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비무장지대... 개발과 생태보전, 양립가능할까

독일의 사례 무작정 따라해도 괜찮나

등록 2018.12.03 09:43수정 2018.12.03 10:47
0
원고료로 응원
 

카드뉴스 ⓒ 이주영

1953년 정전협약 이후 설정된 군사분계선, 그것을 중심으로 남북 각 2km 지역에 남방한계선, 북방한계선이 설정돼 있다. 그 사이의 공간을 '비무장지대'라고 하며, 60여년간 인간의 손을 타지 않아 야생·멸종위기 동물들의 낙원이 펼쳐져 있는 장소다.

문재인 정부 이후 남북 정상회담이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남북교류가 활발해지며, 비무장지대에 대한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다. 남북관계가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 이전에 비무장지대의 생태보전과 개발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비무장지대에서의 개발은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할까? 야생·멸종위기 동물 서식지를 피해, 주변 지역을 개발하는 것은 괜찮을까?

위험한 생각이다. 서식지뿐만이 아니라 주변지역 또한 여러 동물과 상호작용을 하므로 섣부른 개발은 생태계 보전에 치명적일 가능성이 높다. 

비무장지대에서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생태계의 보고로 변모한 독일의 그뤼네스 반트의 경우를 살펴보자.

그뤼네스 반트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분트라고 불리는 시민단체의 역할이 대단히 컸다. 그들은 철의 장막이라고 불리는 분단선의 생태계 조사를 시행했으며, 농업에 사용되어 생태계 파괴에 위험이 되는 사유지들을 사들여, 생태계 일부로 되돌리는 등 여러 노력을 했다. 

이렇듯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시민단체의 노력은 결코 무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한국의 경우에는 독일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생태계가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조심스러운 방안이 필요하며, 매설된 지뢰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국가의 협력하에 안전한 생태계복원사업이 필요하다.


개발은 차후에 충분한 복원이 되고 난 후에도 충분하며, 그 또한 생태계 보전과 부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남북을 연결하는 도로 또한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도록 '지하도로'를 개설하자는 논의가 진행된 바 있으며, 이 또한 개설과정에서 생태계를 훼손할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생태계 보전과 개발 양측 모두 고려된 방안이라는 점에서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비무장지대의 생태계. 우리와 관련 없는 일이 아니다. 정부에게만 떠넘길 수 있는 일 또한 아니다. 이제는 많은 사람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 하며, 한 번의 실수로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이며 적극적인 방안이 있어야 할 때이다.

* 위 뉴스에 사용된 이미지의 출처는 '위키피디아' '구글(재수정 가능)' '오마이뉴스' 등임을 밝힙니다.
#DMZ #생태계 #비무장지대 #그뤼네스 #반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