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성공 자화자찬? 아직 갈 길이 멀다

[주장] 교육감 선거 이후, 전면적 혁신으로 교육을 바꾸자

등록 2014.06.08 14:45수정 2014.06.08 14:45
0
원고료로 응원
a


시도지사 선거의 미묘한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교육감 선거에서는 유권자들이 명확한 판단을 내렸다. 13개 시도에서 진보교육감을 선택한 유권자들은 문제 투성이인 우리 교육이 지금보다는 좀더 진보적인 방향으로 개선됐으면 하는 마음을 드러냈다. 동시에 그것은 무기력한 정치에 기대를 거는 것보다 교육에서 희망을 찾고 싶다는 표심의 반영이기도 하였다. 여기에 세월호 참사가 가져다 준 각성이 더해졌다. 우리 아이들이 경쟁적 과잉 학습에 내몰리는 사이, 우리가 잊고 지낸 것이 얼마나 많았는지 하는 사실 말이다. 그것은 바로 좋은 대학, 좋은 직장 이전에 '귀한 삶'을 살 권리에 대한 자각이다.

또한 국민들은 세월호 참사 수습 과정을 지켜보면서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언제든 권력과 자본에 의해 내 귀한 삶이 훼손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꼈다. 단지 그것을 어린 삶들의 참혹한 희생을 댓가로 알았을 뿐이다. 미안한 마음이 말할 수 없이 컸을 것이다. 미안한 마음이 교육을 바꾸어야 한다는 의지로 바뀌었고, 마침내 전국에 걸쳐 진보 교육감을 탄생시키는 에너지가 되었다. 간단치 않은 이 같은 의미를 교육감 당선자들은 알아야 한다. 자신이 얼마나 엄중한 시기에 미안함과 기대감이 섞인 표로 당선됐는지 말이다. 

지난 몇 년간 진보 교육감의 공과를 가릴 때 '교육혁신의 철학은 옳았으나, 방향이 잘못됐다'는 말을 곧잘 한다. 교육혁신의 초기 과정에서 나타났던 시행착오와 설익은 방법들, 여기에다 혁신의 주체인 교사들을 여전히 동원의 대상으로 인식한 것 등을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을 바꾸어 보면 어떨까? 교육혁신의 '방향'은 애초부터 불필요했으며 방향 운운하는 것 자체가 혁신의 주체와 대상을 나누는 발상이라는 것 말이다. 지난 몇 년간의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우리가 알게 된 것은 교육혁신의 방향과 대상을 정하는 것을 넘어 교육청과 학교가, 교육감과 교사가, 교사와 학생/학부모가 동시에 변화하는 '전면적 혁신'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이다.

보수 교육감일 때야 불만이 있으면 교육청에 몰려가 항의도 하고, 교육 황폐화의 책임을 돌리기도 했지만 이제 사정이 달라졌다. 내 손으로 뽑은 진보 교육감이 전국 17개 시도 중 13개 시도에서 교육정책을 펼친다는 사실이다. 과거에는 꿈도 꿀 수 없었던 변화이다. 특히 영남권에서 조차 진보 교육감이 교육행정을 펼친다는 것은 그 의미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더 나아가 다른 지역의 진보 교육감을 보며, 혁신학교의 성과를 부러워하며 내 지역의 보수성만을 탓했던 영남과 충청, 제주와 인천에도 교육혁신의 시대가 열렸다.

교육으로 말하자면 불모의 땅이었던 이들 지역에도 지금부터 다양한 형태의 혁신학교를 만들 수 있다.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문예체 교육을 할 수 있다. 내부형 공모 교장도 확대할 수 있다. 무상급식도 중학교를 넘어 고등학교까지 확대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수학여행 경비도 무상으로 지원될 것이다. 말로만 듣던 '보편적 교육복지'와 '교육여건의 개선', '학교업무의 정상화', '민주적 학교공동체 구축' 등의 기회가 열렸다. 무엇보다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만들어 함께 공부하고 연구하며 수업에 전념할 수 있는 토대가 닦일 것이다. 생각만해도 설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다시 물을 일이다. 지금까지 진보 교육감 지역에서 실험한 혁신학교는 대단히 모범적인가? 정말 그곳의 교사와 학생들은 행복감을 만끽하고 있는가? 그곳의 아이들은 경쟁교육을 벗어나 평화인권 교육의 수혜를 받고 있는가? 교육을 욕망 실현의 수단으로 삼는 학부모들의 의식은 혁신학교 도입으로 인해 획기적으로 변화했는가? 결론부터 말하여 지난 몇 년간 혁신교육을 도입했다고 해서 벌써 학교에 행복과 평화가 정착된 것 처럼 자화자찬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만약 그렇게 생각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보수들의 전매 특허인 성과주의에 매몰돼 눈에 보이는 뽐낼 거리나 찾는 천박한 인식일 뿐이다.

다음 선거까지 4년의 시간이 있다. 교육의 변화를 말하기엔 상당히 짧은 시간이다. 이 기간 안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싶은 유혹은 지금 당장 버려라. 새 교육감 당선자들은 이 유혹을 버리는 순간, 교육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평범한 교사와 학생이, 학부모와 시민이 보일 것이다. 바로 그곳이다. 어느 한 곳을 선택하여 모범 사례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모두를 위한 교육'을 위해선 '전면적 혁신의 철학과 플랜'이 필요하다. 특정한 몇 곳을 찍어 혁신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겠다는 것은 기존 교육부의 연구/시험학교의 논리와 다를 것이 없다. 같은 논리로 일반학교가 혁신학교보다 관심을 적게 받을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것은 가짜 혁신이거나 성과에 급급한 혁신일 가능성이 많다. 전면적 혁신은 모든 교육의 장에서 동시에 펼쳐질 때만 힘을 가질 수 있다.


내가 속한 지역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의 교육을 변화시킨다는 각오 아래 교육감들을 지금부터 굳게 연대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 교육자치의 대원칙 아래 교육부와의 관계를 대등하게 재설정해야 한다. 교육자치가 활성화된 민주국가에서 교육부는 교육을 관리, 통제, 평가하는 곳이 아니라 정성을 다해 지원하는 곳이다. 또한 교육관료들 사이에 지긋지긋하게 뿌리 박혀 있는 몹쓸 관행을 우선 걷어내야 한다. 초기 단계에서 이것에 성공할 수 있다면 혁신의 대장정에서 현장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한결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다.

자발적 참여는 무엇인가? 교육감의 정책을 군말없이 잘 수행하는 것인가? 이렇게 생각하는 새교육감이 있다면 그의 철학은 심각한 수준이다. 자발적 참여의 전제 조건은 정책 수립 단계에서부터 현장교사들을 '구체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아니라면 자발적 참여가 아니라 '고단한 동원'이 될 것이다. 교사들 역시 '편안한 현상유지' 따위의 생각은 당장 버려야 한다. 전면적 교육혁신의 큰 길에서 교사들의 진심어린 참여가 있을 때만, 교육혁신은 4년이 아니라 그 이상 학부모와 시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이 아니라면 4년 후에도 오늘과 같은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공허한 희망에 불과하다.

#교육감 #전면적 혁신 #세월호 #참여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5. 5 '김건희 비선' 의혹, 왜 자꾸 나오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