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에 뛰어든 유일한 대한제국 대신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청운문학도서관 ① 동농 김가진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등록 2019.02.24 16:46수정 2019.05.22 11:24
0
원고료로 응원
도서관 이용자와 도서관 사서가 함께 쓴 도서관 역사 여행기입니다. 대한제국부터 대한민국까지 이어지는 역사 속 도서관,  도서관 속 역사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편집자말]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淸雲洞)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맑은 구름이 있는 동네라는 뜻이다. '푸른 구름'도 아닌 '맑은 구름'이라니. 흔치 않은 지명이 탄생한 배경은 따로 있다. 일제 시대 청풍계(淸楓溪)와 백운동(白雲洞)을 합치면서 지금의 청운동이 탄생한 것이다. 

'청풍계'는 인왕산 54번지 일대 계곡으로 조선시대에는 사람들이 자주 찾던 명승이다. 푸른 단풍나무가 많아서 청풍계(靑楓溪)라 불렸다.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이 젊은 시절 별장을 꾸미면서 맑은 바람이 부는 계곡, 청풍계(淸風溪)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선원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종묘의 신주와 빈궁, 원손을 받들어 강화도로 피신, 강화성 함락과 함께 순국했다. 김상용의 동생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은 병자호란 때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고수했다. 영화 <남한산성>에서 화친을 주장하는 최명길(崔鳴吉, 이병헌 분)에 맞서 강경한 척화론(斥和論)을 편 이가 바로 김상헌(김윤석 분)이다. 김상헌은 병자호란이 끝난 후 청나라에 끌려가 6년 동안 억류 당하기도 했다. 

김상용과 동생인 김상헌의 후손이 조선말 세도 정치의 주인공 '장동 김씨'다. 청풍계는 장동 김씨의 세거지(世居地)였다. 김상헌의 집터는 '무궁화동산'이 됐다. 고즈넉한 이곳은 우리 현대사의 주요 현장이기도 하다. 1979년 10월 26일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쏜 '궁정동 안가'가 바로 여기다. 무궁화동산에는 휘어진 소나무가 한 그루 있다. 여기서 박정희 대통령이 총을 맞고 쓰러졌다고 알려졌다. 

명승이던 청풍계는 일제 시대 미쓰이(三井) 사가 들어서면서 풍광을 잃고 말았다. 한양의 명당수 청계천(淸溪川)은 '청풍계에서 흘러나온 개천'이라는 뜻인데, 골짜기 대부분이 복개돼 옛 자취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금은 김상용이 바위에 새겼다는 '백세청풍'(百世淸風), 네 글자만 남아 있다. 

흰구름이 떠 있는 계곡, 백운동
 

인왕산 백운동 계곡 한양의 경치 좋은 다섯 곳 중 하나로 꼽혔던 백운동 계곡. 서울시 기념물 40호로 지정되었다. ⓒ 백창민

 
인왕산 백운동 계곡 역시 조선시대 빼어난 경치로 유명했던 곳이다. 인왕산 기슭에서 나고 자란 겸재 정선은 <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을 통해 백운동의 아름다운 풍광을 화폭에 남긴 바 있다.

'흰구름이 떠 있는 계곡'이라는 뜻의 백운동은 예로부터 삼청동, 인왕동, 쌍계동, 청학동과 함께 한양에서 경치가 좋은 다섯 곳 중 하나로 꼽혔다.


백운동 계곡은 터널 공사와 개인 주택 건축으로 옛 모습과 달라졌지만 원래 모습이 남아 있다. 서울시는 2014년 8월 21일 자하문터널 위쪽 백운동 계곡을 서울시 기념물로 지정했다.

이곳이 백운동 계곡이었음을 알게 해주는 유적 중에 바위에 새긴 '백운동천'(白雲洞川) 각자(刻字)가 있다. 이 글씨는 대한제국 법부대신 동농(東農) 김가진(金嘉鎭)이 새겼는데, 그의 집 백운장(白雲莊)이 이곳에 있었다.

동농 김가진 이야기
 
a

대례복 입은 동농 김가진 뛰어난 외교관이자 개혁 관료, 당대 명필이었던 동농 김가진은 대한제국 대신 중 유일하게 해외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우리가 동농 김가진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그가 대한제국 대신(大臣) 중 유일하게 해외 독립운동에 투신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나라가 망했는데 녹을 받던 대신 중 독립을 위해 헌신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면? 동농이 아니었으면 싸우지도 못하고 국권을 빼앗긴 망국의 역사가 더욱 부끄러울 뻔했다. 

동농 김가진은 1846년 1월 29일 서촌 신교동에서 태어났다. 앞서 말한 선원 김상용의 12세손이다. 장동 김씨 후손이지만 서자였던 그는 적서차별을 호소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문재(文才)를 인정받았다.

