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에 항거 이봉구 선생 등 178명 '독립유공자' 포상

74주년 광복절 맞아... 건국훈장 49명, 건국포장 28명

등록 2019.08.13 09:03수정 2020.11.05 14:17
0
원고료로 응원
오는 15일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지난 1919년 4월 경기 화성시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12년을 받은 이봉구(李鳳九) 선생과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된 박기옥(朴己玉) 선생 등 178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

훈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74주년 광복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본인과 유족에게 수여된다.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에 따르면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49명(독립장 1, 애국장 8, 애족장 40), 건국포장 28명, 대통령표창 101명으로, 이중 생존 애국지사는 1명(백운호, 89세)이며, 여성이 10명이다.

15일 중앙기념식에서는 포상자 중 유일한 생존애국지사로 항일비밀결사에 참여하고 1942년 사회 질서와 안전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체포돼 고초를 겪었던 백운호 선생이 대통령표창을 받을 예정이다.
 
a

「매일신보」1921년 1월 23일자 기사. 이봉구 선생이 1919년 4월 3일 수원 장안면에서 촌민 수백명과 독립만세를 부르고 장안면사무소를 습격, 우정면사무소, 우정면 화수리 경찰관주재소 등을 파괴하고 주재순사를 처단 후 체포되어 검사국으로 송국되었다고 보도하였다. ⓒ 매일신보

 
1925년부터 제주청년연합회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1931년 6월 비밀결사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돼 징역 5년을 받은 고(故) 김한정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국장, 1920년 7월 프랑스에서 재법한국민회 제2대 회장으로 활동하고 같은 해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독립운동자금을 전달하는 등 조국독립에 기여한 고(故) 홍재하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포상하며, 이날 증손과 자녀가 각각 포상을 수여받는다.

또 1919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사무국 사리원 지국장으로 항일선전문을 배포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돼 징역 7개월을 받은 고(故) 제갈관오(남, 건국포장) 선생과 1929년 10월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일본인 학생들에게 희롱당해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됐고, 백지동맹에 참여한 고(故) 박기옥(여, 대통령표창) 선생의 손자와 자녀가 각각 포상을 받는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이번 포상을 포함해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자는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건국훈장 1만1014명, 건국포장 1308명, 대통령표창 3367명 등 총 1만5689명(여성 444명)이다.

보훈처는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사료수집 등 협업을 활성화하고, 국내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함으로써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그 분들의 나라사랑 정신과 독립정신을 드높이는 노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국가보훈처가 밝힌 이번 포상자 중 주요 인물들의 독립운동 공적이다.

격렬한 투쟁으로 무단통치의 폭압에 항거한 투사, 이봉구 선생

3․1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중형을 받은 이봉구(李鳳九) 선생께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서울 순화동의 한 여관에서 고용인으로 일하던 중 1919년 4월 경기도 화성시 장안․우정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앞장섰다가 체포되어 징역 12년이라는 중형을 받고 큰 고초를 겪었다. 서울에서 3․1운동을 목도한 선생은 바로 고향인 장안면으로 내려가 1919년 4월 3일 수백 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장안면사무소와 우정면사무소, 우정면 화수리 경관주재소 등을 공격․파괴하는데 앞장섰다. 선생은 화수리 경관주재소에서 일본인 순사를 처단한 후 2년 가까이 피신하였다가 1921년 1월 서울에서 체포되었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21.4.15)과 『매일신보』(1921.1.23) 등 여러 건의 신문기사에서 활동내용이 확인됨으로써 이루어졌다. 무단통치로 일컬어지는 1910년대 일제의 폭압에 가장 격렬하게 투쟁하다 만세운동 사건으로는 이례적이라 할 중형을 받은 사례이다. 한편, 독립만세운동 당시 경기도 안성과 더불어 전국적으로도 격렬한 항쟁을 벌인 것으로 유명한 화성시에서 포상을 신청한 것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에 지방자치단체와 보훈처가 협업한 사례이다.

