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리 미사일 시설 복구는 하노이 회담 전에 시작"

외교부 공식 확인... "모두에 도움되는 현명한 선택하길"

등록 2019.03.12 16:26수정 2019.03.12 16:26
1
원고료로 응원

미국 <38노스>가 제시한 3월 2일 촬영 위성사진.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의 엔진시험대 상부 구조물이 일부 복구돼 있다. ⓒ 38NORTH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을 일부 복구한 것과 관련, 외교부는 "제2차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이전부터 동창리 발사장 복구 상황을 미 정부와 함께 면밀히 주시해 왔다"고 밝혔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최근 언론에 보도되는 북 동창리 발사장의 동향을 우려하고 있다. 북측이 현명한 판단을 통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선택을 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하노이 회담 이전부터 (공사를 하고 있었다고) 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지난 2월 27~28일 이전부터 시험장 복구가 시작됐고, 이같은 움직임을 한국과 미국이 공히 파악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지난 5일 서훈 국정원장은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의 일부 복구 움직임이 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가 3월 2일 촬영된 상업위성 사진을 바탕으로 복구작업이 '2월 16일부터 3월 2일 사이에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당시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이같은 상황을 제시하면서 "하노이 정상회담이 결렬된 지 이틀만에 취해진 조치는 제재해제를 거부한 미국에 북한의 결의를 보이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북측이 회담이 시작되기도 전에 동창리 시험장 복구를 시작한 것은 이같은 움직임이 회담 결렬과는 큰 상관이 없다는 점을 확인시켜 준다.

'비핵화 의지 홍보' 목적인가, 진짜 시설 복구인가

2차 북미정상회담 직전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한 의도에 대해 정보당국이 가능성 높게 보는 것은 '회담 타결 뒤 신속한 폐기 조치'를 위한 준비라는 것이다. 이 시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거듭 폐기를 약속한 곳이어서 회담 타결 시 이 시설을 미국 등의 참관 하에 폐기하는 게 '초기 신뢰조치'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복구 작업 전, 엔진 시험대는 하부 콘크리트 구조물만 남아 있는 상태였고, 연료/산화제 벙커도 지붕이 철거된 상태였다. 발사장의 궤도 이동식 구조물도 절반 정도 뜯겨 나간 상태였는데 이 상태에서 폐기를 하는 것보다는 외관을 다소 복구해 놓고 폐기하는 게 '비핵화 의지 홍보 효과'가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회담 직전부터 복구를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후 회담은 결렬됐고, 북측이 내친 김에 동창리 미사일 관련 시설을 기능적으로 완전히 복구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동창리뿐 아니라 다른 미사일 관련 시설의 움직임이 주목 받고 있고, 미국 언론에선 북한의 핵무기 원료 추가 생산 가능성 등을 제기하면서 '북한이 비핵화 협상 테이블을 벗어나려는 의도'라는 보도가 나온다.

북한 상황에 대한 논평은 거의 통일부로 넘겨 왔던 외교부가 이날 브리핑에서 북측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현명한 판단'을 주문한 것은 하노이 회담 결렬 뒤 예기치 못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동창리 #외교부 #하노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4. 4 [단독] 김건희 일가 부동산 재산만 '최소' 253억4873만 원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