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에 글 올렸다가... '갱년기 보이' 놀림 받았습니다

[내 인생의 하프타임] 반려견의 죽음에서 시작된 글쓰기

등록 2019.05.29 21:03수정 2019.05.29 21:03
1
원고료로 응원
운동 경기뿐만 아니라 인생에도 하프타임이 필요한 순간이 있습니다. 삶의 전반전을 마치고 후반전을 준비하는 50대 남성의 이야기입니다.[편집자말]
저는 고등학교 동기들이 모인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이름 대신 별명으로 불립니다. '갱보'라고요. 외국의 어느 유명한 시인을 떠오르게 하지만 그냥 어떤 두 단어에서 앞 단어만을 따온 줄임말입니다. '갱년기 보이', 줄여서 갱보라고 부르지요.

이 별명으로 불린 지 2년이 되어갑니다. 아마도 그때쯤부터 저는 그 전과는 다른 모습을 친구들에게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평소와 달리 감상적으로 굴 때가 많았고, 친구들은 그런 저를 보고 대화방에서 대놓고 흉을 봤습니다.
 
"저 녀석, 오춘기를 겪는 건가?"
"오춘기는 무슨. 갱년기를 겪는 게지."



그러다가 어느 친구가 저를 '갱년기 보이'라고 놀렸고, 그렇게 앞글자만 따서 갱보가 됐습니다. 아무튼, 저는 친구들이 느낄 정도로 변해갔습니다. 그런 계기도 있었고요.

2017년 6월, 16년을 키운 반려견을 떠나보내고 큰 상실감을 겪던 중이었습니다. 그런 제 심정이 녹여진 글들을 SNS나 친구들이 모인 대화방에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전까지는 주로 정책이나 세상사에 관한 글을 쓰던 제가 갑자기 자연과 생명을 노래했으니 친구들이 이상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죠.

글쓰기에 눈을 뜨다

저는 먼저 반려견과 함께한 16년을 글로 정리했습니다. 문학을 배운 적은 없지만, 소설 형식을 빌려서 단편 10여 편을 썼습니다. 그 글들을 어느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려서 잔잔한 반응을 얻기도 했고요.

머리로만 생각했던 이야기를 글로 완성해가는 재미를 느꼈습니다. 그 아이가 곧 떠날 거라는 건 머리로는 알았지만 막상 떠나버리니 허전해졌습니다. 그 텅 빈 마음에 글을 차곡차곡 채워 넣었고, 어느덧 치유돼가는 걸 느꼈습니다. 녀석이 떠난 자리는 무척 컸지만, 글쓰기가 그 자리를 메운 거지요.
 

학익진 탄천의 흰뺨검둥오리들. 오리들이 나란히 가다가 브이자 대형이 된 모습을 두고 '학익진'을 펼쳤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었다. ⓒ 강대호


그러던 어느 날, 제가 사는 분당을 흐르는 하천인 탄천을 새롭게 바라보게 됐습니다. 반려견과 함께 걷던 탄천을 혼자 걷게 된 후에야 말이죠. 처음에는 손에 전해지던 목줄의 반동이 없어서 어색했습니다. 자연스레 눈을 다른 곳으로 돌려봤습니다. 강아지 궁둥이만 쫓던 눈에 다른 생명이 눈에 들어온 거지요. 탄천과 나무와 물새들이요.


탄천을 십 년 넘게 다녔지만 처음 보는 광경처럼 놀라웠습니다. 보기보다 맑은 물에는 커다란 잉어들이 돌아다녔고 물억새와 버드나무는 바람 따라 춤추는 듯했거든요. 무엇보다도 물새들이 많아서 눈이 즐거웠습니다.

처음에는 몸통이 작은 건 오리요 큰 건 백로인 줄 알았는데, 생긴 것만큼이나 다양한 종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백로, 중백로, 왜가리… 호기심이 생겨서 새에 관한 책들을 여러 권 사서 공부하고 그랬습니다.

그렇게 찍은 물새들 사진에 저만의 해설 혹은 해석을 달아 SNS에 올렸습니다. '오리들이 일자진에서 학익진을 펼치고 있네요'라는 식으로요. 그런 제 글이 좋다는, 재미있다는 반응들이 탄천과 저를 더 가깝게 만들었습니다. 급기야 스마트폰 카메라로는 부족해서 카메라도 하나 구했고요. 나중에는 망원렌즈까지 구했습니다.

이렇듯 어떤 계기가 이끈 상황들이 제게 글에 대한 눈을 뜨게 했습니다. 반려견과의 기억을 짧은 소설로 쓴 것이 글쓰기의 힘을 느끼는 계기가 됐다면, 탄천의 물새 이야기를 SNS에 올리는 것은 자연 관찰과 기록의 묘미를 깨닫는 계기가 된 거지요. 아무튼, 그런 글들을 보고 친구들은 제가 이상하게 변해간다고 염려하게 된 겁니다.

