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어차피 죽을 거라면 뭔가 해보고 죽자"

[서평] 알래스카 두 늙은 여자 인디언의 생존기 '두 늙은 여자'

등록 2020.04.07 08:36수정 2020.04.07 10:29
0
원고료로 응원
그 옛날, 알래스카 인디언들에겐 늙은이를 버리는 풍습이 있었다. 혹한을 보내기 위한 궁여지책이었다. 생산 능력도 없고 제 구실도 못하고 오히려 부족 구성원들에게 폐만 끼치는 늙은이의 존재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했다. 버려진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했다. 남겨진 늙은이들은 추위 속에서 그저 숨이 끊어지기만을 기다렸다.

알래스카 아타바스탄족 두 명의 늙은 여자, '사'와 '칙디야크'도 어느날 족장으로부터 '우리는 나이든 사람들을 두고 가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을 전해 듣는다. 칙디야크는 80세. 사는 70대다. 부족 중에는 칙디야크의 딸과 손주도 있었다. 딸은 족장의 결정에 반대하지 못하고, 눈물을 머금고 어머니를 외면한다. 칙디야크는 자신이 부족들로부터 버려졌다는 절망감과 딸에게조차 외면당했다는 배신감으로 고통스러워 한다.


매서운 칼바람이 몰아치는 알래스카의 혹한 속에 두 늙은 여자는 남는다. 그 자리에 앉아서 얼어죽기만을 기다릴 것인가, 아니면 살아갈 방법을 찾을 것인가. 두 늙은이는 너무 늙었고 쇠약했다. 할 줄 아는 것도 없다. 돌이켜보니, 그동안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들에게 늘 불평불만만 해댔다. 할 줄 아는 것이라고는 오로지 불평, 불만, 잔소리였다. 둘은 이대로 죽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 사람들은 우리에게 죽음을 선고했어! 그들은 우리가 너무 늙어서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고 여기지. 우리 역시 지난날 열심히 일했고 살 권리가 있다는 것을 그들은 잊어버렸어! 그래서 지금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거야. 친구야. 어차피 죽을 거라면 뭔가 해보고 죽자고. 가만히 앉아서 죽음을 기다릴 게 아니라 말이야."
 
"가만히 앉아서 죽음을 기다릴 순 없어"

두 사람은 노구를 이끌고 짐을 옮기고, 도구를 만들고 사냥을 한다. 젊은 시절 사용했던 사냥법을 다시 기억해낸다. 혹한의 칼바람과 추위 속에서 이동한다는 것은 목숨을 건 일이나 마찬가지. 온 몸이 끊어지는 듯한 고통 속에서도 두 늙은 여자는 '이대로 죽을 수는 없다'며 이를 악물고 하루하루 이어간다.

아무것도 못할 것 같던 몸뚱이는 신기하게도 움직였고, 이미 녹슬었다 생각한 머리는 활발하게 두뇌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사냥하기, 도구 만들기, 야영하기, 옷만들기, 창고 짓기 등 오로지 생존을 위해 했던 일들이 나중에는 그들의 삶 자체가 되어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

두 사람은 젊은 시절의 상처와 고통에 대해 서로 깊은 대화를 나눈다. 그리고 '상대의 힘겨운 과거에 대해 알게 되자 서로에 대한 존중의 마음이 커져'가는 것을 느낀다.

'사'는 자신이 어린 시절 겪었던 '노인 버리기' 풍습에 대한 기억을 들려준다. '노인 버리기'는 부족 전체의 '암묵적인 카르텔'이었다. 이해할 수 없었던 어린 '사'는 그것에 저항했고, 결국 그 노인과 함께 버림을 받는다.
 
'부모님은 무리의 강력한 지도자에게 그렇게 맞서는 딸자식을 원하지 않으셨어. 나는 족장이 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어... 우리 가족은 나한테 지도자에게 사과하라고 간곡히 말했어. 하지만 나는 굽히지 않았지.' p.82
 
두 여자를 버린 부족들은 어떻게 됐을까? 그들은 식량을 구하지 못해 더러는 굶어죽고, 병든 채로 다시 돌아온다. 두 늙은 여자를 버린 그곳으로 말이다. 두 여자가 죽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흔적이 보이지 않자, 반신반의하며 찾아 나선다. 설마, 이 혹독한 추위에, 그것도 1년이 지났는데 두 늙은이가 살아있겠어? 하지만 그들이 발견한 것은 건강한 두 사람의 모습이었다.


