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과 삶과 자연을 지식으로 다루는 사람

[그림책이 좋다 95] 버지니아 리 버튼, <생명의 역사>(시공사,1997)

등록 2010.10.22 14:20수정 2010.10.22 14:20
0
원고료로 응원
a

겉그림. ⓒ 시공사

겉그림. ⓒ 시공사

― 생명의 역사

 (버지니아 리 버튼 글·그림,임종태 옮김,시공주니어 펴냄,1997.4.26./1만 원)

 

가을로 접어들면서 자전거를 타고 읍내로 마실을 다녀올 때에 얼굴이 몹시 까칠해집니다. 찬바람 쐬며 땀이 흘러 마르니까 얼굴이 아주 뻑뻑하면서 당깁니다. 이제 겨울 문턱을 넘어서면 얼굴이 더 까칠해지고 당길 테지요. 따스하며 시원했던 철은 지났습니다. 앞으로 여러 달 동안 추우며 고단한 철을 보내야 합니다. 마냥 따스할 수 있으면 한결 낫다 여길 수 있으나, 따스한 철만 보내다가는 갖가지 벌레에 시달립니다. 땅도 쉬고 사람도 쉬며 뭇목숨 모두 쉴 겨울을 고맙게 맞아들이고 싶습니다.

 

겨울로 접어든 뒤로는 자전거를 타고 읍내 마실을 하기 꽤 힘들밖에 없습니다. 눈이 소복소복 내리면 자전거로 내리막을 달릴 때 얼마나 아슬아슬할까요. 아니 눈이 옴팡 쌓인 철에 시골버스는 다닐 수 있을까 모르겠군요. 아마 공무원들이 길에 염화나트륨을 뿌리느니 무어니 하겠지요. 자동차 오가는 길만 걱정하고, 이 염화나트륨이 땅으로 스미면 우리가 마실 물을 더럽힐 뿐 아니라 우리들 먹을거리를 얻도록 너른 품을 내어주는 흙을 망가뜨리는 줄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인천에 볼일을 보러 가는 길에 서울에 들릅니다. 아는 분들을 만나 함께 움직이느라 택시를 탑니다. 광화문 앞쪽에 새로 마련한 자전거길에 택시가 들어섭니다. 길이 하도 막혀 택시기사는 어찌어찌하다가 그만 자전거길에 올라섭니다. 택시 뒤로 자가용 두어 대가 뒤따릅니다. 앞에 택시가 자전거길에 접어들었으니 당신들도 슬그머니 자전거길을 타고 싶겠지요. 꽉 막힌 찻길에서 벗어나고픈 듯합니다. 오토바이 한 대가 자전거길을 씽 하니 내달립니다. 택시기사 아저씨를 보며 말을 겁니다. 싱긋 웃으며 "이 택시에 탄 사람들이 자전거를 몹시 좋아하는데, 자전거를 타고 있었으면 아마 이 택시보고 무어라 무어라 했을는지 몰라요." 하고 이야기합니다. 택시기사 아저씨는 뚱딴지 같은 말을 합니다. "자전거 가운데 800만 원이 넘는 자전거가 있다면서요?"

 

엊그제 프란츠 알트 님 책을 하나 읽었습니다. 프란츠 알트 님은 온갖 통계와 자료를 섞어 '스스로 망가지는 길을 걷는 지구사람'을 걱정하는 글을 씁니다. 책을 읽는 내내 그다지 고개를 끄덕이지 못합니다. 틀림없이 하나같이 맞는 이야기입니다만, 굳이 통계와 자료를 대지 않아도 될 텐데요. 이런저런 숫자를 드러내어 알리지 않고 프란츠 알트 님이 살아가며 겪거나 부대낀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한결 아름다울 텐데요. 이를테면 자동차를 사는 데에 드는 돈과 정부가 자동차길을 닦는 데에 쓰는 돈이 얼마나 되며, 이 돈을 공공교통으로 바꾸면 돈을 얼마나 아낄 수 있으며 환경을 얼마나 지킬 수 있느냐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를 읽으며 고개를 끄덕이고 지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도시에서 자가용을 타고 더 빨리 이곳저곳 오가려고 하는 얼거리를 더욱 깊이 파헤쳐서 이러한 얼거리를 사람들 스스로 끊을 뿐 아니라, 스스로 참 아름다움과 참 사랑으로 거듭날 새 삶을 밝힐 수 있으면 훨씬 기쁘며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환경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타라는 자전거는 아니니까요. 지구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생태에너지를 찾거나 햇볕힘을 받아들여 전기로 쓰자는 움직임이 아니니까요.

