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에서 목소리 낸 청소년들은 지금...

어떻게 광장에서의 촛불을 일상으로, 교실로 옮겨갈 수 있을까

등록 2017.03.13 12:07수정 2017.03.13 12:07
1
원고료로 응원
흔히 우리는 민주화를 이끈 주축이 '80년대 학번들'이라고 알고 있지만,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까지 중·고등학생 신분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이들이 있다.

이들은 교사 탄압에 항거해 수업 거부, 등교 거부, 시험 거부 등 집단행동과 교내민주화를 위한 운동을 하였으며 명동성당에 모여 "노태우를 당선시킨 기성세대 각성하라!"를 외치기도 했다. 하지만 변화의 바람이 잦아들면서, 온몸을 바쳐 사회운동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제대로 된 기록도 없이 잊혀졌고, 제도교육에 적응하지 못해 학교를 떠나기도 하였다. 그 당시의 체험을 담은 책 <나무에게서 온 편지>, <나는 언제나 술래>를 보면 당시 이들이 얼마나 방황하고 공허하였는지 알 수 있다. 광장에서의 외침이 일상으로 스며들지 못하였다.

지난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었다. 축제의 분위기 속에서 함께 박수 받아야 하는 것은 단연 청소년들이다. 시대를 역행하는 국정농단 속에서도 한 줄기의 빛을 볼 수 있게 해준 것은 수능시험과 입시준비에도 불구하고 광화문과 거리로, 현실 정치로 뛰어든 청소년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정치와 사회참여에서 청소년은 늘 외면당하거나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 그런 청소년들에게 광화문은 관대했다. 이야기에 경청해주었고, 환호해주었다. 언론은 청소년들의 발언과 요구사항들을 즉각 조명하였고, 정치권에서는 청소년 투표권을 주요 쟁점으로 다루기도 했다. 당장이라도 변화가 일어날 것 같은 분위기였다.

하지만 딱 광화문까지였다. 광화문을 벗어난 일상은 여느 때와 다름없었다. '급식충', '중2병', '어린 것'이란 프레임 속엔 여전히 청소년 혐오가 만연하고, 코앞까지 다가온 줄 알았던 투표권은 시기상조였으며 일부 집회 참여 학생들에게 돌아오는 말은 "왜 이렇게 나서냐", "교복 입고 뭐 하는 거냐"였다.

그렇기에 박근혜 전 대통령이 물러난 봄이 청소년들에게까지 따뜻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촛불이 꺼진 광장은 청소년들에게 정치참여의 단절로 이어질 수도, 20살이 된 누군가에게는 매정한 헬조선의 현실로 다가오게 될지도 모른다. 어제까진 청소년의 이름으로 주목받았던 이들이지만, 투표권도 없고, 어떠한 보호막도 없이 현실에서 붕 떠있게 되는 것이다.

청소년뿐만이 아니다. 여성, 성소수자, 노동자, 농민도 마찬가지다. 광장에서는 모두가 환영받았지만, 이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각각의 제도개혁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울타리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이들은 다시 외면당하고 소수자가 될 것이다. 


80년대~90년대 뜨거웠던 '고등학생 운동' 주역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생각한다. 탄핵 정국에서 목소리 냈던 2017년의 청소년들은 어떻게 광장에서의 촛불을 일상으로, 교실로 옮겨갈 수 있을까.

"그때 우리들이 바꾸려 했던 현실의 문제들은 지금 광화문 광장에서도 여전히 배회하고 있지요." (「나무에게서 온 편지」 - 하명희)

6개월 가까운 시간 동안 촛불을 들었던 청소년들은 어디서 갑자기 튀어나온 게 아니다. 나라에 문제가 있을 때마다 청소년들은 언제나 앞장섰다. 하지만 이들의 요구를 제대로 뒷받침해주는 기반이 없다면, 단순히 게릴라 모임쯤으로 취급한다면, 2017년의 우리는 또 다시 잊혀지고, 우리들이 바꾸려 했던 현실의 문제들은 앞으로도 광화문 광장에서 여전히 배회하고 있을 것이다. 
#청소년 정치 참여 #광화문 #광장 #청소년 #박근혜 탄핵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