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이야기 팔고 싶은 PD와 기자, 정도를 지켜라

[인터뷰] 경력 14년차 시민기자 김혜원 "사회적 약자 일회용으로 소비 말아야"

등록 2017.02.11 13:55수정 2017.02.11 13:55
0
원고료로 응원
김혜원이란 이름은 특히 <오마이뉴스> 독자들에게는 그리 낯선 이름이 아닙니다. 2003년부터 시민기자로 활동을 시작, 때로는 따뜻하게 또 때로는 예리하게 자신과 주변을 살폈습니다. 그리고 점점 그 시선은 장애인, 외로운 노인, 결혼 이주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게로 확장됐습니다. 그의 기사는 독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2006년 <타임>은 올해의 인물 중 한 명으로 그를 지목하기도 했죠.

8일, 상암동 사옥에서 <오마이뉴스> 수습기자들이 김혜원 시민기자를 만났습니다. '모든 시민은 기자'란 철학에 아직 생소할 수 있는 수습기자들 눈에 김혜원 기자는 어떻게 비쳤을까요. 또 그들에게 오랫동안 활동한 이 시민기자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줬을까요. 그 '소감'을 수습기자들이 기사로 풀어냈습니다. 김성욱·배지현·신민정·신지수, 이상 수습기자 4명의 기사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편집자말]
a

타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오마이뉴스 김혜원 시민기자. 타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오마이뉴스 김혜원 시민기자. ⓒ TIME


"난 기자다, 이런 식으로 접근하면 마음 못 열어요."

시민기자 김혜원씨(56,여)는 확신에 차 말했다. "딸은 아니지만 딸이나 며느리, 손녀딸처럼 해야지 그분들 마음을 열 수 있다"고 말이다.

김혜원씨는 이름이 알려진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다. 그는 2004·2005년 연속으로 <오마이뉴스>가 뽑은 올해의 뉴스 게릴라에 올랐다. 2006년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뽑은 올해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오마이뉴스>에 쓴 기사만 해도 500개가 넘는다. 저자로 출간한 책도 4권이다. 베테랑 기자라 할 수 있는 김씨는 취재원에게 기자보단 딸, 며느리, 손녀딸이 되는 걸 택했다. '기자'라 적힌 명함도 선뜻 내밀지 않는 김혜원씨를 만나 그 이유를 들었다.

"KBS에 인터뷰 안 해 준 할머니가 나한테는 마음을 여신다."

김혜원씨는 그 이유를 기성 언론이 취재원을 대하는 태도에서 찾는다. 김씨는 "전통상인 분들이나 할머니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언론에 대한 불신이 많다. 처음 찍을 땐 좋은 의도로 한다고 찍어놓고 보도 내용을 보면 다르니까 배신감을 느끼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상황에서 너도나도 기자라고 찾아오니 그 사람들 입장에선 자기가 일회용으로 소비되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김씨는 특히 언론이 독거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일회용으로 취급하는 것을 불편해했다. "(언론은) 그들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은 것이라기보다 '그림이 되는 것'을 찾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며 "그 가족이 좀 더 예뻐야 하고, 짠해야 한다는 등, 언론 인터뷰했던 분들 이야기 들어보면 보도내용이 이들의 자존감을 올려주고 칭찬하거나 격려하기보다는 동정의 대상으로 삼는 예가 많다"고 털어놨다. "사람들을 더 비참하게 만든다"고.

'기자' 명함 내려놓고... 딸이자 며느리, 손녀딸, 엄마로 만나다


기성언론이 총구마냥 카메라를 들이밀다 홀연히 떠난다면 김씨는 정반대다. 신뢰를 쌓기 위해서라면 두 세 번이고 찾아간다. 김씨는 "긴 시간을 보내야 하면 같이 있어 드린다. 노인분들의 경우 옆에 2~3시간 있으면 결국 마음을 여신다. 외로우니까"라며 "나는 '당신과 공감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다'라는 걸 보여드려야 한다. '저는 기자이고요 할머니는 할머니고요'식으로 접근하면 끝까지 마음을 안 연다"고 답했다.

이어 김씨는 "아픈 이야기를 파는 거기 때문에 그분들에게 상처가 되지 않게 잘 돌려서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 당신들의 상처가 힘들지만, 세상에 나왔을 때 누군가를 치유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게 얘기한다"고 부연했다.

김혜원씨의 진정성은 기사에 배어, 독자를 움직인다. 유방암에 걸린 필리핀 아내 아멜리아씨를 치료할 길이 없어 필리핀으로 돌려보낸 뒤 두 아이를 데리고 어렵게 사는 농사꾼의 이야기를 담은 기사( "나무꾼과 선녀처럼 살고 싶었어요")는 보도 이후 1700만 원의 성금을 모았다.

그 돈으로 아멜리아씨는 치료를 받고 가족도 재결합했다. 김혜원씨는 "아멜리아를 계기로 내 기사가 시민을 움직일 수 있다는 걸 느꼈다"며 "기사에 대한 책임감이 더 커진 것 같다"고 회상했다. 김씨의 시선이 장애아, 독거노인, 이주노동자, 다문화 여성 등으로 꾸준히 향해 있던 건 아멜리아 보도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쓴다... 약자의 확성기가 되기 위해

사회적 약자를 취재하는 건 힘든 일이다. 그 상황에 깊이 빠져들수록 그렇다. 김씨도 그랬다. 독거노인을 취재하고 돌아올 때면 마음이 무거웠다고. 한동안 글을 안 쓰고 회복의 시간을 보냈다고 했다.

"그래도 써야죠"라며 김씨는 운을 뗐다. "약자들 중엔 이야기 하고 싶어도 통로가 없고, 언론에 한 번 보도되고 외면받는 사람들이 많다"며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만 봐도 그렇다. 우린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려하기보다 노래자랑만 시킨다.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확성기처럼 전하고 싶다"고 의지를 불태웠다. 가령 결혼이주여성 취재를 할 땐 한 번 보도하고 끝내는 게 아니라 이들의 이야기를 꾸준히 듣고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씨는 마지막까지 강조했다.

"방송을 내는 게 목적이 아니라 이걸 통해 사람들이 행동하고 제도를 개선하게 해야 한다."
#김혜원 #KBS #독거노인 #장애인 #일회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2. 2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