칙디야크와 사는 부족 사람들에게 자신들을 해칠 뜻이 없음을 확인하고 그들에게 땔감과 식량을 나누어준다. 그리고 부족의 '어른'으로 추앙받게 된다. 칙디야크의 딸은 어머니를 버렸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하며 살았다. 칙디야크는 딸을 용서하고 너그럽게 품어준다. 그럼에도 그녀들은 부족의 일원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 이미 독립된 생활의 자유와 즐거움을 맛보았기에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살아남은 두 늙은 여자의 실화가 소설의 모티브
 

알래스카에서 생존한 두 늙은 여자의 이야기 <두 늙은 여자> ⓒ (주)이봄

 
이 책의 지은이 '벨마 윌리스'는 알래스카 아타바스칸족의 후예다. 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가 들려준 '버림받았지만 마침내 살아남은 두 늙은 여자'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 글을 썼다. 용감하고 인간적이고 위대한 두 명의 늙은 여인들의 이야기. 

이 이야기는 생각할 거리를 몇 가지 던져준다. 책의 부피는 얇은 편이지만, 따뜻한 이야기 속에 치열함과 묵직한 주제들이 내포되어 있다. 그 옛날 알래스카 지역의 이야기라지만 현대 우리 사회 문제와도 일맥 상통하는 주제들이다.

첫째는 '노인' 혐오다. 아타바스칸 부족은 늙은이는 쓸모 없고 민폐만 끼치는 존재라고 생각했지만, 칙디야크와 사가 보여준 1년의 삶을 통해 늙은이에 대한 인식을 바꾸게 된다.

늙은이의 지혜와 경험, 연륜이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무형의 자산임을 깨닫게 된 것. 또한 늙은이들도 자신이 독립된 주체로 당당히 살아갈 수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칙디야크와 사가 다시 부족으로 돌아가지 않고, 그들만의 삶을 계속 이어가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둘째는 가부장적인 권위에 대한 문제다. 주인공 사는 어린 시절, 부족들이 여자 노인을 버렸을 때, 족장에게 저항했다. 사의 부모는 그런 딸의 모습을 못마땅해 한다. 결국 사는 늙은 여인과 단 둘이 버려지게 된다. 늙은 여인은 얼마 안 되어 죽고, 사만 홀로 남아 혹독한 외로움과 마주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사는 자신의 인생은 자신이 선택하고 자신이 책임져야 함을 배우게 된다. 비록 그 길이 '꽃길'은 아니라 하더라도 말이다. 족장의 말에 순응하고 함께 떠났더라면 절대 알지 못했을 교훈이었다.

셋째는 공동체 내 물질의 분배와 나눔에 관한 것이다. 칙디야크와 사는 버려지지만 부족은 그들에게 약간의 땔감과 털옷, 가죽끈과 손도끼를 주고 간다(가죽끈과 손도끼는 칙디야크의 딸과 손주가 준 것이다). 늙은이를 버리는 행위에 대한 최소한의 죄책감의 표현이랄까. 아마 그것마저 없었더라면 두 여자는 죽었을지도 모른다. 그 물질을 바탕으로 사냥을 하고 식량을 축적해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두 여자는 '두 사람이 먹기에 너무 많은 양'의 식량을 비축하고 훗날, 굶어가는 부족들을 위해 식량을 기꺼이 내준다. 거창하게 공동체의 분배와 나눔이라고 표현했지만 결국 그 원리는 서로가 서로를 살리는 상생이라고 표현하는 게 더 맞지 않을까 싶다. 사람은 결코 혼자서 살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마치 음악도 내레이션도 없는 한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는 것 같다. 알래스카 인디언들의 삶과 생활 모습, 자연 환경, 추위까지도 생생하게 느껴진다. 나이 여든에도 올무를 만들고, 사냥을 하고, 모닥불을 피우고, 물고기 사냥을 하는 늙은 여자의 모습도 연상된다. 생각만해도 멋지고 짜릿한 모습이다. 그러고보면 하루종일 침대에 누워있어야 하는 고요한 요양병원보다 알래스카의 혹독한 추위가 차라리 더 '살아있는 곳'인지 모른다. 죽을 때 죽더라도 말이다.

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인디언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은이),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긴이),
이봄, 2018


#두 늙은 여자 #알래스카 생존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가 아픈 것은 삶이 우리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도스또엡스키(1821-1881)-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