사제(師弟)가 하나된 독립만세의 함성, 전주 신흥학교의 세 영웅

스승과 제자가 하나되어 3․1운동에 참여한 전주 신흥학교(신흥고등학교의 전신)의 유병민(劉秉敏)․문병무(文秉武)․김경신(金敬信) 세분께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유병민 선생과 문병무 선생은 전북 전주에서 미국 기독교계 선교사가 운영하는 신흥학교(新興學校) 교사로 1919년 3월 초 학교와 인근 자택에서 제자인 신흥학교 학생들 십여 명을 대상으로 "조선은 독립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으로 체포된 유병민 선생은 징역 1년을 받았고, 체포를 피한 문병무 선생도 궐석재판에서 징역 1년을 받았다. 김경신 선생은 위 유병민․문병무 선생의 제자로 조선독립을 역설하는 두 교사의 역설에 공감, 1919년 3월 13~14일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紀全女學校) 학생 및 시위군중과 함께 전주시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동료학생 10여 명과 시내 교회를 순회하면서 "독립운동은 종교단체에서 주동하였으니, 예수교인들은 예배시간에 독립의 성취와 구금된 애국동포를 위하여 하나님께 기원하여야 한다"고 연설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다. 주목할 것은 김경신 선생의 독립운동이 3․1운동 참여에 그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후에도 그는 1921년 11월 전주 동료의 자택에서 '워싱턴회의'(1921.11.12~1922.2.6)에 맞춰 제2의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유병민․문병무 선생에 대한 포상은 판결문(광주지방법원 전주지청, 1919.6.24; 12.24)과「수형인명부」, 김경신 선생에 대한 포상은 판결문(광주지방법원 전주지청, 1919.6.24; 1922.3.13, 대구복심법원, 1919.7.28.,1922.5.1, 고등법원, 1919.10.9)과 「수형인명부」등 행형기록에서 공적내용이 확인되어 이루어졌다. 한편, 세분은 전주시에서 포상을 신청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와 보훈처가 협업한 사례이다.


전남 나주에서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된 박기옥 선생
서울에서 광주학생운동 동조시위에 앞장선 최현수 선생


전남 나주에서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된 박기옥(朴己玉) 선생과 서울에서 광주학생운동 동조시위에 앞장선 여성 독립운동가 최현수(崔賢守) 선생께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박기옥 선생은 1929년 10월 말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등교길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에게 희롱을 당해 전민족적 항쟁으로 번진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이듬해 1월 시험거부 백지동맹 등 학내 항일시위에 참여했다가 퇴학을 당했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 포상기준 개선에 따라 학적부 등에서 퇴학을 받은 사실이 확인되어 이루어졌다. 선생이 희롱을 당한데 격분하여 일본인 학생들을 응징한 사촌동생 박준채(朴準埰, 1990 애족장), 백지동맹(白紙同盟) 동지 이광춘(李光春, 여, 1996 건국포장)이 이미 포상을 받았다.

최현수 선생은 함경남도 원산 출신으로 1930년 1월 서울에서 사립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항일격문을 필사하는 등 동료학생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준비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일제의 정보보고(1930.1.15)에 따르면, 선생 등은 광주학생운동 동조시위에 가담하게 된 이유에 대해 동료 학생들에게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사건에 관하여 현재 전국적인 문제로 부상하여 모든 학교에서 이에 동정하여 동맹휴교를 하고 있으나, 이화학교만이 아무런 운동도 하지 않는 것은 면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사회에서 배일학교로서 숭배를 받아온 체면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도, 이러한 때에 반드시 뭔가 운동을 하지 않고서는 참을 수 없다는 말로 시위를 하도록 선동"했다고 한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 일제 정보보고(1930.1.15)와 신문조서(1930.1.19; 1.30), 신문기사 등에서 공적내용이 확인됨으로써 이루어졌다. 선생과 함께 광주학생운동 동조시위에 참여하여 고초를 겪은 최복순(崔福順), 최윤숙(崔允淑), 김진현(金鎭賢) 선생에게도 이미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한글과 국사(國史)의 수호와 보급에 앞장선 민족문화 지킴이, 권덕규 선생

