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왕자가 필요 없다'는 말, 왜 안 통할까

[주장] 여성혐오 목소리 용인하고 문제 덮는 사회... 해결은 요원

등록 2016.07.24 13:53수정 2016.07.24 16:19
31
원고료로 응원
여성의 목소리는 늘 지워진다. 성우 김자연씨는 'Girls do not need a prince'라는 문구가 담긴 티셔츠를 입었다는 이유로 넥슨의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에서 목소리를 삭제당했다(관련 기사 : 한국 게임이 또... 넥슨은 왜 죄 없는 성우를 하차시켰나).

"'싫어요, 하지 마세요'라고 말하는 여자의 말을 왜곡하지 마세요", "'성범죄 교육, 하지마!'라고 가르치는 게 우선입니다" 등 온라인 커뮤니티 '여성시대'가 현행 성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만든 지하철 광고 시안은 '항의'를 받아 내려졌다. 대체 이 목소리에 어떤 문제점이 있기에 그런 것일까(관련 기사 : 성형은 되고 성평등은 안돼? 서울메트로 광고 논란).

Girls need a prince?

a

여자는 어렸을 때부터 '왕자'와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자란다. ⓒ pixabay


여자는 어렸을 때부터 '왕자'와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란다. 이 이야기들의 주제는 'Girls need a prince'. 독이 든 사과를 먹고 쓰러진 공주를 구하러 오는 왕자의 모습이 담긴 <백설공주>, 왕자가 유리구두를 신겨주어 '계모'와 '시기심'많은 자매로부터 구출해주는 이야기인 <신데렐라>가 그렇다.

이야기의 끝은 모두 왕자가 공주를 구출해주고 결혼을 하는 것. 여성을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것은 왕자님이기에, 여자는 왕자가 필요하다. 결혼 뒤 그들의 이야기는 '행복하게 살았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여성은 '결혼'을 통해 그 행복을 유지할 수 있다는 판타지를 심어준다. 여성은 스스로 행복해질 수 없고 누군가 있어야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자에게 왕자가 필요하다는 교훈은 동화에서 그치지 않는다. 현실에서도 작동한다. 결혼할 시기에 있는 여성들이 비혼을 선언하면 주위에서는 'Girls need a prince'(여자는 왕자가 필요하다)라는 '충고'를 던진다.

"여자가 남자 없이 혼자 살 수 있겠어? 험한 세상에서 너무 위험하지 않아?"
"어차피 시간 지나면 외로워서 결혼하고 싶을 걸."
"그래도 여자가 결혼은 해야지."


분명 고민 끝에 비혼을 선언했지만, 그 결정은 받아 들여지지 않는다. 끊임없이 다시 생각해보길 '권유'한다.

너는 피해자지만 네 탓이야

a

지난 5일, 국민의당에서 열렸던 성희롱 예방 강연시간에 한 초청 강사가 '성희롱을 당하면 참고 넘어가는 것이 미덕 아니겠는가'라는 식으로 발언한 것 때문에 박지원 원내대표가 사과한 것이 며칠 전의 일이다. ⓒ 연합뉴스tv


성범죄 예방교육은 어떤가. 성범죄의 원인은 피해자의 탓이라고 가르친다. 지난 5일, 국민의당에서 열렸던 성희롱 예방 강연시간에 한 초청 강사가 '성희롱을 당하면 참고 넘어가는 것이 미덕 아니겠는가'라는 식으로 발언한 것 때문에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가 사과한 것이 며칠 전의 일이다.

교육부가 발행한 성교육 표준안에는 성폭력 예방책으로 '이성 친구와 단둘이 집에 있는 상황을 만들지 않고 친구들끼리 여행가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성희롱은 피해자가 참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가 하지 않으면 될 일이고, 성폭력의 예방책은 집에 단둘이 있더라도, 여행을 간 사람을 성폭행하지 않으면 된다.   

'Girls need a prince'에서 'Girls do not need a prince'로 변화하는 것. 여자의 말을 왜곡하지 않고,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문제의 원인과 책임을 묻는 것. 잘못되어 왔던 일을 되잡는 행동이다. '문제'는 당연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이 작업을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불편할 일이 없었던' 사람들이다. 당연시되어 왔던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잘못됐다고 말하는 것은 대개 그 일 피해를 보거나 억압받았던 사람이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낄 일이 없다. 체제 속에 있기에 피해를 볼 일이 없다. 문제는 밖에 있는 사람들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희생된다는 점이다. 가령 권력의 문제로 일어나는 성희롱을 '분위기를 띄우는' 수단으로 여기는 사회에서, 피해자가 문제를 제기하면 '농담을 진담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말을 들은 피해자는 자신을 다독거리며 참고 지나간다. 성희롱을 가볍게 여기는 사회에서 피해는 이어진다.

문제를 덮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다. 문제의 원인을 같이 찾는 것이 해결하는 것이다. 여자에게는 왕자가 필요하다고 가르치고 성범죄의 원인이 너의 옷차림에 있다고, 농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피해자의 태도가 문제라는 사회를 바꿔보자는 것일 뿐인데 무엇이 그렇게 문제인가.

불편하다고 왜 난리냐고 무시하기 전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말하는 '불편함'이 무엇인지 그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여기는 '사람'이 사는 사회가 아니던가. '사람은 경청할 줄 아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그 오래되고 당연한 이야기가 왜 여기서는 통하지 않는 걸까.
#DO NOT NEED A PRINCE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5. 5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