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을 버린 공장, 팔짱만 낀 일본 정부

[숲책 읽기] 이시무레 미치코 <신들의 마을>

등록 2018.02.28 14:48수정 2018.02.28 14:48
0
원고료로 응원
사람이 죽을 때 깔아 주는 깔짚이라는 것은 농민들이 고생혀서 기른 짚이니, 솜이불보담도 더, 만든 사람의 정성이 들어가 있지. 시원허믄서두 따뜻허니 이 세상과 저 세상 사이 임시 잠자리로는 딱 좋은겨. (10쪽)
이 아이들의 생활에 무언가가 있다면, 그건 가정생활이 아니고, 병원생활도 아니며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 메틸수은화합물에 의한 중추신경계 중독성질환 인간으로서의 생활뿐이었다. (23쪽)


a

겉그림 ⓒ 녹색평론사

시무레 미치코 님이 쓴 책 가운데 두 가지가 한국말로 나왔습니다. 하나는 2007년에 <슬픈 미나마타>(달팽이)이고, 다른 하나는 2015년에 <신들의 마을>(녹색평론사)입니다. 두 가지 책은 일본 미나마타병을 다룹니다. 그런데 미나마타병만 다루지 않습니다.


두 가지 책은 미나마타라는 바닷마을을 먼저 다룹니다. 바다에 수은을 몰래 버린 공장 때문에 바닷마을 사람들이 얼마나 괴로웠고 힘들었으며 죽어 나갔고 아이들이 아파서 몸부림치다가 죽는 모습을 눈물로 지켜보아야 한 이야기를 나란히 다룹니다.

수은을 버린 공장이 아무런 대책이 없을 뿐 아니라, 일본 정부가 오랫동안 팔짱을 낀 대목을 다룹니다. 미나마타 시골사람을 얕보는 도쿄 도시사람 모습을 고스란히 비추고, 미나마타 시골사람하고 이웃이 되려는 작은 사람들 모습을 함께 비춥니다.

'앞으로 단 5년이나마 더 살 수 있을까 생각은 했어. 그래도 그렇지, 어째서 엄마가 안아 주지도 못하는데 넌 말도 없이 할머니가 졸고 계실 때 죽은 거니.' 아들의 넋이, 더없이 초라한 열세 살의 육체, 아직 따스할 유체로부터 빠져나가버리기 전에 도착하고 싶다고 생각하며, 그러나 허리도 다리도 맥없이 힘이 빠져 풀길 위에 주저앉는다. 아아, 아름다운 하늘이네, 그녀는 생각한다. 하늘이 핑그르르 돈다. 단풍 든 옻나무 잎이 춤을 춘다. (59쪽)
"내는 암것두 몰러. 내가 미나마타병이라는 것밖에는 몰러." (81쪽)


일본 정부와 병원과 대학교와 지식인은 '수은 피해로 다치거나 죽는 보기 모으기'에만 마음을 쏟았다고 합니다. 수은 피해로 다치거나 죽는 사람을 '저마다 살림을 지어 살아온 낱낱 사람'으로 바라보지 않았대요. '환자 1호, 환자 2호'처럼 '생체 실험 대상'으로 바라볼 뿐이었다고 합니다.

<슬픈 미나마타>가 나온 지 여덟 해 만에 새로 나온 <신들의 마을>을 읽는 동안 여러 생각이 흐릅니다. 조용하고 정갈한 바닷마을에서 수수하게 바닷살림을 짓던 이들이 갑작스레 마주해야 했던 죽음바다란, 사랑하는 이들이 곁에서 우수수 죽어 나가는 모습을 치러야 했던 죽음마을이란, 가녀린 아이들이 어버이보다 먼저 삶을 내려놓는 나날을 으레 맞닥뜨려야 했던 죽음집이란, 참말로 얼마나 힘들면서 가슴이 찢어졌을까 하고 돌아봅니다.