식민지 지배의 엄혹한 상황에서 한글 및 민족사의 수호와 보급에 앞장선 권덕규(權悳奎) 선생께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885년 경기도 김포 출신으로 1921년부터 서울에서 조선어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조선어문경위(朝鮮語文經緯)」와 「조선유기(朝鮮留記)」등을 저술하고 '한글사'를 설립(1927)했다.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 준비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 조선어학회 순회강연에 강사로 활동하였으며, 1934년 진단학회 찬조회원, 1935년에는 조선어사전편찬회 편찬 전임위원으로 활약하였다. 특히 3․1운동 직후부터 중풍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1940년대 이후까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를 돌며 한글보급을 위한 강습회에 강사로 참여하여 한글의 수호와 보급에 전력을 기울였다. 식민치하의 엄혹한 시기에 권덕규 선생의 한글, 민족사의 저술과 보급 활동은 '문화 독립운동'의 모범적인 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프랑스 파리에서 조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숨은 애국자, 홍재하 선생

이역만리 프랑스 파리에서 조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홍재하(洪在厦) 선생께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892년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1913년 중국 만주를 거쳐 노령으로 들어가 노동에 종사하다 볼세비키혁명 때 피난을 와 무르만스크까지 왔다. 1919년 11월 프랑스로 건너가 시프를 거쳐 1922년 파리로 이주해 정착했다. 1920년 1월경 프랑스 최초 한인단체인 재법한국민회(在法韓國民會) 조직에 참여하여 7월부터 제2대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동년 9월 시프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파리위원부를 이끌던 황기환(黃玘煥, 1995 애국장)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전달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생은 파리위원부의 실질적인 구성원으로 1920년 10월 한국민국제연맹개진회(韓國民國際聯盟改進會) 결성을 주도하여 이 단체의 서기장으로 활약하는 등 국제연맹에서 한국독립운동을 선전하는 일에도 노력했다. 선생의 조국사랑은 광복 후에도 이어져, 제3차 유엔총회(1948.12)가 파리에서 개최될 때 장면(張勉) 등 대표단의 한국승인 외교를 측면에서 적극 도왔고 1949년 파리에 대한민국 공관이 설치될 때에도 이를 후원하였다. 6․25전쟁 중에는 한국적십자회를 통해 적지 않은 기부금을 출연하여 대한민국 주불공사로부터 감사서한을 받기도 했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 작년 일부 언론의 조명 이후 프랑스 거주 후손이 보관하고 있던 선생의 서신(사본), 최신의 연구논문 등을 통해 독립운동 공적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재법한국민회와 선생의 활동은 한국민이 거주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독립운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소중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적의 패전사실을 알려 조국광복의 희망을 전한 염준모 선생

일제말기 단파수신기로 청취한 태평양전쟁의 전황(戰況)을 전파하다 체포되어 고초를 겪은 염준모(廉準模) 선생께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38년 3월부터 1943년 2월까지 서울에서 조선방송협회 기술부에 근무하던 중 단파수신기를 만들어 중국 중경,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방송을 청취하고 태평양전쟁의 전황 등을 비밀리에 전파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2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선생이 단파수신기를 통해 청취한 내용은 "중국군은 일본공군과 교전하여 다수의 비행기를 격추했다", "재중국 조선동포는 중국정부 원조하에 조선독립의 준비를 하고 있다"(이상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 방송), "연합군은 버마전선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큰 전과를 거두었다", "미국비행기는 도쿄와 오사카 등을 공격하여 군사시설에 큰 손해를 입히고 전부 무사 귀관했다"(이상 샌프란시스코 '미국의 소리'[VOA] 방송)는 등 일본군이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선전과는 반대로 일본의 패전이 임박해있음을 알려주는 놀라운 소식이었다. 1942년 말~1943년 초의 이른바 '단파방송사건'으로 150여 명에 달하는 인사가 검속되었고 이들 가운데 성기석(成基錫, 1990 애족장), 박용신(朴龍信, 2005 건국포장), 송진근(宋珍根, 2018 애족장) 선생 등이 포상되었다. 선생 등의 위험을 무릅쓴 활동으로 수신된 내용이 여러 경로를 통해 시중에 유포됨으로써 일제말 암흑기에 조국광복의 희망을 갖게 되었다.
#독립유공자 #광복절 #포상 #국가보훈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