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항구 블라디보스토크

[영웅 안중근 14] 둘째마당 - 하얼빈행 열차를 타다

등록 2010.10.06 13:47수정 2010.11.12 20:25
0
원고료로 응원
기자는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과 경술국치 100년을 앞두고, 우리 근현대사에 가장 위대한 애국자 안중근 의사의 유적지인 러시아 크라스키노,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포브라니치나야, 중국 쑤이펀허, 하얼빈, 지야이지스고(채가구), 장춘, 다롄, 뤼순 등지를 지난해 10월 26일부터 11월 3일까지 아흐레간 답사하였습니다. 귀국한 뒤 안중근 의사 순국날인 2010년 3월 26일에 맞춰 눈빛출판사에서 <영웅 안중근>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냈습니다.

2010년 경술국치 100년에 즈음하여 <영웅 안중근>의 생애를 다시 조명하는 게 매우 의미 있는 일로 여겨져, 이미 출판된 원고를 다소 손보아 재편집하고, 한정된 책의 지면 사정상 미처 넣지 못한 숱한 자료사진을 다양하게 넣어 2010년 11월 20일까지 43회 연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랍니다. - 기자말 
 
a

블라디보스토크 군항 전경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 군항 전경 ⓒ 박도

[제4일 2009년 10월 29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차를 타고 하얼빈으로 떠나는 날이다. 열차는 오후 5시에 떠나기에 모처럼 시간 여유가 많은 날이었다. 그래서 블라디보스토크 관광과 어제 전망대에서 날이 저물어 블라디보스토크 항 전경 사진을 산뜻하게 찍지 못했기에 그곳에 가서 다시 촬영하기로 했다.

 

아침도 늦게 먹었는데도 안개가 자욱하여 밥상에서 차담을 길게 나누며 마냥 늑장을 부렸다. 사흘간 안내비를 묻자 조씨는 미화로 600달러를 요구했다. 사흘간 휘발유 값 등 잔비용은 내가 미리 서울에서 준비한 루불화로 셈했는데 예상보다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가 아니라면 어찌 연해주 일대를 편케 답사할 수 있으랴. 더욱이 당신 집에서 이틀 밤이나 묵지 않았는가. 나는 그가 요구한 대로 지참한 비상금에서 달러를 꺼내 셈해 드렸다. 오전 10시 30분에 사흘간 수고를 해준 부인에게 깊은 절을 하고는 조씨 집을 나섰다.

 

a

러시아 초등학생들의 현장학습 ⓒ 박도

러시아 초등학생들의 현장학습 ⓒ 박도

꽃을 파는 청년

 

블라디보스토크 시내로 가는데 그 시간까지도 안개가 짙었다. 도로 중간에는 트럭에다 꽃을 싣고는 거리로 나와 꽃다발을 들고 파는 청년들이 드문드문 보였다. 러시아인들은 어딘가 궁색해 보이지만 그런 가운데도 삶의 여유가 있어 보였다.

 

조씨는 처가가 함경도 성진인 탓인지 북한을 대여섯 차례 방문하고 남한도 두어 차례 다녀왔다고 하면서 남북한을 훤히 꿰뚫고 있었다. 그에게 통일 전망을 물었더니 그는 "남북통일에 앞서 서로 자유로운 만남과 왕래가 우선이지요"라는 매우 현실적인 대안을 얘기했다.

 

우리 속담 "쌀독에서 인심난다"란 말처럼, 북한의 경제가 어려워지자 그쪽과 내왕도 뜸해진다는 속내도 털어놓았다. 도로 양편 가로등 기둥에는 온통 한국 LG 로고 깃발이 휘날렸다. 조씨는 블라디보스토크 부유층들의 가전제품은 대부분 한국전자제품이라고 귀띔했다. 

 

시내로 가는 길에 1937년 블라디보스토크 일대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떠난 페에르와야리치카 역을 들렀다. 어제 본 라즈돌노예 역과 함께 고려인들이 화차에 실려 떠났던 단장(斷腸, 몹시 슬퍼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의 역이었다고 했다.

 

a

지난날 고려인들이 강제이주 출발역인 페에르와야리치카역 ⓒ 박도

지난날 고려인들이 강제이주 출발역인 페에르와야리치카역 ⓒ 박도

요즘도 이 역에서는 승객보다 화물을 더 많이 취급한다는데 그때 고려인들은 블라디보스토크 역이 아닌 이들 두 역에서 완전히 화물취급을 당한 모양이었다. 망국민은 '망국노(亡國奴)'라고 해외에서 겪는 고통은 차마 말할 수 없는 고통이었다고 일제강점기 때 상해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이종찬 전 국정원장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후손의 증언을 들은 적이 있었다. 

 

a

극동대학교 한국학관 ⓒ 박도

극동대학교 한국학관 ⓒ 박도

남북이 서로 화합해야

 

어제 둘러본 신한촌 일대를 다시 살피는데 고양이 한 마리가 휙 지나쳤다. 얼핏 보니 무늬는 달랐지만 모양새가 내 집 고양이와 비슷했다.