"간호사들은 미나마타병 환자는 바보거나 미쳤거나 그냥 세 살짜리 아이 같은 것들이라고 생각허구 있는 디다가, 다들 툭허믄 울어들대니 갓난애를 달래듯이 어르는 것처럼 말을 허는 거야 … 결국 어떤 검사도, 어떤 약도 도움이 되진 않았지." (101쪽)
"도쿄에 가믄 나라가 있을 줄 알었더니, 도쿄엔 나라가 읎드라구. 그것이 나라라믄 나라라는 것은 끔찍혀. 미나마타 사람들(공무원·공장 관계자)이나 '거기서 거기'드구만. 아니지, 또 쪼금 달러서 더 심허더구먼. 끔찍헌 일이지. 그냥 죽으란 소린지두 몰러. 소름 끼치는 디여. 나라라구 허는 것은. 어디루 가믄 우덜의 나라가 있는 것일까?" (138∼139쪽)


미나마타 바닷마을 사람들은 묻습니다. "어디로 가면 우리 나라가 있을까?" 하고요. 참말 어디에 있을까요. 우리 나라란, 우리 마을이란, 우리 집이란, 우리 바다란, 우리 하늘이란, 우리 삶터란, 우리 이웃이란, 참말 어디에 있을까요.

그런데 한두 공장만 수은을 버렸을까요. 곳곳에서 숱한 공장이 알게 모르게 수은을 바다에도 땅에도 슬그머니 버리지 않았을까요. 한국에서 숱한 공장은 꽤 오랫동안 정화시설을 제대로 안 갖추었습니다. 정화시설을 갖추었어도 공장 굴뚝에서는 언제나 매캐한 연기가 솟구칩니다. 화력발전소 곁에서 사는 이들은 다른 고장보다 훨씬 자주 크게 몸이 아픕니다.

여기에 고속도로가 있어요. 자동차에서도 늘 매연이 나와요. 자동차가 들끓는 곳에서는 하늘이 매캐해요. 자동차가 끝없이 싱싱 달리며 매연을 내뿜는 고속도로는 시골 논밭을 가로지르기 일쑤예요. 미나마타 바닷가에서 수은을 몰래 잔뜩 버린 화학공장도 말썽이요, 우리를 둘러싼 온갖 위해·위험·공해 시설도 말썽이라고 느낍니다.

a

나비하고 노는 새끼 여우가 하느님이라면, 나비하고 노는 아이들도 하느님이겠구나 하고 생각에 잠기는 봄 문턱입니다. ⓒ 최종규


(진보운동가들이) 할아버지 할머니 앞에서 하고 있는 걸 보자면 나는 간이 오그라들었다. '정보선전반'도 아마 못 알아들을 거다. '오르그'를 알 리가 없지. '다방면'도 분명히 알쏭달쏭할 것이다. 그런 용어는 어부들의 생활어와는 거의 인연이 없었다. (164쪽)
어패류의 맛과 수은 맛의 합성에 의한 변화구조를 해명한 연구논문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183쪽)
"아무래두 말여, 회사 간부들허구 이야그를 할 때, 우덜은 말두 떠듬떠듬, 뱃사람 말밖에 헐 줄 모르구 말여, 저쪽은 다들 도쿄대학 출신들이구 말두 근대적이구, 주눅이 든다구나 헐까, 뱃사람 차림 그대루로는 뭐랄까, 지저분한 놈들이 쳐들어가는 것 맹키로 그러니께 지대로 만나주지두 않구유." (299쪽)


<신들의 마을>은 다른 대목을 더 짚습니다. 애써 미나마타로 와서 바닷마을 사람을 돕겠다고 나선 진보운동가가 쓰는 말이 대단히 어려웠대요. 공무원이나 공장 관계자나 병원 의사·간호사도 미나마타 시골사람이 못 알아들을 말만 썼다는데, 진보운동가는 다른 테두리로 어려운 말을 써서 시골사람이 못 알아들었다고 합니다.

미나마타 바닷가에서 수은중독이 일어난 지 스무 해가 지나도 이를 둘러싼 논문은 보이지 않았다 하며, 바닷사람 사투리는 언제나 주눅이 든 채 입을 벙긋하기도 어려운 나날이었다고 해요.

어쩌면 한국에서도 이와 같으리라 느껴요. 대추리나 밀양에서 터져나오는 낮고 작은 목소리는 정부한테 얼마나 가 닿았을까요. 나라 곳곳에서 낮고 작은 이들이 털어놓는 낮고 작은 목소리는 중앙정부나 지역정부 문턱을 얼마나 넘을 수 있을까요.