진지한 글쓰기를 위한 계획

이런 우여곡절 끝에 갱보라는 멋진 별명을 얻었습니다. 물론 친구들은 제가 변해가는 모습을 놀리려는 마음도 있었겠지요. 그런데 제가 꾸준하게, 진지하게 그런 글들을 쓰니까 수필에 도전해 보면 어떻겠냐고 조언해 주는 친구도 있었습니다. 잘만 정리하면 수필이 될 것도 같다면서요.

주변의 조언을 들으며 제 글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분 좋기도 했지만 조금은 두려웠습니다. 그때까지는 그냥 생각나는 대로 써나간 글이었거든요. 글을 쓰고 읽는 제가 만족하고 마는 지극히 개인적인 글이었던 거지요. 그런데 다른 사람들도 제 글을 읽는다고 생각하니 가볍게 쓸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써야겠다는 마음을 먹었고 먼저 수필에 도전해 보겠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수필이 문학적 글쓰기의 기본이라고 생각했거든요. 당시 '글을 본격적으로 쓰면 어떨까' 하며 인생 후반전 계획을 진지하게 세우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우선 수필 개론서들이 강조한 글 소재와 주제, 구조와 문체 등을 공부했고, 수필 문예지들도 들춰 보면서 등단작들과 그 심사평들을 연구했습니다. 그렇게 쓴 작품으로 한 월간 문예지 신인작품상을 받으며 수필가로 등단했습니다.

이 소식을 접한 친구들이 축하하는 의미에서 갱보라는 별명에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해 주었습니다. '갱보(鏗普)'라고요. '금옥 소리', 혹은 '거문고가 울리는 소리'라는 뜻을 가진 '갱(鏗)'과 '널리 퍼지다'는 뜻을 가진 '보(普)'를 합쳐서요.

"갱보 선생. 거문고 소리처럼 깊은 글을 많이 써서 퍼뜨려 주시게."

갱년기 남성들에게
 

수필가 등단 2018년 월간문학 3월호에 실린 신인작품상 당선 소감 ⓒ 강대호


친구들이 붙여준 우아한 의미도 좋지만, 원래 의미인 '갱년기 보이'도 저는 맘에 듭니다. 어쩌면 '갱년기 즈음의 철부지 아저씨'라는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어떤 벽을 뛰어넘고자 하는 힘찬 모습이 느껴지기도 하거든요.

우리 또래에게 갱년기는 아마도 드러내기 힘든 자화상일 겁니다. 특히 남성에게는요. 여성에게는 대표적인 증상이라도 있지만, 남성에게는 콕 집어 얘기할 만한 증상이 없기도 하고, 있더라도 서서히 진행되거든요. 게다가 남자다움, 남편다움, 아비다움이 없어진다고 생각해서인지 숨기고 싶어 하는 분위기도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많은 남성이 그러한 증상을 스트레스로 생각하거나, 그냥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고 하네요. 그러다 감정 표현도 잘 못하게 되고 점점 움츠러들기도 하면서요.

삼성서울병원 등 여러 병원의 건강 칼럼에 의하면, 신체적으로 변화가 오는 우리 또래 남성들은 그럴 때야말로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자기 생활이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주위 사람들과 진솔한 대화의 시간을 자주 갖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글쓰기도 좋은 대화 방법입니다. 글을 쓰면서 자기와 대화를 나누기도 하지만 그 글을 읽는 사람과도 대화를 나누게 되니까요. 물론 처음부터 자기의 글을 남에게 보여주기는 부끄러울 수 있습니다. 마치 옷 벗고 사람들 앞에 선 느낌을 주니까요.

저는 우선 쓰는 게 중요하고, 자기가 쓴 글을 들여다보며 미처 몰랐던 자기 마음을 깨닫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서 알게 된 자기의 마음을 외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갱년기는 모든 사람에게 겪는 통과의례이지만 어떻게 넘어가냐에 따라서 남은 생이 결정될 수도 있으니까요. 저는 할 수만 있다면 소년이 된 듯 활기차게 도전하면서 늙어가고 싶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갱년기 보이'라는 말에서 움츠리기보다는 그 벽을 뛰어넘으려는 젊은 힘을 느낀 겁니다. 저는 그래서 예전 삶에 매몰되지 않고 꾸준히 변화를 끌어내는 우리 또래들 모두를 갱년기 보이, 갱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저 혼자만 독점하기에는 너무나 아까운 별명이니까요.

나아가 저는 세상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갱보들을 많이 만나고 싶습니다. 저도 그런 갱보가 되고 싶고요. 그런 동지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생 후반전을 준비하는 이 시기에 큰 힘이 될 테니까요. 그럼 어디 한 번 이 벽을 견디면서 함께 넘어가 볼까요.
덧붙이는 글 '내 인생의 하프타임'은 격주 수요일에 연재됩니다. 이 기사는 기자의 블로그에도 실립니다.
#내 인생의 하프타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50대 중반을 지나며 고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봅니다. 내가 나고 자란 서울을 답사하며 얻은 성찰과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보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여론조사로 본 4.10 총선 판세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