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이스라엘로 가는 사우디 '하늘'이 열렸다

에어인디아, 뉴델리-텔아비브 직항편 운항 발표...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개선 신호?

등록 2018.03.08 15:41수정 2018.03.08 15:41
0
원고료로 응원
a

3월 7일(현지시각) CNN은 '이스라엘로 가는 사우리아라비아의 하늘이 열렸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 CNN Money


사우디아라비아가 인도 수도 뉴 델리(New Delhi)에서 이스라엘 수도 텔 아비브(Tel Aviv)의 직항 항공편의 영공 통과를 허용했다. 7일(현지 시각) CNN은 인도 국영항공사인 에어 인디아(Air India)의 대변인이 이와 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영공 통과 허용은 적대적 관계에 놓여 있는 두 국가의 관계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이는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 건국 이후 처음 있는 조치다.

이로써 에어 인디아는 3월 22일부터 주 3회 사우디아라비아 영공을 통과하는 텔 아비브-델리 노선을 운항한다. 에어 인디아는 이 노선을 이용해 연료비 절감, 비행 시간 단축(2시간 30분가량)을 기대하고 있다. 항공권 가격 역시 저렴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텔 아비브와 인도를 오가는 이스라엘 국영 항공사 엘 알(El Al)은 홍해를 우회해 인도 뭄바이 노선을 오가고 있다. 엘 알은 이번 조치로 인해 인도 항공과의 경쟁에서 불이익을 안게 됐다.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개선 되나

a

하아레츠 뉴스 갈무리 ⓒ haaretz


사우디아라비아의 영공 통과 허용과 관련해 눈길을 끄는 인물은 다름 아닌 네탄야후(Netanyahu) 이스라엘 총리다. 지난 1월 중순 인도를 방문한 네타냐후 총리는 1월 15일 인도 총리와의 만남에서 인도항공이 사우디아라비아 영공을 통과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2월 7일 이스라엘 언론 <하아레츠>(Haaretz)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처음으로 에어 인도 비행이 이스라엘 영공을 사용하기 위해 이스라엘에 향했다는 허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는 이 같은 사실을 부인했다. 그리고 지난 5일 네탄야후 이스라엘 총리는 미국 방문 중 워싱턴D.C.에서 에어 인디아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영공을 통과하는 허가를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7월 4일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이스라엘을 공식 방문했다. 이는 건국 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만남에서 새로운 이스라엘-인도 노선 항공 협정이 체결됐다. 그 이후에 일어난 과정을 보면 네탄야후 총리가 적극적으로 이 일에 개입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새로운 밀착관계를 이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의 제휴와 협력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에어 인디아에 이어 엘 알 항공편의 사우디 영공 통과도 조만간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최근에 강화되고 있는 사우디아라바이와 이스라엘 사이의 정치·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는 협력관계를 통한 전망이다.

이 뉴스를 마주하면서, 이슬람과 유대교, 무슬림과 유대인을 대립적 개념으로만 이해하는 이들이 떠올랐다. 이전에도 지금도, 아랍 이슬람 세계를 종교만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지난 1400년 동안에도 다양한 이해관계가 뒤엉켜서 기독교와 이슬람은 공존과 갈등을 빚어왔다. 종교적 색안경으로만 세계를 바라보는 자세는 재고가 필요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드림투게더에도 중복 게재합니다.
#인도 항공 #사우디 영공 #이스라엘 #밀월관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동문은, 아랍어를 전공하였다. 아랍 이슬람 지역의 과거와 현재의 문명과 일상, 이슬람 사회를 연구하고 있다. 그 것을 배우고 나누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3. 3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