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국문연구소의 칙임위원으로 위촉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 / 27회] 주시경은 정부에 국문연구 기관의 설치를 건의하였다

등록 2020.03.25 21:20수정 2020.03.25 21:20
0
원고료로 응원
 
a

주시경(1876-1914) ⓒ 독립기념관

 
1905년의 을사늑변 이후 대한제국의 운명은 시한부 인생과 같은 처지에 놓였다.

통감부는 1906년 8월 이른바 학제개혁이란 구실로 사범학교령, 고등학교령, 외국어학교령, 보통학교령을 잇따라 공포하면서, 보통학교의 교감과 중등학교의 학감을 일본인이 맡도록 규정하였다. 일제가 조선의 교육문제에 어떻게 주시해 왔는지에 대한 해답이다.

병탄을 앞두고 통감부는 한국 청소년의 교육제도를 일본식으로 바꾸고 교감과 학감에게 실권을 주면서 조선의 얼을 빼앗고자 서둘렀다. 이를 내다보면서 주시경은 여러 해 전부터 정부에 국문연구 기관의 설치를 건의하였다.

주시경은 『독립신문』안에 국문철자법의 통일을 목적으로 '국문동식회'를 마련한 이래 줄기차게 정부에 국문연구소의 설치를 건의해왔던 것이다.

위기가 닥치자 정부는 뒤늦은 1907년 7월 8일 '대한제국학부 국문연구소'를 설치하고 주시경을 7월 12일자로 국문연구소 칙임위원(勅任委員)에 위촉하였다. '칙임'이란 대신의 주청으로 임금이 임명하는 고등관 1, 2등의 벼슬아치를 일컫는다.

국문연구소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정음청이 설치된 이후 한글을 연구하기 위한 최초의 국가기관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개설 당시 위원장에는 학무국장 윤치오, 위원으로 학부 편집국장 장한식, 한성법어학교 교장 이능화, 내부 서기관 권보상, 그리고 주시경과 현은, 학부 사무관이었던 일본인 우세무라였다. 이후에 이석ㆍ윤돈구ㆍ송기용ㆍ이종일ㆍ유필근ㆍ이민응ㆍ지석영 등이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a

국어문법 주시경 선생의 육필원고본 <국어문법>, 오른쪽에 "주시경 서"라는 글씨가 보인다. ⓒ 김영조

 
활동은 1907년 9월 16일에 제1회 회의를 개최한 이래 23회의 회의를 열었는데, 그 최종 회의는 1909년 12월 27일에 있었다. 그동안 위원장은 10회에 걸쳐 모두 14개항의 문제를 제출하였고, 이에 대한 토론과 의결을 거쳐 1909년 12월 28일자로 최종적인 보고서를 학부대신에게 제출하였다.

보고서는 〈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案)〉과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던 8위원의 연구안으로 꾸며졌는데, 정부는 이에 대하여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 따라서, 〈국문연구의정안〉은 세상에 공포되지 못하고 말았다. 그러나 〈국문연구의정안〉은 국문연구소 위원들의 협동적 노력의 결정으로서, 개화기에 있어서의 국문연구의 총결산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국문연구의정안〉은 앞서 토의에 붙였던 14개항의 문제를 10개항으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은, ① 국문의 연원과 자체(字體) 및 발음의 연혁, ② 초성 중 ㆁ,ㆆ,△,◇,ㅱ,ㅸ,ㆄ,ㅹ 여덟 자의 부용(復用) 당부(當否), ③ 초성의 ㄲ, ㄸ, ㅃ, ㅆ, ㅉ, ㆅ 여섯자 병서(竝書)의 서법일정(書法一定), ④ 중성 중 'ㆍ'자 폐지와 'ᆖ'자 창제의 당부, ⑤ 종성의 ㄷ, ㅅ 두자의 용법 및 ㅈ,ㅊ, ㅋ, ㅌ, ㅍ,ㅎ 여섯 자도 종성에 통용 당부, ⑥ 자모(字母)의 7음과 청탁(淸濁)의 구별 여하, ⑦ 사성표(四聲票)의 용부(用否) 및 국어음의 고저법, ⑧ 자모의 음독일정(音讀一定), ⑨ 자순(字順)과 행순(行順)의 일정, ⑩ 철자법 등이었다.

〈국문연구의정안〉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매우 훌륭한 문자체계와 표기법의 통일안이라고 할 수 있다.  ' ` ' 자를 그대로 쓰기로 한 것을 제외하면 이 의정안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문자체계와 맞춤법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주석 1)


주시경이 국어 연구와 사전 편찬사업을 위해 정부에 건의한 결과 국문연구소가 개설되고 유수한 인재들이 참여하면서 활동한 결과 적잖은 성과를 냈다.

선생은 이 위원 중에 그 질로나 양으로나 가장 뛰어난 연구 보고서를 내어서 중심 인물이 되었다. 그 연구 문제는,

 1. 국문의 연원
 2. 자체(字體)와 발음의 연혁
 3. 초성 ㆁ,ㆆ,△,◇,ㅱ,ㅸ,ㆄ,ㅹ 여덟 자를 다시 쓰는 가부
 4. 초성에 대한 ㄱㄷㅂㅅㅈㅎ 여섯 자의 병서법 일정
 5. 중성 "ᆖ"자를 창제하고 "ㆍ"자를 폐지하는 가부
 6. 종성 ㄷㅅ 두 자의 쓰는 법과 ㅈㅊㅋㅌㅍㅎ 여섯 자를 종성에도 통용하는 가부
 7. 자모의 7음과 청탁과의 구별을 어떻게 할까
 8. 4성 표의 쓰고 안 씀과 조선 말소리의 높낮이
 9. 자모의 이름을 일정할 것
10. 자의 차례와 줄의 차례를 일정할 것
11. 철자법

이 문제들도 광무 9년(서기 1905)에 선생이 정부에 건의한 제목에 근거한 것이라 한다. 연구소 위원들이 각각 이 문제들에 대하여 연구하여 보고하고 또 서로 토론하여(융회 원년, 서기 1907년 9월부터 융회 3년 12월까지 23회의 토의) 종합 통일된 연구소의 의견을 붙이어 내각에 제출하였으나 학부대신이 갈리고 나라의 운수가 쇠망하여 감으로 말미암아 흐지부지하여 버리고 말았다. 선생의 연구 보고서는 제일회, 이회 치밖에 전하지 않으나 그 저서,

『국어문전음학(國語文典音學)』융회 2년(서기 1908) 11월 6일
『국어문법(國語文法)』융회 4년(서기 1910) 4월 15일
『말의 소리』서기 1914년 4월 13일
들에 나타난 것을 보아, 특히 첫 책을 보아 연구 보고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주석 2)


주석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3)』, 641~642쪽.
2> 김윤경, 앞의 책, 209~210쪽.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한힌샘 #한힌샘_주시경 #한글 #국문연구소 #칙임위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 '지식인 134인 시국선언' 주도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천연영양제 벌꿀, 이렇게 먹으면 아무 소용 없어요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