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은 모란이 아니고, 연꽃은 연꽃이 아니고

[차근차근 한국미술사31] 위상과 아래하, 하늘 속 물(水)과 구름(云)-2

등록 2020.04.24 09:48수정 2020.04.24 09:48
0
원고료로 응원

도3 흑유백퇴화음각(黑釉白堆花陰刻) 모란문 편병 고려 후기 또는 조선 초. 높이 23cm. 다보성고미술전시관. 조선 자라병(편병)에는 유독 모란과 작약이 많은데, 자라병에 왜 모란과 작약이 많은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아니, 사실은 아무도 관심이 없다. 이 또한 미술사학자가 풀어야 할 몫이다. 일단 이것은 한나라 수막새 도상과 관련이 있다. 이는 조선시대 미술사에서 자세히 밝힐 것이다. ⓒ 다보성고미술전시관


모란은 모란이 아니다

전도가 한번 일어나면 원래 '기원'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만다. 이것은 좀 복잡한 문제인데, 한마디로 말하면 고구려벽화는 불교 이전의 고구려 세계관과 불교가 만나는 지점, 그 지점을 먼저 해석해야 한다. 문제는 우리가 불교 이전 고구려 사람들의 세계관을 모른다는 점이다. (지금 쓰고 있는 이 신석기미술사가 바로 그 세계관을 말하고 있다!) 다만 여기서는 이것만 확실히 해두고 싶다. 자세한 것은 삼국시대 미술사 고구려벽화 편에서 아주 자세하게 밝힐 것이다.


고구려무덤 천장에 있는 연꽃, 우리 학계는 이것을 의심의 여지가 없이 연꽃으로 보고 있지만 세상에 이렇게 생긴 연꽃은 없다. 그것을 연꽃으로 읽는 순간 고구려벽화 해석은 외딴길로 빠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왜 연꽃이 무덤 천장 한 중앙에 있는지부터 밝혀야 한다. 고구려무덤 벽화, 벽과 천장에 있는 그림은 이 연꽃 하나로 모아지고, 또 그 반대로 이 연꽃에서 비롯한다. 이것을 풀지 못하는 한 고구려벽화 해석은 제자리걸음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고구려벽화의 연꽃을 연꽃으로 보는 것은, 조선 자라병에 모란이 그려져 있다 해서 그 모란을 정말 모란으로 보는 것과 같은 것이고, 청동거울에 물고기가 있다 해서 그것을 진짜 붕어로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도3, 4 참조).
 

도4 붕어무늬 청동거울 고려. 지름 19.4cm. 북한 개성시 판문군 진봉리. 중국 금나라(1115-1234)에도 물고기 청동거울이 꽤 있다. 이것을 ‘金代雙魚鏡(금대쌍어경)’이라 한다. 중국과 한국 고고학에서는 이 거울 속 물고기를 보통 다산이나 자식복으로 본다. 하지만 알은 개구리도 많이 낳는다. 그래서 물고기가 왜 청동거울 속에 있는가, 하는 점을 청동거울 역사와 무늬 맥락에서 보아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청동기미술사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일단 여기서도, 물고기는 물고기가 아니다. ⓒ 김찬곤


조선 자라병(편병)의 모란을 모란으로 읽는 순간 그 편병 디자인은 총체로 해석이 안 된다. 스토리가 없어지고 엉키고 만다. 마찬가지로 청동거울에 있는 물고기를 붕어로 보는 순간 그 청동거울 디자인은 해석이 안 된다. 만약 조선 자라병의 모란을 모란으로 본다면, 다시 말해 '부귀'로 읽는다면, 조선의 주자학과는 너무나 다른, 엉뚱한 해석이 될 수밖에 없다. 두 선비가 모란 자라병에 술을 가득 담아 놓고 술상을 마주한다면, 서로 부자가 되자고 다짐하는 술자리가 되고 말 것이다. 금전은 그들이 그렇게 경계하고 멀리했던 사심(私心)과 사욕(私慾)이 아니었던가. 마찬가지로 청동거울의 물고기를 붕어로 본다면, 다시 말해 '다산'이나 '부부금실'로 본다면, 이 또한 청동거울에 담겨 있는 세계관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전혀 맥락이 없는 풀이가 되고 만다. 물론 그전에 1차적으로 신라와 고려의 연꽃과 들국화 쑥부쟁이가 조선에 와서 왜 모란과 작약으로 바뀌었는지, 청동기시대 청동거울의 구름(云)이 왜 물고기로 바뀌었는지부터 풀어야 하겠지만.
   