서른 네 살 때인 1877년 11월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돼 관직을 시작했다. 정조 시대 이름을 날린 사검서(四檢書)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 '사서'로 시작한 그의 경력이 이채롭다. 이후 근대 무기를 개발하는 기기국에서 일했고, 1883년 인천항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에서 유길준과 함께 개화 업무를 담당했다.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과 절친했으나 갑신정변이 났을 때 인천에서 일하던 때라 가담하지 않았다. 내무부로 옮기고 나서 고종을 세 차례 만나 개혁 정책을 올렸고, 1886년 2월 치러진 정시문과에 급제해 홍문관 수찬이 됐다. 개화기로 접어들며 인재를 파격적으로 등용하자는 방침에 따라 서얼도 과거 시험을 보고 고위직에 오를 수 있게 됐다. 서얼 출신이던 김가진, 이범진, 윤웅렬은 이런 분위기 속에 등용된 인재다.

과거 급제 후 동농은 1887년 5월 일본공사관 참찬관으로 파견됐고, 10월부터는 주일공사가 돼 도쿄에서 4년간 외교관으로 일했다. 그는 남다른 언어 습득 능력으로 일본어, 중국어, 영어에 능통했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을 쓴 새비지 랜도어(Savage-Landor)는 김가진을 이렇게 평했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재기가 출중했으며 내가 만난 수많은 훌륭한 외교관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외교관이었다." 

1895년 갑오개혁 때 동농은 국군기무처 의원으로 홍범 14조를 비롯, 각종 개혁안을 만들었다. 1895년 농상공부대신을 역임하고 1896년 독립협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만민공동회에도 참여했다. 독립문의 한글과 한문 현판을 쓴 사람도 김가진인데 그가 당대의 명필이었기 때문이다. 창덕궁 후원의 관람정, 금마문, 부용정, 애련정, 희우정 현판과 주련에도 동농의 글씨가 남아 있다.

1897년 황해도 관찰사, 1904년 3월 농상공부대신을 거쳐 9월 법부대신이 됐다. 1905년 체결된 을사늑약을 민영환과 함께 반대했다. 을사늑약 반대가 좌절되자 1906년 충청도 관찰사로 자진 좌천했다. 순종이 즉위한 1907년 규장각 제학(提學)을 마지막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자신이 검서관으로 일을 시작한 규장각의 최고위직까지 오른 것이다. 말단 사서로 출발해 도서관장까지 된 셈인데, 규장각 검서관 출신으로 제학까지 오른 이는 그가 유일할 것이다. 

해외 독립운동에 뛰어든 대한제국 대신
 

대동단 총재 김가진 상하이 망명 직후 찍은 사진으로 동농은 74세의 나이로 해외 독립투쟁에 나섰다. ⓒ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규장각 제학을 사임한 후 김가진은 1908년 6월 대한협회 회장에 취임해서 한일합방을 주장하는 일진회와 대립했다. 1910년 8월 22일 한일 강제병합이 이뤄지자 칩거했다. 조선귀족령에 의거, 일제가 대한제국의 중신(重臣)에게 수여하는 남작 작위를 받았으나 연금 수령을 거부했다.

동농은 백운동 일대 5천 평이 넘는 부지에 고종이 자재를 하사해서 지은 백운장에 살았다. 집사가 인장(印章)을 도용하면서 백운장은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저당 잡히고 소유권 분쟁에 휩싸인다. 결국 김가진 일가는 백운장에서 나와 사직동(사직동 162)과 체부동에서 지냈다.

3.1 운동 후 김가진은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고, 1919년 4월 결성된 비밀 독립운동 조직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 총재로 활동했다. 동농이 조선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머물던 체부동 86번지는 음식점 '토속촌 삼계탕'이 확장한 공간으로, 지금도 길가에 김가진 집터 표석이 있다. 

대동단은 우리나라 정당과 사회단체 중 처음으로 사회주의를 표방한 단체다. 1919년 11월 28일 대동단은 독립선언문을 발표하고 전국적인 시위를 전개하려다 실패했다. 조선에서 대동단 활동이 어려워지자 김가진은 그해 10월 10일 아들 성엄(省俺) 김의한(金毅漢)과 함께 상하이로 망명했다. 이때 그의 나이 74세였다. 일산역에서 경의선 열차를 타고 상하이로 망명하면서 김가진은 시 두 수를 남겼다. 
 
나라는 깨지고 임금은 돌아가시고 사직은 기울었는데(國破君亡社稷傾) 
부끄러움 안고 죽고 싶은 심정 참으며 여태껏 살았노라(包差忍死至今至) 
늙은 몸이 하늘 뚫는 뜻을 아직 지니고 있으니(老身尙有沖宵志) 
단숨에 솟아올라 만리를 날아간다(一擧雄飛萬里行) 
 
백성과 나라가 존망의 위기, 어찌 감히 일신을 돌보리(民國存亡敢顧身) 
하늘과 땅에 포위망이 깔린 곳에서 귀신같이 탈출했다(天羅之網脫如神) 
누가 알까 삼등칸의 저 길손이(誰知三等車中客) 
찢어진 갓과 누더기 옷을 입은 옛 대신임을(破笠襤衣舊大臣)

[다음 기사] 서촌 '핫플'인 이곳에서 꼭 찾아야 할 네 글자
#김가진 #독립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일제강점기 #청운문학도서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책을 좋아해서 책사냥꾼으로 지내다가, 종이책 출판사부터 전자책 회사까지 책동네를 기웃거리며 살았습니다. 책방과 도서관 여행을 좋아합니다.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에 이어 <세상과 도서관이 잊은 사람들>을 쓰고 있습니다. bookhunter72@gmail.com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