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나는 쌍계사에 갈 때 버스를 탄다

[현해당의 인문기행 28] 진도 쌍계사와 운림산방

등록 2019.11.28 14:01수정 2019.11.28 14:01
1
원고료로 응원

쌍계사의 가을 쌍계사는 서기 857년 도선국사가 창건한 천년고찰이다. ⓒ 이종헌

 
진도 여행 3일째, 밤새 가슴을 철렁이게 하던 파도 소리는 온데간데없고, 아침에 눈을 뜨니 바다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혼자 콧노래를 흥얼거리고 있다. 애조띤 음색의 해조곡이다. 방문을 열자 눈부신 아침 햇살과 함께 금빛 바다가 마구 쏟아져 들어온다. 어느덧 나는 부드러운 햇살에 몸을 맡긴 채 금빛 바다 위를 유영하고 있다. 멀리 수평선 위를 떠가는 여객선 한 척만이 시간의 흐름을 말해 줄 뿐이다.

느긋하게 아침 식사를 마친 후 첨찰산 쌍계사와 운림산방 여행에 나섰다. 내가 묵고 있는 금갑리 숙소에서 쌍계사까지는 승용차로 20분이면 충분한 거리임에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다 보니 진도읍까지 나가서 다시 쌍계사 가는 버스로 갈아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시간도 네다섯 배가 더 소요된다.


하지만 처음부터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기로 계획했으니, 어쩌랴? 생각을 바꾸는 수밖에 다른 방법은 없다. 승용차를 이용해 여행하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가고 싶은 곳만 갈 수 있는 편리함이 있지만, 대중교통은 때로는 보고 싶지 않은 것도 볼 때가 있고 가고 싶지 않은 곳도 가야 할 때가 있다. 하지만 이런 예기치 않은 일들, 여러 가지 돌발상황들이 여행의 재미를 배가한다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삶이란 본래 그런 것인가

첫날, 진도터미널에서 자전거를 타고 숙소로 이동할 때였다. 언덕길을 만나 자전거를 끌고 올라가는 중에 나는 정말 내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장면을 목격했다. 큰 게도 아닌 작은 게 한 마리가 도로의 약 3분의 2지점을 지나 이쪽으로 기어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순간 망치로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듯한 느낌이었다. 차량 통행이 그리 많지는 않아도 그래도 꾸준히 차가 오가는 도로인데 저 어린 게가 목숨을 걸면서까지 도로를 건너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삶이란 본래 그런 것인가? 나는 그 밤, 내내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했다.

진도 버스터미널에서 쌍계사 가는 버스에 오르자 승객은 달랑 두 명뿐이다. 억센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중년의 여인은 무슨 사연인지 커다란 여행 가방을 들고 있었다.
 

쌍계사 대웅전 쌍계사 대웅전은 신라 문성왕 때 도선국사에 의해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조선 숙종 23년(1697)에 중수된 것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이다. ⓒ 이종헌

 
버스에서 내린 후, 먼저 쌍계사로 향했다. 쌍계사와 운림산방은 거의 한 울타리나 마찬가지인데 지난번 왔을 때 쌍계사에는 가보지 못했다. 지난번이라고는 하지만 헤아려보니 무려 15년 전이다.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을 지나 노란 은행나무 길을 따라가니 곧 사천왕문이다. 처음 느낌이 왠지 소박하고 고졸한 분위기의 사찰일 것 같았는데 대웅전 앞에 서니 역시 느낌 그대로다. 노랗고 빨갛게 물든 단풍과 아기자기한 전각들이 서로 어울려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이 되었다.

절 뒤의 첨찰산은 세상 모든 중생들을 포용하고도 남을 것처럼 그 모양이 후덕하다. 문이 꼭 닫힌 대웅전에서는 스님의 독경이 한창이다. 햇볕이 잘 드는 대웅전 한 귀퉁이에 앉아 독경소리에 귀를 기울이다가 문득 시왕전 기둥에 걸린 주련에 눈길이 닿았다.
 
若人欲知佛境界 누구든지 부처의 경지를 알고자 하면
當淨其意如虚空 마땅히 그 마음 허공과 같이 정갈하게 하고
遠離妄想及諸趣 망상도 버리고 잡념도 멀리하며
令心所向皆無碍 마음을 오직 무애(無碍)에 머물게 하라.
 
망상, 잡념 버리고 집착 없이 사는 것이 부처의 경지임을 깨달으며 다시 길을 나서 첨찰산 등산로를 따라 오르니 이곳은 바로 천연기념물 제107호,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이다. 동백나무, 후박나무, 참가시나무, 감탕나무, 구실잣밤나무, 참식나무 등 302종의 나무들이 우거져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

간간이 바닥에 떨어진 동백꽃을 주워 냄새도 맡아보고, 빨갛게 물든 단풍잎에 얼굴을 비춰보기도 하며 한 시간여를 걷자 마침내 첨찰산 정상, 멀리 진도대교가 있는 우수영으로부터 사방의 섬들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첨찰산에 얽힌 사연들
 

첨찰산 봉수대 첨찰산 봉수는 진도 여귀산 봉수대에서 전달된 봉수를 받아 해남 일성산(日星山) 황원 봉수로 전달해주는 연변봉수(沿邊烽燧; 조선시대에 변경의 제일선에 설치한 봉수)였다. ⓒ 이종헌

  

첨찰산 정상에서 바라본 우수영 첨찰산은 해발 485m로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정상부에 서면 사방의 산과 바다가 한 눈에 들어온다. ⓒ 이종헌

 
옛날 봉수대가 있던 자리에 앉아 잠시 땀을 식히며 가만히 생각해보니 첨찰산의 찰(察) 자가 아무래도 이곳 봉수대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왜구들의 노략질이 심했던 시절, 이곳 첨찰산 봉수대는 금갑진의 여귀산 봉수대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리라.

