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골·인흥·옻골마을로 떠나는 대구의 고택탐방

등록 2017.06.20 17:48수정 2017.06.20 17:49
0
원고료로 응원
섬유공업이 발달한 도시이며 인구로는 대한민국 제3의 도시인 대구에는 전통색이 살아 있는 공간들이 많다. 특정 성씨나 가문을 중심으로 이룬 집성촌들이 대구의 외곽에 조성되어 있는데 그중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인 인흥마을과 사육신 박팽년 후손이 모여사는 묘골마을, 경주 최씨가 모여사는 옻골마을이 대표적인 곳이다. 세 곳 모두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이라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마을 같은 느낌이 나지 않아서 좋다.

a

묘골마을 달성 삼가헌 ⓒ 최홍대


대구의 위쪽에서 내려오다 묘골마을 입구에서 먼저 만나는 건물은 국가 민속문화제 제 104호로 지정된 달성 삼가헌 고택이 나온다. 현 소유자의 6대조 박광석(朴光錫)이 1747년(영조 23)에 건축한 이 고택은 건좌손향(乾坐巽向)으로 좌향을 잡은 서사택(西四宅)의 하나로, 넓은 터에 대문간채·사랑채·안채·별당·연못을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a

묘골마을 사육신 ⓒ 최홍대


사육신의 흔적은 전국에 있는데 그분들을 모신 육신사가 대구에 있다는 것은 묘골마을에 와서야 알 수 있었다. 세조(1417~1468)는 박팽년, 성삼문 등을 죽이면서 "박팽년과 성삼문 등은 당세의 난신이요 후세의 충신이다"라고 말했다고 한 것을 보면 그들의 자질을 엿볼 수 있다. 성삼문은 세조의 명에 따라 능지처사를 당했는데 조선시대의 능지처사는 칼로 각 부위를 잘라내지 않고 각각의 부위를 수레에 매어 소를 달리게 하는 '거열형'으로 대신했다.

a

묘골마을 고택 ⓒ 최홍대


박팽년의 손자는 세조의 서슬 퍼런 칼날을 피해 이곳에 숨어 살았다. 골기와 집이 처마를 맞대고 있는 이곳에는 박일산이 창건한 태고정(보물 제 554호),  문현(文鉉)이 1778년에 세웠다는 도곡재(무형문화재 제32호) ,  중휘(重휘)가 1664년에 세웠다는 금서헌, 성수(聖洙)가 지은 것으로 삼가헌등 오래된 고택도 많지만 사람들의 이야기가 전해지는 곳이다.

사육신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은 전국에 4곳만 남아 있다. 사액서원 중의 하나로, 사육신을 제향 했던 '낙빈서원' 역시 이곳에 있다. 마을 입구에는 '사육신 기념관'이 있으며, 사육신 사건 당시 이조판서의 신분으로 사육신과 함께 참화를 당한 선생의 아버지 박중림의 사당도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사육신 중에 직계 혈육을 남긴 인물은 박팽년이 유일하다. 천우신조로 목숨을 건진 선생의 유복손(遺腹孫) '박일산'. 바로 그가 태어나고 숨어 살았던 묘골마을은  560년 내력의 박팽년 가문의 세거지로 성장하였다.

a

묘골마을 묘골마을 ⓒ 최홍대


묘골마을에는 유독 이런 공간들이 많다. 휴식을 취하면서 차를 한잔 마시고 사색을 할 수 있기에 아주 좋은 곳이다.


a

인흥마을 마을입구 ⓒ 최홍대


인흥마을을 다른 이름으로 말하면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이다. 본리에 있는 남평 문씨 집성촌인 이곳은 인흥사가 있었던 곳이라서 인흥마을이라고도 불린다. 남평 문씨인 문익점의 18대손 문경호 씨가 이곳에 들어와 살면서 그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다.

a

연못 마을연못 ⓒ 최홍대


마을의 연못이 있는 정원을 지나면 고택 수봉정사가 나온다. 수봉정사 앞에는 국내외 전적과 문건 등 2만여 권이 있는 인수문고가 있다. 인흥마을에는 유독 소나무가 많고 담장으로 이어진 길에는 6월에 주황색의 능소화가 아름답게 핀다.