 

내 집 고양이 카사는 러시안 블루종인데 아마도 고향이 이 일대인가 보다. 이제는 사람도 동물도 국경 없이 돌아다니며 사는 글로벌시대임을 새삼 절감케 했다.

 

이 고장 독립지사 장도빈 선생을 기리기 위해 그의 아들 고합 장치혁 회장이 세웠다는 극동국립종합대학 내 한국학대학을 잠시 들렀다.

 

그 대학 블라디미르 교수는 러시아인이지만 우리말이 매우 능숙했다.북한 김일성대학에서도 강의했다고 한다. 내가 남북한의 평화통일 방안을 묻자 그는 "서로 불신을 없애고, 남북이 서로 대립을 지양하며 화합해야 합니다"라고 매우 원론적인 얘기를 했다.

 

a

극동대학교 블라디미르 교수 ⓒ 박도

극동대학교 블라디미르 교수 ⓒ 박도

안중근 의사에 대한 평을 해달라고 부탁하자 "러시아 입장에서는 한국인들처럼 크게 평가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중근의 거사로 러일회담이 깨어졌을 뿐 아니라, 안 의사가 동양 평화를 위했다고 하지만 결과는 평화가 오지 않았다. 나라 잃은 인민으로 그 행동은 이해되지만 개인적인 응징보다 조직적인 투쟁단체나 당(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도 여러 번 다녀왔다고 하기에 마무리 말로 한국인의 장단점을 물었다. "한국인은 대단히 창의적입니다. 그런 장점에 견주어 자기만 생각하는 경향, 곧 개인 이기주의가 강하게 보였습니다" 짧은 대담이었지만 정곡을 찌르는 말로 들렸다.

 

어제 지나간 신한촌(현, 하바롭스크 거리)과 개척리(현, 포브라니치나야 거리)를 다시 지나가면서 만일을 위해 다시 언저리 풍경을 카메라에 부지런히 담았다.

 

a

독립운동가 장도빈 선생 흉상 ⓒ 박도

독립운동가 장도빈 선생 흉상 ⓒ 박도

군항 블라디보스토크

 

다음 발걸음이 멈춘 곳은 군항 블라디보스토크 요새지. 그곳은 지난 세기를 주름잡았던 각종 무기들의 전시장이었다. 블라디보스토크 항을 지키는 고사포와 각종 어뢰, 장갑차, 로켓포 등이 지난날 러시아 해군의 막강한 위력을 말해주는 듯했다.

 

거기서 다시 블라디보스토크 항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로 갔으나 항구를 덮은 안개로 아름다운 군항 블라디보스토크는 끝내 산뜻하게 카메라에 담을 수 없었다. 안개 낀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이곳저곳을 향해 수십 번 셔터를 눌렀으나 나중에 한 컷이라도 건질지 모르겠다. 나의 안달에 조씨는 블라디보스토크 일대 경치를 담은 사진엽서를 한 시트 구해 줬지만 어찌 내 손으로 찍은 사진과 비교하랴.

 

a

블라디보스토크 군항 요새의 대함포와 기뢰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 군항 요새의 대함포와 기뢰 ⓒ 박도

 

a

블라디보스토크 군항에 전시된 퇴역 잠수함정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 군항에 전시된 퇴역 잠수함정 ⓒ 박도

전망대를 내려와 블라디보스토크 부두로 갔다. 가는 길에 제정러시아 시절 니콜라이 황태자가 일본을 방문한 뒤 귀국한 것을 기념한 개선문을 지나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는 박물관을 거쳤다.

 

a

블라디보스토크의 개선문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의 개선문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는 군항답게 각종 군함이 정박하고 있었는데 한쪽에서는 러시아의 강태공들이 낚싯대를 바다에 드리우고 세월과 고기를 한꺼번에 낚고 있었다. 거기서 가까운 거리에 러시아 태평양함대사령부 깃발이 휘날렸고 그곳 옆 빈 터에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위용을 떨치던 잠수함이 그 임무를 마치고 부두에 올라와 관광객들에게 지난날의 전과를 한껏 자랑하고 있었다.

 

부두 옆 광장에는 노천시장이 있었는데 각종 농산물과 수산물이 넘쳤다. 시장 풍경은 어느 나라나 비슷했다. 그 광장 벽면에는 '극동 소비에트 주권을 위한 투사들'이라는 비문 아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만 명의 전사자 이름이 석판에 새겨져 있었다. 이로써 연해주 일대에서 답사 일정은 모두 끝났다. 남은 일정은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떠나는 일만 남았다.

 

a

블라디보스토크 부둣가 시장 ⓒ 박도

블라디보스토크 부둣가 시장 ⓒ 박도

2010.10.06 13:47 ⓒ 2010 OhmyNews
#군항 블라디보스토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