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굶고 점심 폭식하던 철수, 부디 잘 지내길...

[주장] 아동 성범죄로 부끄러운 나라, 돌봄 정책 최우선해야

등록 2012.07.24 14:05수정 2012.07.24 14:05
0
원고료로 응원
2008년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돌봄 공백 상태에 있는 아동은 모두 102만5600명이라고 합니다. 벌써 4년 전 통계이니 지금은 훨씬 더 심각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사이 저소득층의 경제사정은 더 나빠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보건복지부 통계를 보면, 2011년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방임 아동 사례는 1783건으로, 2001년(672건)에 비해 3배가량 늘었다고 합니다.

가난과 맞물린 가족해체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방임되는 아이들도 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필자가 근무하는 시골학교는 전학을 오는 학생이 대부분 나빠진 경제 사정이나 부모의 이혼 등으로 조부모 집으로 보내졌습니다. 귀농을 위해 양쪽 부모가 함께 시골로 내려오는 사례는 매우 드물었습니다. 그렇게 시골로 보내진 아이들의 상처는 만만치 않습니다. 그 아이들에겐 공부보다 더 시급한 문제가 상처 치유고 돌봄입니다. 자존감이 회복되면 표정이 밝아지고 공부는 당연히 잘하게 됩니다.

이번에 살해된 경남 통영의 한아무개양(초등학교 4학년, 10살)의 사례는 해체된 가정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슬픈 일이지만 예견된 불행이었습니다. 그동안 발생한 아동 관련 성범죄의 피해자가 소외된 아동이었음을 통계 수치가 말해줍니다.

친어머니는 한양이 두 살 때 이혼했다. 건설 일용직 아버지는 새벽같이 일 나가 밤늦게 귀가했다. 열 살 위 오빠는 새벽까지 동네 통닭집에서 일하고 낮엔 잠을 잤다. 다방에서 일하는 새어머니를 3년 전 맞았지만 파리채 같은 걸로 늘 아이를 때렸다고 여러 주민들은 말했다. 그 새어머니마저 한 달 전 집을 나갔다. 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침밥을 지을 어른이 없었다.(<한겨레> 7월 24일치 <살해된 통영 초등생, 새벽 5시 전화해 "배가 고파요">)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돌봄 공백'

이 기사를 접한 오늘 아침 필자는 한참을 울었습니다. 1960년대의 가난한 이웃들, 바로 내 모습과 너무나 닮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더 나빠진 것은 이웃과의 단절입니다. 보리죽을 먹고 밀가루 수제비 죽을 나눠 먹을 망정 그때의 이웃은 돌봐주고 아껴주던 사랑과 동정이 바탕에 깔려 있어서 서로 의심하거나 범죄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습니다.

필자 역시 4살에 집을 나간 어머니, 멀리 일을 나가면 며칠 만에 집에 돌아오시던 아버지 대신 3년 동안 나에게 밥을 해먹이고 돌봐준 이웃집 복숙 할머니 덕분에 살았습니다. 아무런 대가 없이 보살펴 준 이웃을 생각하니 '아이 한 명을 키우는 데는 마을 전체가 나서야 한다'는 오래된 격언이 생각났습니다. 가슴이 먹먹했습니다. 절대 빈곤과 가족 해체의 아픔을 겪으면서도 건강하게 자랄 수 있었던 데는 바로 따스한 이웃의 사랑이었음을 생각하니 오늘 아침, 이제는 저세상에 계실 복숙할머니께 감사드리며 눈물이 앞을 가렸습니다.


필자가 가르치던 아이 중에 철수(가명)라는 아이가 있었습니다. 그 아이는 부모는 이혼하고 연로하신 할머니 밑에서 자랐습니다. 아침밥을 못 먹는지 점심시간만 되면 폭식을 했습니다. 공부에는 관심이 없고 먹을 것이나 컴퓨터 게임에 중독되어서 바로잡는 데 많은 노력을 해야 했습니다.