놓쳐서는 안 될 사실은, 집안의 대들보였던 아버지가 폐인이 되면서, 대다수 환자 가정과 마찬가지로 전업 어가였던 이 가정이 단숨에 궁핍해졌다는 점이다. 발병은 1955년 11월이었다. (226쪽)
'짓소'가 작성한 미나마타병 환자 일람표에 기재된, '자택에서 빈둥빈둥, 보행 약간 곤란'은, 다가미 카츠요시와 그의 발병으로 비롯된 이 집안의 고난에 대해, 잃어버린 세월에 대해, 한마디도 말하지 않는다. (227쪽)


공해병이란 대단히 무섭습니다. 그러나 공해병만 무섭지 않습니다. 공해병을 일으킨 사람도, 공해병을 일으키고서 뒷짐을 지거나 팔짱을 끼는 사람도, 공해병하고 멀리 떨어졌으니 나 몰라라 하는 사람도, 공해병이건 말건 아랑곳하지 않는 사람도 모두 무섭습니다.

수은으로 더러워진 바다는 이제 깨끗할까요. 방사능으로 더러워진 바다는 이제 어떠할까요. 그리고 한국 바다는 얼마나 깨끗할까요. 핵발전소하고 화력발전소를 낀 바다는 얼마나 깨끗할까요. 공장이 가득 들어찬 한국 바다는, 제철소랑 화학공장이 숱하게 늘어선 한국 바다는, 참말로 얼마나 깨끗할까요.

a

봄이면 꽃을 찾아 여기저기 누비면서 "여기 꽃이야!" 하고 외치는 아이들입니다. 이 아이들을 돌보고 이끄는 어른다운 길이, 삶터와 이 땅을 지키는 길이지 싶습니다. ⓒ 최종규


"미나마타(공해 회사)에 보내는 간부는 멍청한 인간인지도 몰라. 그렇게도 도리를 모르는 걸 보믄." (289쪽)
"우리 바다, 우리들 논밭에 수은을 갖다 부어놓구, 성의를 다한다는 말만으로 될 거라구 생각허는 거여? 말만으루?" (294쪽)
"누에콩밭에 꽃이 필 무렵이면 새끼 여우들이 부모와 함께 해변까지 내려와서는, 밀물 드는 해변에 나비가 팔랑팔랑하는 것을 고양이 새끼들처럼 손을 뻗어 쫓아다니니까, 부모가 조마조마하며 말리는 것도 보였답니다. 얼마나 보기 좋던지." (317쪽)


<신들의 마을>은 미나마타 사람들이 치러야 한 슬프며 아픈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으면서 새끼 여우 이야기로 끝을 맺습니다. 공해병으로 바다가 더러워지기 앞서 으레 마주했던 모습을 바닷마을 사람 목소리로 차분히 그려냅니다.

새끼 여우가 어미 여우하고 바닷가로 나와 나비를 잡는다며 뛰어놀았대요. 바닷마을 사람들은 봄마다 이런 모습을 바라보면서 가만히 생각에 잠겼대요. 저 여우 식구란 하느님이 아닐까 하고. 이 바다란 하느님이 살포시 찾아와서 살아가는 터전이 아닐까 하고.

작은 바닷마을이 하느님 마을입니다. 작은 숲마을도 하느님 마을입니다. 작은 냇마을도, 도시에 있는 골목마을도 모두 하느님 마을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곳은 하느님 마을입니다. 다만 잊혀진 하느님 마을이거나 잃어버린 하느님 마을이 아닌가 싶습니다.
덧붙이는 글 <신들의 마을>(이시무레 미치코 / 서은혜 옮김 / 녹색평론사 / 2015.9.1.)

신들의 마을

이시무레 미치코 지음, 서은혜 옮김,
녹색평론사, 2015


#신들의 마을 #이시무레 미치코 #숲책 #환경책 #미나마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2. 2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3. 3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4. 4 "남자들이 부러워할 몸이네요"... 헐, 난 여잔데
  5. 5 고립되는 이스라엘... 이란의 치밀한 '약속대련'에 당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