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종교인의 아동성범죄 고발한 피해자들... 현실은 참담했다

[리뷰] 프랑수아 오종 감독 신작 <신의 은총으로>

20.01.09 13:43최종업데이트20.01.09 13:43
원고료로 응원

영화 <신의 은총으로> 포스터 ⓒ 찬란


프랑수아 오종 감독은 만드는 영화마다 칸, 베니스, 베를린 등 유수 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하는 거장이다. 그의 신작 <신의 은총으로>(2019)는 실제 프랑스 종교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던 한 성직자의 아동 연쇄 성범죄사건과 이를 알고도 묵인 했던 프랑스 가톨릭 교회를 폭로한다. 

'신의 은총으로'라는 제목은 프레나 신부의 성범죄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기자회견에서 "신의 은총으로 (프레나 신부를 법정에 세울) 공소시효가 지났습니다"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던 바르바랭 추기경에게서 따왔다.

당초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려고 했던 영화는 과거 프레나 신부에게 성폭력을 당했던 피해자들의 요청으로 인해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한 극영화로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드러난 피해자만 해도 70명이 넘는다. 아동 성범죄를 연이어 저지른 사제와 이 사실을 알고도 은폐하고자 했던 추기경의 실명이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특히 가톨릭 교회의 입김이 센 프랑스에서는 영화 제작이 쉽지 않았을 터다. 
 

영화 <신의 은총으로>(2019) ⓒ 찬란

 
그럼에도 영화는 거대한 종교 조직에 맞서 프레나 신부의 연쇄 성범죄 가해 사실을 고발하고 교회의 책임과 자성을 추궁하는 피해자들의 모임 '라 파롤 리베레(La parole Libérée, 해방된 말, 목소리)'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예산 등 여러 이유로 제작이 무산될 위기 속에서도 끝까지 소임을 다한 것. 지난해 열린 제69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하며 종교계 아동 성폭행 미투(#MeToo)에 대한 국제영화계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가톨릭 사제들의 아동 성폭력 가해 탄로는 <신의 은총으로>의 실제 모델이 된 프레나 신부 사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신의 은총으로>가 제작되기 이전 이미 미국 보스턴 교구 사제들의 아동 성범죄 사건을 다룬 영화 <스포트라이트>(2016)가 만들어졌다. 해당 작품은 2016년 열린 제88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각본상을 수상했다. 차이가 있다면 <스포트라이트>는 신부들의 아동 성추행을 취재하는 언론인의 시점에서 종교계 성폭력을 다루었다면, <신의 은총으로>에서는 수십 년 전 프레나 신부에게 성적 학대를 당했던 피해자들이 전면으로 등장해 자신들의 고통스러운 과거와 마주한다. 

<신의 은총으로>은 크게 세 인물의 이야기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어린 시절 프레나 신부에게 성추행을 당했던 사실을 제외하곤 아무런 접점이 없어 보인다. 맨 처음 프레나 신부의 성추행을 폭로한 알렉상드르(멜빌 푸포 분)는 성범죄 사실을 숨기기 바쁜 교회에 크게 실망하면서도 굳건한 신앙심을 놓지 않는다.

반면, 오래 전 사건 이후 교회를 등지고 살아온 프랑수아(드니 메노셰 분)는 과거 자신이 겪은 성추행 사건은 모두 끝난 일이라 생각하며 사건에 대한 진술을 거부 하려 한다. 그러다 가해자가 여전히 신부직을 유지하며 아이들과 함께 있다는 사실에 분개한다. 이에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피해자 연대모임 '라 파롤 리베레'를 결성하고 프레나 신부를 고발한 프랑수아와 알렉상드르는 또 다른 피해자 에마뉘엘(스완 아르라우드 분)을 만나게 된다. 
 

영화 <신의 은총으로>(2019) ⓒ 찬란

 
공식적으로 드러난 피해자만 해도 70여 명에 육박하는 사건인 만큼 어린 시절 프레나 신부에게 성적 학대를 당한 사람들의 면면 또한 다양할 수밖에 없다. 개중에는 알렉상드르와 프랑수아처럼 가정을 꾸리고 살아가는 피해자도 있지만, 에마누엘처럼 과거 프레나 신부에게 받았던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서 쉬이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도 있었다.

심지어 자살로 이어졌던 안타까운 사례도 있다. 프레나 신부를 고발하고 가톨릭 교구의 자성을 촉구하기 위해 모인 연대 모임일지라도 가톨릭 신자 유무에 따라 입장이 종종 엇갈리기도 한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교회의 진실 은폐와 아동 성폭력 사건 재발을 막기 위해 과거 고통스러운 기억과 용기있게 마주한다. 어쩌면 자신에게 평생 따라 붙을지 모르는 피해자 꼬리표와 불이익을 감수하고 나섰기에 그 자체로 박수받아 마땅하다. 영화 또한 이들의 용기와 연대를 지지하는 태도를 보여 준다. 

실제 존재하는 사제 성폭력 피해자 연대 모임 내 다양한 구성원들을 조명하는 영화는 성범죄 피해자를 대상화 시키지 않을 한다. 또 그동안 종교계 뿐만 아니라 성별 불문하고 우리 사회에서 조직적으로 암암리에 자행되고 은폐되어왔던 성폭력의 일상성을 겨냥한다.
 

영화 <신의 은총으로>(2019) ⓒ 찬란

 
과거 피해자들이 겪은 성 학대 사건의 구체적인 묘사나 재현 대신 다시는 이런 사건이 재발되지 않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피해자들의 용기있는 행동과 연대에 집중한 방식 또한 인상적이다. 알렉상드르의 폭로와 고발에서 시작된 영화는 프랑수아로 연결되고, '라 파롤 리베레'의 용기 있는 행동과 의지까지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어 고통스런 과거 때문에 오랫동안 신음하던 에마뉘엘이 일상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 미투와 연대의 힘을 증명한다. 배우자, 아들의 고백을 지지하고 힘을 보태는 여성 캐릭터들의 역할 또한 돋보이는 대목이다. 

영화는 성범죄에 대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까지,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프레나 신부의 연이은 아동 성폭행 사실을 인지하고도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고 종교적인 구원과 용서의 개념만 강조하는 가톨릭 교구의 자성과 변화를 촉구하기도 한다. 이 영화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가해자는 감옥으로, 피해자는 일상으로."

으로 계속 쏟아질 미투 영화들의 제작, 연출 방침에 있어 좋은 참고가 될 만한 영화로 보인다. 16일 개봉. 
신의 은총으로 미투 운동 종교계 미투 영화 프랑수아 오종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