에서 언론과 어문 관련 강의를 합니다. 이런 과정에서 얻은 생각을 여러 분들과 나누기 위해 신문 등에 글을 씁니다. (사)우리글진흥원 원장 직책을 맡고 있기도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4. 4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