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가 뭐예요?" 아이가 물어본다면

[청소년책 읽기] 하종강, 김규정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등록 2018.05.28 13:34수정 2018.05.28 13:34
0
원고료로 응원
a

겉그림 ⓒ 철수와영희


노동자들은 회사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점이에요. 기업과 동등한 관계에서 일정한 계약을 맺어 열심히 노동을 하고 임금을 받는 존재라는 거죠. (21쪽)
스웨덴, 핀란드, 네덜란드 같은 유럽 나라들은 수영 코치랑 대학교수 월급이 비슷해요. 벽돌 기술자나 트럭 운전수나 의사 수입이 크게 차이가 안 나요. 자연히 교육 문제로 안달복달하지 않아요. 대학에 안 가도 넉넉하게 살 수 있으니까 입시지옥 따위가 없는 거죠. (28쪽)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하종강·김규정, 철수와영희, 2018)는 '일이란 무엇인가'를 마흔한 가지 이야기로 들려줍니다. 일하는 사람이란 누구인가를 이야기하고, 일하는 사람이 누리는 보람을 이야기합니다. '노동·근로'라는 낱말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동자·노동권·노동법'을 찬찬히 짚습니다. 앞으로 이 삶터에서 씩씩한 일꾼이 될 어린이하고 푸름이(청소년)가 미리 알아두면 좋을 이야기를 다루지요. 다른 나라는 노동교육을 어떻게 하는가를 밝히고, 한국에서 노동교육이 얼마나 어수룩한가를 이야기합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학교에서 노동의 가치를 가르쳐요. 그래서 스스로 노동자라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하고, 인류 역사를 발전시켜 온 중요한 힘이 바로 노동이라고 굳게 믿어요. (30∼31쪽)
실업자에게 생계비를 주면서 끊임없이 교육을 하여 우수한 노동 능력을 갖춘 노동자로 거듭나 다시 취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선진국일수록 발달되었어요. 그런 제도를 만들면 나라 경제가 잘 돌아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요. (56쪽)

다른 나라에서는 학교에서 '일하는 값어치와 보람'을 가르친다고 합니다. 뜻밖일는지 모르나, 한국에서는 이를 잘 안 가르친다고 합니다. 어쩌면 이를 가르칠 겨를이 없을는지 모릅니다.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살피면 입시를 바라보는 곳이 있고, 취업을 바라보는 곳이 있어요. 한쪽은 '일하는 보람'을 다룰 틈이 없이 시험문제를 다루기 바쁘다면, 다른 한쪽은 '일하는 보람'에 앞서 더 많은 학생이 더 빨리 일자리를 얻도록 애쓰느라 바쁘다고 할 만해요.


삶과 삶터가 발돋움한 나라에서는 '어느 일자리'를 맞아들이든 일삯이 벌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마 이들 나라에서는 '어느 배움끈으로 어느 일자리를 맞아들이'더라도 일삯이 안 벌어질 만해요. 대학교 배움끈을 굳이 붙잡아야 하지 않을 적에는 '일하는 보람'을 비롯해서 '일해서 받는 일삯으로 손수 지을 삶'에 마음을 기울일 만하지요.

그러니까 한국은 그동안 경제성장은 이루었어도 아직 삶과 삶터가 넉넉히 발돋움하지 못한 탓에, 학교나 마을이나 집에서 '일하는 값어치와 보람'보다는 돈을 더 잘 버는 길만 가르치거나 알려줄는지 모릅니다. 이러다 보니 노동교육도 슬기롭게 펴지 못할 테고요.

a

속그림 ⓒ 철수와영희


OECD에 가입한 나라 중에서 한국은 저임금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가장 높아요. 부끄러운 일이지요. 한국은 연간 노동 시간도 멕시코 다음으로 2위예요. 한국 노동자가 일을 제일 많이 한다는 얘기예요. 성별 임금 격차도 1위예요. 남자가 받는 임금과 여자가 받는 임금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말이지요. 인구 10만 명당 산재 사망자 수도 1위예요. (60쪽)
노동자가 파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결국 사회에 도움이 되고 사회가 올바로 발전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해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런 사실을 학교에서 제대로 안 가르쳐요. (78쪽)

한국은 일하는 터전이 매우 나쁘기로 손꼽힌다고 해요. 퍽 오래된 이야기인데 앞으로 좀처럼 나아질 낌새가 없답니다. 이러면서 이주노동자가 무척 많아요. 예전에는 이주노동자가 하나같이 공장노동자였다면, 요새는 시골에서 흙일을 하는 이주노동자가 매우 많습니다. 집을 짓거나 길을 닦는 곳에서도 으레 이주노동자라지요. 바닷가에서 김을 훑거나 김을 다루는 곳에서도 으레 이주노동자입니다. 머지않아 이 땅에서 볍씨를 심거나 나락을 베는 일꾼도 이주노동자가 도맡을 수 있어요.

우리 어른은 어떤 일을 할 적에 즐겁거나 보람찰까요? 우리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앞으로 어떤 일을 이 나라 어른한테서 물려받아서 할 적에 즐겁거나 보람찰까요?

노동자가 사람답게 살려고 회사에 뭔가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처음부터 막아 버리는 아주 나쁜 제도가 비정규직 제도예요. (100쪽)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은 868만 명으로 전체 임금 노동자의 45퍼센트예요. 그런데 골프장 캐디, 택배 기사 등 실질적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통계에서 제외되었으니 비정규직 비율은 50퍼센트가 넘을 거예요. 비정규직 평균 임금은 148만 원으로, 정규직 평균 임금 297만 원의 절반가량이에요. (101쪽)
a

속그림 ⓒ 철수와영희


학교는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일하는 보람'을 즐겁게 가르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돈을 더 얻는 일자리가 아닌, 스스로 삶을 가꾸는 길에 즐겁게 맞아들일 일이란 무엇인가를 학교하고 마을하고 집에서 배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일하는 보람을 함께 나눌 적에 정규직·비정규직을 가르는 얄궂은 사슬을 푸는 실마리를 찾을 만하지 싶습니다.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우리 어른도 찬찬히 새롭게 새겨서 우리 일터가 아름다울 수 있도록 마음을 기울이면 좋겠어요. 어른부터 보람차게 일하고, 앞날을 일굴 아이들이 아름답고 상냥하며 즐거운 일터·일자리를 물려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덧붙이는 글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하종강 글 / 김규정 그림 / 철수와영희 / 2018.3.30.)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 어린이를 위한 하종강의 노동 백과

하종강 지음, 김규정 그림,
철수와영희, 2018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하종강 #노동 #청소년인문 #인문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3. 3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