a

고택 고택입구 ⓒ 최홍대


풍수지리는 한국인에게 빼놓지 못할 정도로 익숙하다. 지형이 좋긴 하지만 무언가 하나가 부족할 때 그것을 보완하는 것을 비보풍수라고 한다. 묘골마을의 골목은 대부분 직선이고 돌과 흙을 얹어 담을 쌓았다.

a

능소화 만개한 능소화 ⓒ 최홍대


묘골마을에는 지금 한참 능소화가 만개하고 있다. 중국의 《시경(詩經)》에 나오는 소지화(笤之華)라고 하였으며 줄기, 뿌리, 잎 모두 약재로 쓰이는 이 꽃은 오늘날에는 귀한 약나무에서 관상용으로 사람의 눈을 즐겁게 해주고 있다.

봄이 지나면 화사한 봄꽃보다는 여름의 초록이 더 강해진다. 그런 계절에 능소화는 도시의 시멘트 담, 붉은 벽돌담보다 고즈넉한 옛 시골 돌담에 더 어울린다. 가장자리가 톱날처럼 생긴 여러 개의 잎이 한 잎자루에 달려 있는 겹잎의 능소화는  그냥 주황색이라기보다 노란빛이 많이 들어간 붉은빛을 띤다.

a

인흥마을 돌담길 ⓒ 최홍대


능소화가 질 때는 꽃잎이 하나하나 떨어져 날아가 버리는 보통의 꽃과는 달리 동백꽃처럼 통째로 떨어진다. 한창 필 때는 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많이 피며 한번 피기 시작하면 거의 초가을까지 피고 지고를 이어가는 능소화는 묘골마을의 또 다른 매력을 만들어준다.

a

옻골마을 옻골마을입구 ⓒ 최홍대


경주 최씨는 성의 특징 때문에 그런지 몰라도 전국에 집성촌이 많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대구에도 경주 최씨 집성촌이 있는데 1616년 대암 최동집 선생이 기운 좋은 곳에 터를 잡아 살면서 후손이 번성하는 곳이다.

a

옻골마을 고택탐방 ⓒ 최홍대


옻골마을에 중심이 되는 고택은 백불고택으로 최흥원 선생이 살았던 공간이다. 환갑에 백불암이라는 호를 썼던 그분은 '백 가지를 알지 못하고 백 가지가 능하지 못하다'라는 말을 남겼다. 환갑의 나이에도 이룰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았다는 겸손한 마음을 호에 담은 것이다.

a

보본당 옻골마을 보본당 ⓒ 최홍대


백불안 선생이 대암 선생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지었다는 보본당이다. 원형의 기초석 위에 기둥을 세운 이곳에는 교정청을 꾸리고 문인들을 모아 교정을 보아 책자를 엮기도 했다.

보본당에서 동쪽으로 내려가면 동계정이 나오는데 최주진 선생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정자로 현재 전통 체험장으로 사용하는 곳이다. 가장 익숙한 다도 체험이나 예절 교실, 전통 놀이 등의 체험이 이루어지며 특히 아이들의 한복 체험이 인기가 많다고 한다.

a

옻골마을 한 낯의 여유 ⓒ 최홍대


정식명칭은 둔산동 경주 최씨 마을인 옻골마을에는 유독 옻나무가 많다. 돌과 흙을 쌓고 그 위에 암기와·수키와를 얹고 막새로 마무리한 돌담길은 고택까지 굴곡이 있는데 나쁜 기운이 고택으로 흘러들지 않게 만들어진 곳이다.
#대구여행 #묘골마을 #인흥마을 #옻골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무엇이든지 쓰는 남자입니다. 영화를 좋아하고 음식을 좋아하며, 역사이야기를 써내려갑니다. 다양한 관점과 균형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조금은 열심이 사는 사람입니다. 소설 사형수의 저자

AD

AD

AD

인기기사

  1. 1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2. 2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