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얼굴이 한 자리에 모인 '얼굴 박물관'

그 안에 옛날 나의 얼굴은 없는 것일까?

등록 2017.10.12 10:25수정 2017.10.12 10:25
0
원고료로 응원

얼굴박물관 입구 광주시 남종면에 소재한 얼굴박물관은 각종 얼굴을 모아놓은 박물관이다. ⓒ 하주성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길 3-69(남종면 분원리 68)에 소재한 얼굴박물관. 남종면 소재지를 들어서 좌측 골목 안에 자리하고 있는 얼굴박물관은 한 마디로 각종 얼굴을 다 모아놓은 곳이다. 이곳은 연극 연출가 김정옥이 지난 40여 년간 수집해온 우리의 옛사람들이 만든 석인, 목각인형, 도자기 등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도자인형과 유리로 된 인형들을 모아놓은 곳이다. 

또한 사람의 얼굴을 본 딴 와당과 가면 등, 그들의 풍부하고 다양한 표정 속에 담겨있는 장인의 예술적 감수성과 시간의 흐름이 만나 무엇이라 형언할 수 없는 창조적 손길을 느끼게 하는 조화를 한자리에 모아 '사람과 얼굴'의 공간을 구상함으로서 얼굴 박물관을 탄생하였다고 한다.


김정옥이 반세기에 걸쳐 모은 1000점이 넘는 얼굴의 조형은 다양하다. 석인, 옛돌사람 (벅수, 문관석, 무관석, 동자석, 선비석, 민불 등)이 300여 점, 목각인형 (상여나 꼭두극 또는 불교미술)이 200여 점, 도자기나 테라코타의 인형(한국의 명기, 당나라, 일본 등) 50여 점, 와당 (한국, 중국) 50여 점, 가면 100여 점, 초상화나 무속화의 인물화 100여 점, 현대작가의 회화와 조각 100여 점, 그밖에 민속품, 도자기 100여 점 등 총 1000여 점이 넘는 얼굴박물관. 그 안에 혹 나의 전생 얼굴이 있지는 않을까? 궁금하다.

무신도 각종 무신도에 표현된 굴도 만날 수 있다 ⓒ 하주성


얼굴을 만나러 가다

11일, 전날부터 가을비가 추적거리고 내린다. 비가 오는 날은 가급적이면 답사를 나가지 않지만 한가위 연휴동안 단 하루도 쉬지 못하고 일을 한 터라 잠시라도 머리를 식힐 겸 광주시 남종면에 있다는 얼굴박물관을 찾아갔다. 매년 특별전을 하고 있는 얼굴박물관에서 올해 특별전으로 5월 27일부터 10월 29일까지 무속화(巫俗畵) 특별전인 '생(生)과 사(死)를 연기하다'라는 전시를 열고 있기 때문이다.

입구에 차를 대고 안으로 들어가니 매표소가 따로 있지 않다. 사람을 찾으니 자료정리를 하고 있던 관리자가 나온다. 이야기를 하고나서 관람료를 물으니 성인은 4천원, 65세 이상은 경로우대를 해서 3천원이라고 한다. 두 사람 몫인 7천원의 관람료를 지불하고 안으로 들어갔다. 입구서부터 심상치 않다. 몇 발 들어서지도 않았는데 무신도가 벽에 걸려있다.

재인 얼굴박물관에서 만난 재인은 물구나무를 서 있다 ⓒ 하주성


저 많은 무신의 얼굴을 모두 어디서 들고 온 것일까? 실내 여기저기 쌓여있는 각종 얼굴들을 보고 있노라니 정신이 없을 정도이다. 수집한 자료들에 비해 공간이 좁아 보인다. 하나하나 잘 정리 하려고하면 아마 현재의 공간보디 몇 배는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할 듯하다. 그렇게 자료들이 쌓여있다 보니 차분히 관람을 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입구에서 관리인이 "일층을 돌아보고 이층을 본 후 밖으로 나오라"고 한 말이 생각나 이층으로 올라갔다. 그곳에는 일층과는 또 다른 얼굴들이 기다리고 있다. 각종 얼굴들을 보고 있다가 우연히 물구나무를 서 있는 재인(才人)이라는 설명이 붙은 얼굴을 만난다. 그리고 그 뒤편으로 상여에 올려 진 또 다른 많은 얼굴을 만난다. 이런 상여는 지금은 보기도 힘든 자료이다. 그 한옆에 상여의 앞뒤에 붙여 위엄을 더한 '정자용(丁字龍)'을 만났다. 정말 희귀한 자료를 만난 것이다.

정자용 정자 모형으로 생긴 정자용은 상여이 앞뒤에 달아 위용을 더한다 ⓒ 하주성


전라도 강진에서 이건한 관석헌을 보다

실내에서 문을 열고 밖으로 나오니 100여년이 지난 고택이 한 채 서 있다. '관석헌(觀石軒)'이라는 이 집은 말 그대로 돌을 보는 집이다. 관석헌 아래 앞뜰에는 많은 석물들이 줄지어 서있다. 이 관석헌은 시인 김영랑의 고향이자 고려청자로 유명한 전라남도 강진에서 옮겨 온 한옥이라고 한다.

누마루와 한편에 정자각이 서 있는 이 집은 김영랑 시인의 문중인 김홍배씨의 증조부가 100여 년 전 백두산 적송을 뗏목으로 옮겨와 경복궁을 중건했던 도편수 김춘엽, 허균 등을 동원하여 지은 5동의 건물 중 안채만을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관석헌은 고택의 품위를 지키고 있는 집이다. 현재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는 덧창을 달았지만 고택의 품격은 그대로 지키고 있다.

관석헌 전남 강진에서 이건했다는 100여년이 지난 고택 ⓒ 하주성


석인들 관석헌 앞뜰에 놓인 석인들 ⓒ 하주성


집 옆에 산으로 오르는 길을 따라 올라본다. 멀리 팔당호의 물이 보인다. 관석헌의 상량문애는 '장춘실(長春室)'로 적혀 있었지만 얼굴박물관으로 옮겨와 그 앞에 많은 돌이 서 있어 관석헌으로 명칭을 바꾼 듯하다. 위에서 내려다보는 얼굴박물관은 또 다른  형태의 멋을 풍긴다. 아마 관석헌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많은 얼굴을 만나기 위해 찾아갔던 광주 얼굴박물관. 짧은 시간에 그 많은 자료를 살펴보기에는 역부족이다. 다음에 시간을 내어 다시 한 번 찾아보기로 하고 풀구를 나서는데 관리인이 "이곳에서 만신을 모셔 굿을 한다"고 알려준다. 다음에 이곳을 찾을 때는 굿을 함께 관람하면서 좀 더 찬찬히 둘라보아야겠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e수원뉴스와 티스토리 블로그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얼굴박물관 #광주시 #남종면 #관석헌 #분원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4. 4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