도2 분청사기 조화어문(彫花魚文) 편병 조선 16세기. 높이 24cm. 국립광주박물관. 이 자라병(편병)에 그려진 무늬를 물고기로 읽는 순간 더 이상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것이다. 우선 여기서 엑스(X)자를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이것은 태극을 그린 것이고, 물고기는 태극의 운동 또는 역동성을 나타낸 것이 된다. 그래서 물고기를 완벽하게 선을 따 그리지 않았다. 그렇다면 여기서 물고기는 무얼까. 일단 구름(云)이라는 것만 밝혀둔다. 이 도상은 한나라 수막새와 같이 설명해야 한다. 물론 편병 또한 수막새 도상과 관련이 있다. 이는 조선시대 미술사에서 아주 자세하게 다룰 것이다. ⓒ 국립광주박물관


항아리는 항아리가 아니고, 연꽃은 연꽃이 아니고

다시 아래 도1 쌍기둥무덤 고구려벽화를 보자. 눈 밝은 독자는 벌써 보았겠지만 이 그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천장 쪽에 그려져 있는 꽃항아리다(도5). 이 무덤에는 이런 항아리가 네 개나 그려져 있다. 오른쪽은 꽃만 조금 보이고 항아리는 보이지 않는다. 도1에서 왼쪽 항아리만 따로 그린 도5를 보자. 항아리 아가리 쪽이 봉긋봉긋 희한하게 생겼다. 꽃항아리에 연꽃이 태어나고 있다. 연꽃뿐만 아니라 구름 내지는 생명의 기운도 나오고 있다. 물론 이 연꽃은 연꽃이 아니다. 그런데 잘 보면 항아리가 '구멍'에서 쑤욱 올라오고 있다. 이 올라오는 동적(動的)인 모습을 아가리 위에 다시 표현해 놓았다. 마치 지금의 만화 같은 표현 방식이다.
 

도1 고구려 쌍영총 남쪽 천장 벽화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 북쪽 언덕. 쌍영총(雙楹塚 쌍쌍·기둥영·무덤총)은 말 그대로 천장을 받치고 있는 쌍기둥이 있다 해서 쌍영총이다. 그래서 북학 사학계는 쌍기둥무덤이라 한다. ⓒ 김찬곤

  
도서관에서 고구려벽화 관련 책과 논문을 살펴보면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에 깜짝 놀란다. 고구려벽화를 전문으로 다룬 책을 보더라도 벽화를 알뜰하게 풀어주는 책을 찾을 수가 없다. 글과 벽화가 따로 논다. 벽화는 그저 책을 꾸며주는, 디자인상 필요해서 실어놓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벽화를 다루면서도 벽화를 눈여겨보지 않고 쓴 고구려벽화 '전문' 책이다. 이런 일이 가능할까. 나는 죽어도 그렇게 하지 못하지만 실제로 가능한 일이었다. 또 벽화를 설명하는 풀이가 있다 하더라도 별 특별한 말이 없다. 고구려벽화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말을 참으로 어려운 전문 용어를 써가며 써 놓았을 뿐이다.

그렇다면 도1 쌍기둥무덤 고구려벽화를 풀이한 책과 논문이 있을까. 최근에 딱 한 분이 있다. 강우방 선생님이다. 선생은 이 꽃항아리로 한국 만병(滿甁)의 기원 문제를 풀었다. 하지만 나는 선생과는 아주 다른 방식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삼국시대 미술사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다만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한국 근대 미술사학 100년 동안 이 그림을, 이 꽃항아리를 어느 누구도 눈여겨보지 않았다는 것이고, 딱 한 사람만 보고, 다른 연구자들은 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어쩌면 한국 고구려'벽화' 연구자들에게 벽화 그림은 그리 큰 관심 대상이 아니라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도5 도1 천장 왼쪽 항아리를 그린 것. ⓒ 김찬곤

 
사실 이 꽃항아리를 풀면 우리는 그동안 해석하지 못한 여러 미술을 시원하게 풀 수 있다. 삼국시대 초기 무덤에서 많이 나오는 원통형토기의 정체, 목긴항아리(왜 목이 갑자기 길어졌는지), 일부러 찌그려 뜨려 구운 항아리, 그릇 바닥이 둥근 항아리(왜 굽이 둥근지), 신라 가야 마한의 그릇 받침 기대(왜 복잡하게 기대를 빚었는지), 신라 금관의 비밀, 첨성대의 비밀, 성덕대왕신종의 음통(이것이 정말 음관인지), 삼국과 조선의 똬리형 연적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백자청화 칠보난초문병과 청자투각 칠보무늬향로 디자인, 이런 모든 것을 순식간에 풀 수 있다. 물론 한국 만병의 기원도 새롭게 풀 수 있다.

꽃항아리가 나오는 저 '구멍'은 고구려 세계관에서 아주 중요한 세계관이지만 사실 이것의 기원은 암사동 신석기 빗살무늬토기에 있다. 여기서 저 구멍이 뭔지는 말하지 않겠다. 정 궁금하다면 '빗살무늬토기의 비밀5-보주(寶珠)와 영기문(靈氣文)의 기원'을 읽어보시길. 읽고 나면 꽃항아리가 항아리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저 구멍의 정체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한 것은 삼국시대 미술사에서 아주 자세하게 밝힐 것이다. 
#김찬곤 #쌍영총벽화 #분청사기 조화어문(彫花魚文) 편병 #금대쌍어경 #흑유백퇴화음각(黑釉白堆花陰刻) 모란문 편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세상 말에는 저마다 결이 있다. 그 결을 붙잡아 쓰려 한다. 이와 더불어 말의 계급성, 말과 기억, 기억과 반기억, 우리말과 서양말, 말(또는 글)과 세상, 한국미술사, 기원과 전도 같은 것도 다룰 생각이다. 호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childkls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여론조사로 본 4.10 총선 판세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