 

버지니아 리 버튼 님이 일군 놀라운 그림책 가운데 하나라 하는 <생명의 역사>를 읽습니다. 1997년에 우리 말로 옮겨진 이 책은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하고 <작은 집 이야기>와 함께 널리 사랑받습니다. 세 가지 그림책 모두 훌륭합니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렇게 그림책을 그려낼 그림쟁이가 태어날 수 있기를 빌어 마지 않습니다.

 

그런데 요즈음 들어 <생명의 역사>라는 그림책은 썩 달갑지 않습니다. 이 그림책을 처음 알아본 2000년에도 <작은 집 이야기>는 꽤 살갑다 생각했으나 <생명의 역사>는 그린이 스스로 '어느 한쪽에 치우친 생각'을 지나치게 큰 이름을 담아 내놓지 않았나 하고 보았습니다. 영어로 나온 책에는 "Life Story"라는 이름이 붙더군요. 삶을 이야기한다라. 그래요, 삶일 테지요. 그러면 누가 꾸리는 삶이고 어디에서 일구는 삶이며 어떻게 가꾸는 삶일는지요. 어떠한 눈길과 눈높이에서 바라보는 지구 역사이고 우주 역사이며 자연 역사일는지요.

 

<생명의 역사>라는 이름으로 옮긴 그림책입니다만, 이 그림책 무대는 '지구'도 '생명'도 아닌 '미국'입니다. 더구나 미국이라는 나라 발자취를 훑으면서 정작 미국땅에서 '흰둥이보다 오래 살아온 누렁둥이' 겨레 이야기는 한 구석에도 깃들지 않습니다. 대륙이 갈라지고 공룡이 뛰놀고 하는 이야기를 연대에 따라 차곡차곡 적바림한다고 해서 "생명이 거친 발자취"를 다룬다고 할 수는 없다고 느낍니다. 풀꽃 한 송이를 다룰 수 없다면, 나무 한 그루를 보듬지 못한다면, 땅과 하늘과 물과 바람을 사랑하며 스스로 흙과 같이 살아온 목숨붙이 '미국땅 옛 토박이 겨레' 삶을 읽거나 어깨동무하지 못한다면 부질없는 "생명의 역사"가 될 뿐 아닌가 싶습니다.

 

예나 이제나 제도권 초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거나 배우는 역사란 '왕조를 이룬 권력자' 눈길에서 바라본 모습에서 헤어나지 않습니다. 임금님 이야기와 권력자와 지식인 이름만 잔뜩 싣는 교과서입니다. 예부터 무척 오랫동안 이 겨레 이 나라에는 권력자나 지식인이나 임금님보다 '땅에 몸을 붙이며 농사를 짓거나 바다를 품에 안으며 고기잡이를 한' 여느 사람이 훨씬 많았습니다. 아니 99퍼센트는 농사꾼이요 1%만이 농사꾼 아닌 사람이었겠지요. 교과서에는 안 실리고 역사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는 여느 사람 농사꾼이 바로 이 겨레 이 나라를 살찌우며 이어온 발자취입니다. 역사예요.

 

