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를 잘 붙게 한다는 '산골', 그 산골 마을이에요

[써니's 서울놀이 38] 40여 년간 단절된 마을과 산을 이어준 생태연결로

등록 2019.01.15 11:58수정 2019.06.26 14:30
0
원고료로 응원

40년 넘게 끊겼던 산길과 마을을 이어주는 생태연결로. ⓒ 김종성

생태연결로는 도로가 생기면서 단절된 산이나 하천에 사는 야생동물들이 오가기 편하도록 만든 길이다. 서울 은평구 녹번동과 응암동 도심 속의 생태연결로는 산짐승과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길이다.

은평구의 물줄기 불광천과 한강처럼, 백련산과 북한산은 자연스레 이어져 있었다. 백련산(215m)은 서울시와 사단법인 생명의 숲이 '초록숲길(Green Trails)'로 지정할 정도로 길고 걷기 좋은 능선이 있는 은평구의 대표적인 산이다. 1972년 도로(통일로)가 조성되면서 산길이 끊겼다가, 무려 43년 만인 2015년 백련산과 북한산을 잇는 생태연결로가 생겨났다. 길이 55m, 폭 13.6m, 다리 높이가 15m에 이르는 생태연결로는 사람이 다니는 좁은 통로를 제외하고 10.8m 폭의 공간을 야생동물에게 할애했다.


동물 통로는 주변보다 1.7m 더 높게 성토를 하고, 나무를 심어 야생동물을 배려했다. 녹번역 및 통일로에서도 이용이 가능토록 진입계단을 만들었다. 동네 주민들은 생태연결로 덕분에 백련산 또는 3호선 전철 녹번역에서 북한산과 천년 고찰 진관사까지 갈 수 있는 '은평둘레길(4코스)'을 걸을 수 있게 됐다.

도심 속 섬 같은 동네, 산골마을
  

도로(통일로)가 지나면서 분리된 산골마을 안내도. 집집마다 재밌는 설명이 적혀있다. ⓒ 산골마을 안내판 촬영

산골마을과 어울리는 작은 암자. ⓒ 김종성

생태연결로를 지나다보면 '산골마을'이라 적혀있는 흥미로운 표지판을 만나게 된다. 생태연결로 양편에 있는 2곳의 작은 마을(녹번동 71번지, 응암동 30번지)로 주변을 에워싸듯 들어선 아파트 옆에 웅크리듯 낮게 자리하고 있다.

단독·다가구 주택으로 이뤄진데다 텃밭, 골목길, 관음사라는 작은 암자까지 있어 마치 도심 속 섬처럼 다가온다. 산골마을은 원래 하나의 마을이었으나 1972년 도로(통일로)가 마을을 관통하면서 둘로 쪼개지고 말았다. 민족통일의 의지가 담겨있는 상징적인 도로를 만들기 위해 이전부터 있어온 마을을 분리하다니 조금 아이러니하기도 하다.

마을 입구에 서있는 안내지도가 발길을 붙잡았다. 마을이 작다 보니 집집마다 설명글이 붙어있다. '3대가 모여 사는 집', '마을 김장때 마당을 내주는 집', '쓰레기를 치우고 주민들이 가꾼 마을 수목원'... '햇살이 따듯해 속아 산 집'은 글 대로였다. 동네 고양이들이 이 집 지붕에 모여 앉아 해바라기를 하는 모습이 안온하고 평화롭기만 했다.
 

집집마다 문패 옆에 달려있는 흥미로운 안내판. ⓒ 김종성

2012년 ‘서울시 주거환경관리사업’으로 말끔해진 산골마을. ⓒ 김종성

‘햇살이 따듯해 속아 산 집’ 지붕위에 모여있는 고양이들. ⓒ 김종성

마을극장 '산골 시어터'도 있는데 동네 청년 회장이 집안에 작은 상영관을 만들어놔 주민들이 영화를 볼 수 있단다. 다채롭고 재밌는 집 소개글은 문패 옆에도 붙어있다. '개가 짖을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라고 대문에 손글씨를 붙여놓은 어느 집에서 정다운 마을 분위기가 느껴졌다.

작고 정겨운 동네와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을 찾아 떠나는 KBS TV의 여행 프로그램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에도 나왔다는데 그럴만한 마을이다. 마을회관에 들어갔다가 반갑게 맞아주시는 동네 어르신들에게서 옹색했던 산골마을이 정겹고 살기 좋은 곳이 된 이유를 알게 됐다.


2012년 서울시와 은평구에서 산골마을 주민들에게 재개발 대신 주민이 참여하고 주도해 마을을 재생하는 '서울시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지원했단다. 이후 동네가 말끔해지는 건 물론이고 반상회 한 번 없던 마을에 정기적인 주민모임이 생겨나고 소통하는 마을이 됐다니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뼈를 붙여준다는 광물질 '산골', 동네 이름의 유래가 되다
  

산골이 나오는 전국에서 가장 작은 광산. ⓒ 김종성

바윗돌 사이에 반짝이며 숨어있는 자연동(自然銅), 산골. ⓒ 김종성

'산골마을'의 산골은 두메산골이나 산골짜기의 산골이 아니란 것도 알게 됐다. 산골(山骨)마을은 골절치료에 사용하는 광물질인 산골(자연동, 自然銅)이 많이 나오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산골고개'라는 옛 지명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생골(生骨)이라 불리기도 하는 산골은 <동의보감>에도 나오는데 뼈가 부러지거나 관절이 좋지 않을 때 산골을 먹으면 뼈와 근육에 진액이 빨리 나와 뼈가 잘 붙는다고 한다.

놀랍게도 산골을 채취해 판매하는 광산이 마을에 남아있다. '노다지'란 말이 생겨날 정도로 한반도 전역에 광산 개발 붐이 일었던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대 생겨났단다. 산업통상자원부에 정식으로 등록된 서울지역의 유일한 광산이며, 전국에서 가장 작은 광산이다.
  

뼈에 좋은 약재로 <동의보감>에도 나오는 산골. ⓒ 김종성

옛날엔 '녹반현, 녹번이 고개'로 불렸던 산골고개. ⓒ 김종성

선대에 이어 광산을 운영하고 있다는 초로의 아저씨가 동굴 속 평평한 공간엔 흔한 라디오도 켜놓지 않은 채 홀로 광산을 지키고 있었다. 그 모습은 마치 세상일에 초탈한 도인처럼 보이기도 하고, 1920~1930년대 한반도에 휘몰아쳤던 골드 러쉬(Gold Rush)에 뛰어든 산전수전 다 겪은 노련한 개척자 같기도 했다.

광산 이야기를 들려주던 아저씨는 책상 서랍을 열더니 광산의 이름이자 이곳에서 나는 광물질인 '산골'을 보여줬다. 입구는 작지만 산골을 캐는 광산 갱도의 깊이가 70여 미터나 된다고 한다.

가까운 전철역인 녹번역엔 이 광산과 관련된 동네 이름의 유래가 안내판에 적혀있다. '산골은 녹반(綠礬, 광물이름)이라고도 하는데, 산골이 많이 나는 이 지역에 자연스레 녹반현(綠礬峴), 녹번이 고개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이는 오늘날 녹번동의 지명 유래가 되었다.'
덧붙이는 글 * 지난 1월 12일 다녀왔습니다.
* 산골마을 교통편 : 3호선 녹번역(2,3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이 기사는 서울시 '내 손안에 서울'에도 실립니다.
#산골마을 #생태연결로 #산골판매소 #은평둘레길 #녹번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