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문재인 정부는 김용균 동료들과 한 약속을 버렸다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연속 기고 ④] 김종민 청년전태일, 김용균재단 이사

등록 2019.12.07 11:24수정 2019.12.07 11:24
1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추모 기간을 맞아 김용균재단이 보내온 기고를 4회에 걸쳐 싣습니다. [편집자말]

2018년 12월 21일 고 김용균 노동자를 추모하는 청년들의 기자회견 ⓒ 김종민

 
2016년 5월 구의역 김군, 2018년 12월 태안화력발전소 김용균 둘 다 산재 사망으로 죽은 이후 그 삶이 언론을 통해 사회에 알려졌다. 둘은 점심도 제때 먹을 시간이 없어서 컵라면을 들고 다녔다. 임금은 최저임금에 가까웠다. 이 둘은 IMF 22년, 비정규직이 50% 넘어가는 시대에 사는 청년 비정규직의 대표적인 모습이었다.

시민들이 2016년 5월 구의역 9-4스크린도어에 와서 남겼던 포스트잇 메시지 중 가장 많이 들어간 문장은 '너는 나다' '너의 잘못이 아니야'였다. 2017년 김용균의 죽음을 추모했던 시민들도 '내가 김용균이다'고 외쳤다. 대부분 청년 비정규직인 청년전태일 회원들도 자발적으로 추모행렬에 함께했다. 이 둘의 삶이 우리의 삶과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을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약 15~20%의 청년들을 제외한 수많은 청년노동자가 시장에 남들이 다 사고 나서 남은 '떨이'처럼 자신의 노동력을 회사에 판다. '떨이'로 팔려나간 청년노동자가 선택하는 일은 대부분 저임금에 고용이 불안하고 위험한 일이다. 그 위험한 일자리에서 한해 2000명의 노동자가 사망하고, 그중 높은 비율로 미숙련노동자인 청년들이 사망한다.

문재인 정부가 '조국 사태' 이후 청년들의 분노를 잠재우기 위해 과정의 공정함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청년 노동자의 핵심문제는 15~20% 일자리에 들어가기 위한 과정의 공정뿐 아니라, 80% 청년들의 겪고 있는 결과의 불평등이다. 수많은 청년 노동자가 최저임금 가까이 받으면서 고용이 불안하고, 일터에서 죽음을 가까이한다.
 

12월 3일 고 김용균 1주기 추모 문화제가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 김군욱

 
김용균의 동료들이 광화문 광장에서 1달 가까이 노숙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자신들을 기만했다고 이야기한다. 여론이 뜨거울 때는 공공기관 정규직화, 현장의 산업안전을 약속했지만, 용균이가 죽고 1년이 지난 지금 현장에서는 바뀐 게 없다고 한다. 가진 자들의 정부인 문재인 정부는 김용균 동료들과 한 약속을 버렸다.
   
12월 7일 오후 5시 김용균을 추모하기 위해 종각 사거리에 모인다. 청년전태일 회원들도 이 자리에 함께할 것이다.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연속 기고 ①] 내 손 잡아준 문 대통령의 말씀은 왜 말뿐이었나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연속 기고 ②] 누군가 죽은 자리로 일하러 나간다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연속 기고 ③] 나와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덧붙이는 글 고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추모주간을 맞아, 광화문 광장에는 분향소와 1주기 추모 전시 '보이지 않는 고통에 대하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매일(2~10일) 저녁 7시(8일 일요일은 5시), 광화문 광장에서는 작은 추모 문화제가 열립니다. 12월 7일 토요일 저녁 5시, 종각역에서 1주기 추모 촛불문화제가 열립니다. 비정규직 없는 세상, 노동자가 건강하게 일하는 세상을 일구는 '사단법인 김용균재단'의 후원회원이 되어 주십시오. bit.ly/김용균재단
#김용균 #청년노동자 #청년_비정규직 #위험의_외주화
댓글1

2019년 10월 26일 출범한 사단법인 김용균재단입니다. 비정규직없는 세상, 노동자가 건강하게 일하는 세상을 일구기 위하여 고 김용균노동자의 투쟁을 이어갑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