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만큼 안 보인다!"

[김찬곤의 말과 풍경 13] 보이는 만큼 새롭게 알고 느낀다

등록 2018.03.12 10:31수정 2018.03.12 10:33
0
원고료로 응원
a

1920년대 첨성대 모습 1921년(신유년) 휘문 고등보통학교 4학년 학생들의 경주 수학여행 사진이다. 1921년이면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이 있은 지 이태 뒤이다. ⓒ .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 1993년 유홍준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내면서 머리말에서 한 말이다. 원래 원문은 이렇다. "인간은 아는 만큼 느낄 뿐이며, 느낀 만큼 보인다." 나는 이 말이 맞는 말이기는 하지만(사실은 꼭 맞는 말도 아니지만) 가슴 저 밑바닥에서는 왠지 불편했다. 무엇보다도 '아는 것', 다시 말해 '지식'이 있어야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말을 들을 때마다 어떤 '억압'이나 '배제', '주눅' 같은 것을 느낀다. 절에 가서도 무얼 모르니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꽃을 보더라도 그 꽃 이름을 모르니까 그 꽃이 편안하지도 예쁘지도 않다. 나는 모르니까. 눈에 블라인드가 쳐져 버리는 것이다.

나는 언제부터인가 유홍준의 말을 반대로 뒤집어 놓고 세상을 보기 시작했다. "사람은 느끼는 만큼 더 깊이 알게 되고, 보이는 만큼 새롭게 알고 느낀다." 이 말은 지식에 기대지 않고 세상을 보겠다는 나만의 고집이기도 하다. 또 사실 지식이라는 것도 알고 보면 꼭 맞는 것도 아니고, 그 지식 때문에 도리어 진실을 볼 수 없을 때가 많다.

a

남쪽 창문으로 들어가 위를 올라다본 모습 겉면과 달리 돌을 다듬지 않았다. 이곳이 위로 올라가는 통로라면 평평하게 다듬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았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a

맨 꼭대기 정자석 모습 두 사람이 서기에도 위태롭다. 첨성대가 천문대인가, 아닌가 하는 논쟁은 아직 뚜렷하게 결론이 나지 않은 형편이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a

첨성대에 오르는 모습 사다리를 타고 남쪽 창문으로 들어간 다음 다시 사다리를 타고 정자석에 오르는 모습이다. ⓒ .


경주의 첨성대를 볼 때, 우리는 초등학교 때부터 배운 '동양 최고(最古)의 천문대'라는 '지식(아는 것)'으로 보게 된다. 이런 지식으로 보게 되면 꼭 그만큼만 보이고 다른 것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하면, 안 보이게 한다.

첨성대는 아래 기단에서 꼭대기 정자석까지 9.108m밖에 안 된다. 아파트 3층 높이다. 우리는 학자들에게 이렇게 물을 수 있다. 9미터 위에서 보나 9m 아래에서 보나 별이 달리 보이겠나, 무슨 차이가 있나, 차라리 경주 남산에 올라 보는 것이 낫지 않겠나, 하고 말이다. 더구나 가운데 남쪽 창문을 통해 힘들게 꼭대기에 오르더라도 두 사람밖에 설 수 없다. 조심하지 않으면 떨어질 수도 있다. 불안하기 짝이 없다. 별을 관측하다 속이 불편하면 다시 그 구멍으로 내려와 볼일을 봐야 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오르내려야 하는 천문대가 이렇게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람의 지식이 완벽하지 않듯,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아는 만큼 안 보이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광주드림에도 보냅니다.
#아는만큼안보인다 #첨성대 #김찬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세상 말에는 저마다 결이 있다. 그 결을 붙잡아 쓰려 한다. 이와 더불어 말의 계급성, 말과 기억, 기억과 반기억, 우리말과 서양말, 말(또는 글)과 세상, 한국미술사, 기원과 전도 같은 것도 다룰 생각이다. 호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childkls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