2010년대로 접어든 오늘날 농사꾼을 찾아보기는 매우 힘듭니다. 도시에서 차를 타고 한참 벗어나 들판을 만난 뒤에라야 겨우 찾아볼 농사꾼입니다. 오늘날 한국땅 여느 사람 여느 일꾼은 회사원이거나 공무원입니다. 누구라도 밥을 안 먹으면 살 수 없고, 물을 안 마시면 목숨을 이을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한국땅에서 땅을 사랑하고 하늘을 고맙게 올려다보는 농사꾼은 줄어들기만 합니다. 참다이 농사를 짓고자 하는 사람은 굶어죽을 판인데, 참다운 농사가 아닌 비료농사와 농약농사를 짓더라도 숨통이 막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배추값이 비싸다고 법석입니다만, 스스로 배추씨를 심어 밭에서 배추를 기르고 배추벌레를 잡으며 비와 햇볕한테 고개 숙이는 가운데 여러 달에 걸쳐 배추 한 포기를 얻어 보셨나요. 손수 농사지어 배추를 마련하여 먹어 본 사람이라면 배추값이 비싸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아니, 말할 수 없겠지요. 유기농 곡식이나 푸성귀는 돈있는 사람만 사다 먹는다고요? 돈이 아니라 생각이 있는 사람이어야 비로소 유기농 곡식이나 푸성귀를 사다 먹거나 스스로 농사를 지어 밥을 해 먹습니다. 우리는 머리속에 갖가지 지식은 참 많이 집어넣습니다만, 바야흐로 삶이 될 이야기는 담지 못해요. 삶이어야지요. 지식이 아닌 삶이어야지요. 삶을 다루는 지식이어야 하고, 삶을 사랑하는 지식이어야지요.

 

배추값이 비싸다고 하지만, 배추 한 포기를 김치로 담가 놓으면 며칠 동안 먹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한 사람이 한 해 동안 먹을 수 있는 배추는 몇 포기쯤 될까요. 내가 먹을 배추를 내가 심어 기른다 한다면 몇 포기를 심어서 기르면 되고, 이만 한 배추를 기르자면 밭이 몇 평쯤 되어야 할까요. 내가 먹는 밥을 농사지으려면 벼를 얼마나 거두어야 하고 나한테는 논이 몇 평쯤 있어야 할까요.

 

스스로 농사를 지어 밥살림을 할 수 있다면, 저마다 내 논밭으로 '참 작은 땅'이 있어도 넉넉할 뿐 아니라 넘쳐서 남으니까 이웃한테 절로 나누어 줄밖에 없습니다. 애써 톨스토이 님 작품을 들지 않더라도 나 스스로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한 사람한테는 참 작은 땅이 있어도 즐거이 먹고삽니다. 한 사람은 대단히 큰 돈이 있어야 즐겁게 살아갈 수 있지 않습니다. 한 사람 두 사람 세 사람 네 사람, 조촐하게 한식구를 이룰 때에도 그렇게까지 넓은 땅을 갖고 있어야 하지 않아요. 아파트를 장만한다든지 큰차를 마련한다든지 해야 잘사는 나날일까요. 이름난 대학교를 나오거나 나라밖으로 배우러 다녀왔어야 멋진 나날인가요.

 

그림책 <생명의 역사>는 잘 짜 놓은 양탄자와 같습니다. 빈틈이나 허울이란 없습니다. 어설픈 겉치레나 껍데기 또한 없습니다. 아이들한테 이 그림책을 읽히며 '사람이 살아온 발자국'을 보여주는 일은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사람이든 뭇목숨이든 굵직한 흐름을 만들고자 살지는 않습니다. 나팔꽃 한살이와 잠자리 한살이에도 거룩한 목숨길이 깃듭니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는 다음과 같은 책을 써냈습니다.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양철북,2010)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호미,2010)
<사진책과 함께 살기>(포토넷,2010)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책 홀림길에서>(텍스트,2009)
<자전거와 함께 살기>(달팽이,2009)
<헌책방에서 보낸 1년>(그물코,2006)
<모든 책은 헌책이다>(그물코,2004)
<우리 말과 헌책방 (1)∼(9)>(그물코,2007∼2010)

2010.10.22 14:20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는 다음과 같은 책을 써냈습니다.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양철북,2010)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호미,2010)
<사진책과 함께 살기>(포토넷,2010)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책 홀림길에서>(텍스트,2009)
<자전거와 함께 살기>(달팽이,2009)
<헌책방에서 보낸 1년>(그물코,2006)
<모든 책은 헌책이다>(그물코,2004)
<우리 말과 헌책방 (1)∼(9)>(그물코,2007∼2010)

생명의 역사

버지니아 리 버튼 글, 그림 | 임종태 옮김,
시공주니어, 2014


#그림책 #그림읽기 #어린이책 #책읽기 #삶읽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3. 3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