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하지도 않은데 이상하게 자꾸 생각나는 절

자유분방해서 더 편하고 정겨운 화순 운주사

등록 2019.01.11 11:35수정 2019.01.11 11:35
0
원고료로 응원

운주사 석불 앞에서 소원을 비는 한 가족. 지난 1월 1일 새해 첫날 운주사에서다. ⓒ 이돈삼

 
우리는 일상에서 선입견을 갖고 산다. 여행지에 대해서도 편견이 작용한다. 이런 선입견을 보란 듯이 깨주는 절집이 화순 운주사다. 절집을 생각하면 깊은 산속이 먼저 그려지는 게 인지상정이다. 웅장한 대웅전, 스님과 염주, 근엄한 불상과 정교한 석탑도 떠오른다. 발걸음도 왠지 조심해야 할 것 같다.

운주사는 다르다. 찾아가는 마음가짐부터 부담이 없다. 절집이 소박하고 아름다워서다. 운주사의 석불과 석탑은 틀에 박혀 있지 않다. 골짜기와 산등성이, 바위 밑에 널브러져 있다. 흡사 겨울날 햇볕바라기를 나온 가족들 같다. 절집에 담장이나 부도도 없다. 대웅전도 으리으리하지 않다. 
 

눈이 내리는 운주사 풍경. 새해 첫날인 지난 1월 1일 오후다. ⓒ 이돈삼

   

운주사의 석불. 각양각색의 석불이 바위 틈에 서 있다. ⓒ 이돈삼

 
운주사는 '여럿이 함께'를 떠올리게 하는 절집이다. 석탑과 석불 하나하나가 다 멋스럽다. 그것도 제멋대로 모여 있어서 더 아름답다. 사소한 것이 한데 모여 큰 힘을 내고, 상상을 뛰어넘는 위력까지 발휘하는 일상과도 닮아있다.


운주사의 석탑과 석불 하나하나는 언뜻 거칠어 보인다. 그러나 어떤 열망으로 가득 찬 느낌을 준다. 묘하게도 역동적인 힘까지 안겨준다. 화려하지 않은데, 유난히 오래도록 기억에도 남는다. 
 

운주사 석탑과 대웅전. 여느 절집과 달리 으리으리한 느낌이 없이 소박하다. ⓒ 이돈삼

   

불사바위에서 내려다 본 운주사 전경. 새해 첫날 눈이 내리면서 더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하고 있다. ⓒ 이돈삼

 
운주사는 20~30년 전까지만 해도 널리 알려진 절집이 아니었다. 소설가 황석영이 한 신문에 연재했던 대하소설 <장길산>으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주인공 길산이 여기에다 천불천탑을 세우고,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면 민중해방 세상이 열린다는 줄거리였다.

하지만 끝내 와불을 일으켜 세우지 못했다. 운주사의 전설을 토대로, 소설 속에서 운주사를 '실패한 혁명의 땅'으로 묘사한 것이다. 이 절집이 1980년대 이후 변혁을 바라는 우리 정서와 버무려지면서 미륵신앙의 성지로 떠올랐다. 
 

겨울날의 운주사 풍경. 지난 1월 1일 오후 눈이 내리고 있다. ⓒ 이돈삼

   

운주사의 와불. 소설 '장길산'에서 민중해방 세상의 상징으로 그려진 불상이다. ⓒ 이돈삼

 
새벽닭이 울어서 불상을 세우지 못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신라 말 풍수지리의 대가인 도선국사와 관련된 전설이다. 천불천탑을 세우는 도중에 한 동자승이 장난삼아 낸 닭울음소리에 석수장이들이 날이 샌 줄 알고 하늘로 가버렸다는 얘기다.

도선국사가 지형을 봤더니, 운주사 일대가 장차 임금이 나올 군왕지였다. 그 혈을 끊어놓기 위해 탑을 세웠다. 지형이 배가 움직이는 모양새였고, 그대로 두면 배가 심하게 흔들려 국운이 빠져나갈 형상이라는 얘기다. 배를 젓는 노의 위치에 천불천탑을 세웠다. 
 

운주사 석불과 석탑 풍경. 여느 절집에서 볼 수 없는 생김새를 하고 있다. ⓒ 이돈삼

   

운주사의 석불. 바위 틈에서 바위벽에 기대 서 있다. ⓒ 이돈삼

 
운주사에는 현재 97기의 석불과 석탑이 남아 있다. 불상이 80기, 석탑이 17기다. 석탑과 석불의 생김새는 각양각색이다. 일정한 틀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생겼다. 운주사 석탑과 석불이 지닌 매력이다.

석탑은 대부분 자연암반 위에 세워져 있다. 호떡이나 항아리 모양의 돌탑도 있다. 다듬지 않은 돌을 크기대로 그냥 올려놓은 것 같다. 원형다층석탑은 제사 때 쓰는 제기 위에 떡을 포개놓은 것처럼 보인다. '떡탑'이라 불린다.
  

각양각색의 운주사 불상들. 저마다 독특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 이돈삼

   

운주사 석탑. 바위 위에 세워져 있는 모습이 독특하다. ⓒ 이돈삼

 
석불도 바위에 비스듬히 기대고 서 있거나 앉아있다. 얼굴은 홀쭉하거나 동그랗다. 코가 닳아서 떨어져 나간 것도 있다. 눈매는 희미하거나 비대칭을 이루고 있다. 어떻게 보면 못생겼고, 어찌 보면 우습게 생겼다. 그래서 더 정감이 간다.

석불과 석탑을 하나하나 껴안아본다. 볼을 살포시 석불에 대보기도 한다. 거친 느낌이 좋다. 석불이 이런저런 얘기를 들려주는 것 같다. 석불을 조각하던 석공들의 정과 망치소리도 들려오는 듯하다. 
 

화순 운주사 일주문. 지난 1월 1일 눈이 내렸다. ⓒ 이돈삼

#운주사 #천불천탑 #도선국사 #원형다층석탑 #와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AD

AD

AD

인기기사

  1. 1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2. 2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민주당은 앞으로 꽃길? 서울에서 포착된 '이상 징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