귓속에 에프킬라 뿌린 사람... 무관심은 죄다

[그림의 말들] '공동정범'과 이카루스

등록 2018.04.23 09:27수정 2018.06.28 11:07
0
원고료로 응원
미술작품 한 점을 독자와 함께 감상하며 그림 속 숨어있는 이야기와 작가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미술전문가의 입장보다는 관람객 입장에서 그림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편집자말]
2009년 1월 20일. 용산 남일당 건물 망루 화재로 철거민 5명과 경찰특공대 1명이 사망했다. 검찰은 철거민이 던진 화염병으로 인한 화재라고 결론짓고 이들 25명을 공동정범으로 묶어 형사 처벌한다. 이 사고로 징역을 살고 나온 5명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가 영화 <공동정범>이다.

애초에 영화는 생존자들의 기억을 취합해서 화재의 원인 규명이나 사망자들이 어떤 경로로 사망에 이르렀는지 알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상처 난 사람들에게 원인 규명에 앞서 위로와 치유가 더 절실했음을 영화는 보여준다.


철거민 대책위원장 이충연은 다른 사람들을 뒤로한 채 불타는 망루를 제일 먼저 탈출했다는 죄책감에 다른 생존자들과 연대하지 못한다. 어떻게든 연대해서 서로 위로받고 또 자신들의 무고함을 밝히고 싶은 다른 4명의 생존자는 출소 후 모임을 가로막는 이충연과 갈등을 빚는다.

이 사건으로 이충연은 아버지를 잃었지만 자책감에 애도조차 힘들다. 비난의 화살이 본인에게 쏟아질까 두려워 생존자들 앞에 나서는 것도, 얼굴을 맞대고 그 순간을 떠올리는 것도 두렵기만 하다.

자신의 행동을 숨기고 싶은 자와 그런 행동을 이해할 수 없는 4명의 생존자는 시간이 흐를수록 오해가 쌓여간다. 팽팽하던 긴장감은 '한순간 말 한마디'에 해체된다. 그가 풀어지는 다른 생존자의 입에서 나온 순간의 말.

"먼저 탈출한 게 문제는 아니고... 위원장이 먼저 나갔으니 다른 사람들도 뒤따라갔다"는 이 한마디가 그의 가슴 위 돌덩이를 밀어냈다. 9년을 짓누르던 바윗덩어리. 벽이 사라지자 그는 마음을 열고 다른 생존자들과 손을 잡는다.

내게도 문득 중요하지 않은 어떤 것을 내려놓지 못해 관계가 얽히고 일이 꼬이곤 했던 시간들이 떠오른다. 결과론적으로 본다면 '왜 진즉 터놓고 말을 하지 그랬냐'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막상 그럴 수 없어서 안타까웠던 시간들이 겹쳐 보여 내내 애달프다.


영화 시작 부분에 철거민 진압장면이 나온다. 물대포를 쏘고, 불길이 치솟고, 비명과 고성이 오가고 아비규환이다. 이 상황과 전혀 상관없는 듯 동이 터오고 화면 뒤 고층 아파트에는 불이 켜진다. 두 세상은 마치 합성을 해 놓은 듯하다. 진압당한 철거민들은 하나둘 진압버스에 태워지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상황은 종료된다. 나 역시 무관심했던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처럼

a

조반니 벨리니. 순교자 성 베드로의 암살(1507년경.내셔널 갤러리) ⓒ 내셔널 갤러리


이 그림은 조반니 벨리니(이탈리아,1430-1516)가 그린 '순교자 성 베드로의 암살(1507년경)'이라는 작품이다. 왼쪽에 베드로가 칼에 찔리고 있고 정면에는 보조수사 한 명이 잡히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그림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 배경은 숲속이다. 모두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사람들처럼 평화롭게 나무를 하고 있다.

눈 앞에서 사람이 칼에 찔리는 끔찍한 상황에도 놀라거나 제지하는 사람은 없다. 16세기에도, 지금도, 현실은 다르지 않나 보다. 벨리니는 비극적인 상황을 더 비극적으로 보이게 하려고 주변에 무관심하게 자기 할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그려 넣었다.

이런 마음은 어떻게 표현하는 게 정확할까. 나는 그림 속 나무꾼들처럼 나무를 하고 있었다. 당장 땔감이 필요하니까 성실히 내 일을 했다. 열심히 사는 건 위대하진 않더라도 죄는 아니라고 생각했다.

맞는 말일까. 나에게 일어난 일은 시간차를 두고 남에게도 일어난다. 반대로 남에게 일어난 일은 나에게도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날벼락 같은 일은 부지불식간에 덮쳐 와서 삶을 파괴하는데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는다면 나는 어떻게 견뎌야 할까.

영화 속 생존자들처럼 온갖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나 또한 내 귓속에 에프킬라를 뿌릴지도 모른다(영화 속 생존자 중 1명은 사고 후 불면과 이명에 시달리다 자기 귀에 에프킬라를 뿌리고 피가 줄줄 흐를 때까지 팠다고 한다). 그러니 무관심은 좌절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죄다. 그래서 부끄러웠다. 나 혼자서 뭘 어떻게 해. 나 따위가 뭐라고 떠든다고 세상이 바뀌냐는 생각에 모른 척 눈감은 내가.

소외는 돌고 돌아 내게로

a

이카루스의 추락(피터 브뤼겔,1558년경.벨기에 브뤼셀왕립미술관) ⓒ 벨기에 브뤼셀 왕립미술관


피터 브뤼겔의 '이카루스의 추락'(1558년경) 역시 비슷한 메시지를 보여준다. 화면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 경작하는 농부와 양치는 사람. 고요한 바다. 그 위를 순항중인 범선. 물에 잠기고 있는 발버둥은 이 그림의 제목을 알지 못한다면 찾기조차 힘들다. 사람이 빠져 죽거나 말거나 자기 일에만 열중하는 사람들.

우리를 정말 힘들게 하는 건 무엇일까. 사람은 힘든 것 자체로 죽지 않는다고 한다. 힘든 일을 겪고도 아무에게도 위로받지 못하면 그때 인간은 무너진다. 서로를 버티게 하는 힘, 관심과 애정이 없다면 결국 이 소외는 돌고 돌아 부메랑처럼 내게로 온다. 이 작품들은 주변을 무심히 표현함으로 역설적이게 냉혹한 현실의 섬뜩함을 보여준다.

영화가 끝나고 이 다큐를 만든 감독 2명과 다큐 속 생존자 2명의 GV가 있었다. 응원과 위로의 박수를 보냈다. 고개를 숙이고 있는 이충연에게 다가가 아직도 움츠려있는 어깨를 툭툭 털어주며 당신 잘못이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었다. 피해자들끼리 누구의 피해가 더 큰지를 따지는 건 얼마나 서글픈지. 진짜 가해한 사람들은 어디 가고 피해자들끼리 생채기를 내는 모습을 보는 건 안타까움을 넘어서는 비참이다.

영화도, 그림도 보여준다. 그리고 묻는다. 타인의 불행을 보고도 눈감는 나도, 권력을 쥐고 가해하는 자들과 공동정범인지 아닌지.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공동정범 #이카루스의 추락 #순교자 #무관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