사랑의 결핍이 그 아이로 하여금 자극이 강한 게임에 중독되게 했고 식욕으로 충족을 느끼게 한 겁니다. 어른인 내 밥보다 거의 두 배를 먹는 아이를 지도하며 마음이 아팠습니다. 철수는 결국 할머니마저 돌아가시면서 가까운 고아원으로 가야합니다. 거기서는 밥을 굶거나 학교를 다니지 못할 걱정은 없겠지요. 가족이 없는 아픔을 잘 이기고 다른 이웃 아이들과 잘 지내기를 빌 뿐입니다.

또 다른 아이 순이(가명)도 똑같은 상황이었는데 밥을 먹지 못하여 몸이 허약했습니다. 아침 일찍 일을 나가는 아버지, 혼자서 아침을 제대로 먹을 리 없는 초등학교 2학년 아이는 자기 책가방도 잘 이기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점심시간이면 곁에 앉아서 다 먹을 때까지 엄마 노릇을 하며 토닥여주어야 토하지 않고 먹는 그런 아이였습니다.

그러다보니 몸도 작아서 다른 아이들이 따돌릴까봐 노는 모습까지 늘 관찰해야 하는 아이였습니다. 아버지가 새벽에 일 나가면 늦잠을 자곤 해서 전화를 해서 학교 차를 타게 하는 일이 빈번했던 그 아이는 새엄마를 맞으면서 읍내 학교로 전학을 갔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부디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면 합니다.

필자가 근무했던 학교는 대부분 시골 학교였습니다. 그런데 방학할 때가 되면 아이들은 시무룩합니다. 방학이 싫다는 아이들이 대부분입니다. 동네에 친구들이 없고, 부모는 일을 나가니 컴퓨터와 텔레비전이 친구가 되는 시골 동네의 지루함이 싫은 겁니다. 거기다 점심마저 제대로 먹지 못하거나 대충 먹으니 학교의 점심시간이 좋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들은 딱 일주일만 방학을 하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놀아줄 부모도 형편도 안 되는 지루한 방학이 싫은 아이들이 가엾습니다.

'돌봄 안전망' 갖춰야 진정 잘 사는 나라

2008년 국가청소년위원회가 13살 미만 아동 대상 성범죄 2800여 건을 분석한 결과, 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각은 하교 뒤 부모가 집으로 올 때까지의 공백시간인 오후 2~5시로, 이 시간에 총 819건(29.3%)의 범죄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는 방과 후 돌봄 교실을 운영하고 학교에서 하교하는 시간에 맞춰서 돌봄 교실에서 저녁 식사까지 해결하는 시스템이라서 일하는 부모님들의 호응도가 높습니다. 친구들과 숙제도 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취미 생활도 가능하고 배고픔까지 해결한 뒤 가정으로 인계되고 있으니 공백기를 최대한 줄인 것으로 지자체(영암군청)와 전라남도교육청의 노력이 돋보이는 대목입니다.

이처럼 학교에서 운영하는 방과 후 돌봄 교사가 끝나는 시각에 맞춰서 지역의 돌봄 교실로 바로 연계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모든 지역에 일반화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가 매우 심각한 나라입니다. 특히 시골에서는 아기들의 울음소리를 듣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힘들게 살면서 얻은 소중한 아이들을 너무 쉽게 잃는 일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가난으로 해체된 가정, 사랑의 결핍도 아픈데, 배고픔으로 우는 아이들을 죽이는 성범죄까지 난무하여 동네가 무섭고 이웃집이 무섭다면 그것은 지옥입니다.

잘 사는 나라의 표지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동 성범죄 기사가 신문의 1면을 장식하는 나라는 결코 잘 사는 나라가 아니라 부끄러운 나라이자 슬픈 나라입니다. 어떤 예산보다 앞서서 아동 돌봄 유지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합니다.

소중한 아이들이 더 이상 울지 않고 죽음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안전망을 설치해주시길 정책 당국에 호소하는 바입니다. 지금 당장은 표가 나지 않지만 길게 보면 가장 절실한 정책입니다. 아이들을 사랑하는 나라, 아이들을 소중히 여기는 정책에 예산과 인력을 시급히 배치해줄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합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한교닷컴, 전남교육소식, 북랩, 부모2,0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한교닷컴, 전남교육소식, 북랩, 부모2,0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아동성범죄 #안전망 #돌봄정책 #저출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랑의 매에는 사랑이 없다> <아이들의 가슴에 불을 질러라> <쉽게 살까 오래 살까> 저자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