그러나 진도에서 19년 동안 유배 생활을 했던 소재(穌齋) 노수신(1515~1590)이 이곳을 찾았을 때, 봉수대는 이미 황폐한 상태였다. '홀로 삼성동에서 노닐며 다섯 수를 읊다(獨遊三聖洞五首)'라는 시에서 그는 "황량한 봉수대엔 횃불 밑동만 남아 있고, 황폐한 절에는 승려의 발걸음이 끊어졌네"라고 읊고 있다.

첨찰산을 내려오다 보면 아리랑비 못미처에 작은 무덤이 하나 있는데 특이하게도 비석에 남편 이름은 없고 경주 이씨라고 하는 부인 이름만 새겨져 있다. 사정을 알아보니 이곳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무정 정만조와 관련이 있다.

정만조가 접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운림산방의 주인인 미산 허형이 그를 사천리로 모시고 와 관란재라는 서당을 열었는데, 이때 만난 여인이 바로 경주 이씨였다. 두 사람 사이에 자식이 하나 있었는데 유배에서 풀려난 후 정만조는 서울로 돌아갔으나 경주 이씨는 끝까지 이곳에 살다가 첨찰산 봉화골에 묻혔다고 한다.

정만조는 한말의 대학자인 강위(姜瑋)의 제자로 민비 시해 사건에 연루되어 이곳 진도의 접도와 사천리 등에서 12년간 유배 생활을 했다.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은파유필(恩波濡筆)> 등의 훌륭한 저서를 남기기도 했으나,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에는 학자적 양심과 선비의 지조를 저버린 채 친일에 골몰했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동생 정병조와 함께 친일반민족행위자(경학원 부제학, 대제학, 조선총독부 중추원 촉탁) 명단에 올라 있다. 
 

운림산방의 백일홍 소치는 운림산방에 백일홍을 심어 스승 추사에 대한 변치 않는 마음을 표현했다. ⓒ 이종헌

 
아리랑비를 지나 운림산방에 들어서자 15년 전 보았던 그대로 소치의 옛집이 그 자리에 서 있다. 기둥에 걸린 추사 김정희의 주련도 옛 모습 그대로다. 집 앞 연못은 섬을 가운데 두고 사각형을 이룬 이른바 중도오방지(中島五方池)인데, 가운데 섬에는 백일홍 한 그루가 기품있게 서 있다.

이 백일홍은 운림산방의 초창주인 소치 허련(1808~1893)이 스승 추사의 은덕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해 심은 것으로 근 20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소치는 대둔사 일지암 초의선사의 소개로 추사와 사제의 인연을 맺었으며, 추사의 제주도 유배 기간에는 세 번이나 바다를 건너가 몸소 스승을 모실 만큼 그 관계가 돈독했다.

그냥, 걷자

운림산방을 나와 바로 앞에 있는 남도전통미술관에 들러 작품을 감상하다 보니 '진도 팔경'이라는 글씨가 눈에 띈다. 명량홍교(鳴梁虹橋), 금골부용(金骨芙蓉), 가계귀범(佳界歸帆), 모도용로(茅島龍路), 쌍계만종(雙溪晩鐘), 철마낙조(鐵馬落照), 서망조우(西望釣友), 관매해당(觀梅海棠)이 그것인데 그중에 쌍계만종(雙溪晩鐘)이 바로 이곳 쌍계사의 저녁 종소리이다.

남도전통미술관 구경을 마치고 버스정류장으로 나오니 저녁해가 뉘엿뉘엿 저물어 가는데 차가 오려면 아직도 시간이 많이 남았다. 무료하게 기다리느니 그냥 걷자는 생각으로 무작정 길을 나섰다. 가다가 쌍계사의 저녁 종소리라도 들을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마저도 집착이라는 생각에 혼자 너털웃음을 지었다. 멀리 첨찰산이 이런 내 모습을 가만히 내려다보고 있었다.
 

운림산방 소치는 스승 추사가 죽고 난 후 낙향하여 이곳 사천리 첨찰산 아래 운림산방을 열었다. ⓒ 이종헌

 
조각구름 한가로이
허공을 그리고

숲에는 오래된 집이 하나
노을 속에 서 있네

절집이 멀지 않아
종소리 들리는데

방안에는 묵향 삼매에 빠진
노옹(老翁)!

- 현해당 시 '소치의 옛집' 전문
#진도 #진도여행 #쌍계사 #운림산방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인, 인문기행 작가. 콩나물신문 발행인. 저서에 <그리운 청산도>, <3인의 선비 청담동을 유람하다>, <느티나무와 미륵불>, <이별이 길면 그리움도 깊다> <주부토의 예술혼> 등이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특혜 의심' 해병대 전 사단장, 사령관으로 영전하나
  2. 2 "윤 대통령, 달라지지 않을 것... 한동훈은 곧 돌아온다"
  3. 3 왜 유독 부산·경남 1위 예측 조사, 안 맞았나
  4. 4 '파란 점퍼' 바꿔 입은 정치인들의 '처참한' 성적표
  5. 5 창녀에서 루이15세의 여자가 된 여인... 끝은 잔혹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