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무덤의 비밀을 알고 싶다면, 고개를 젖히세요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32] 위상과 아래하, 하늘 속 물(水)과 구름(云)-3

등록 2020.06.10 11:25수정 2020.06.10 14:00
0
원고료로 응원

도6 덕화리 제2호 무덤 천장 바로 아래 부분 그림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 중앙을 보면 북두칠성을 그려놓고 선으로 이어놓았다. 우리 미술사학과 고고학계는 아직 이 그림을 풀지 못하고 있다. ⓒ 김찬곤

무덤의 주인은 망자

도6 벽화는 덕화리 제2호 무덤 천장 바로 아래 부분 그림이다. 가운데를 보면 동그라미로 별을 그려놓고 자줏빛 선으로 이어 놓았다. 보면 바로 알 수 있듯이 북두칠성이다. 이 그림에 대해 학계에서는 이 북두칠성 별자리 말고는 더는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


그림을 보면 아주 복잡하다. 도대체 무얼 그린 것일까. 어쩌면 아주 단순한 도상일지도 모른다. '상징'으로 보면 안 될 것이다. 상징으로 보게 되면 복잡한 그림이 될 수밖에 없다. 무엇을 구체로 그린 것이다. 이 구체 대상을 1차원 평면화로 그린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삼국시대 미술사 고구려벽화 편에서 아주 자세하게 풀어낼 것이다. 다만 이 그림도 이 책 신석기미술사를 읽으면 어느 정도는 풀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무덤은 어느 시대나 죽음을 해결하는 방식이고, 그 무덤의 주인은 '망자'라는 관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우리 고구려벽화 연구는 이 기본 원칙을 자주 놓치고 있다. 고구려벽화 관련 책을 보면 거의 다 벽에 있는 그림, 그러니까 연구자가 무덤 방에 들어가 한 바퀴 빙 돌면서 보았을 때 보이는 '벽 그림'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다.

상당수 고구려벽화는 망자가 이승에서 살았을 때 장면을 무덤방 벽에 그려 놓았다. 이걸 '생활그림'이라고 한다. 문제는 그 벽 그림에 핵심 세계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천장에 있다는 점이다. 망자가 놓인 자리, 망자를 누였을 때 망자가 바로 볼 수 있는 천장에 고구려 세계관이 압축되어 있다. 여기에 죽음을 극복하는 방법도, 또는 해결하는 방법도 담겨있다. 그리고 고구려 사람들의 세계관이 있다.

이렇게 봤을 때 도6과 도7 같은 천장 그림이 고구려벽화에서 핵심 그림이다. 그런데 우리 고구려벽화 연구는 천장 그림을 거의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 너무 성급하게 판단하는 것 아닌가, 하고 의문을 품을 수 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우리나라에 나온 고구려벽화 연구 책이나 미술사 책을 한 번만 살짝 훑어보면 이 같은 의견에 동의할 거라고 생각한다.

천장 그림을 책에 싣기는 하는데, 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덕화리 제1호 무덤 천장 그림'이라고만 써 놓은 경우가 많다. 무덤 천장 그림이라는 것은 고고학을 전공하지 않은 보통 사람도, 초등학생도 아는 사실이다. 학자가 해야 할 말은 아니다.
 

도7 덕화리 제1호 무덤 천장 그림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 5세기 말∼6세기 초. 천장 한 중앙에 연꽃이 있다. 하지만 이 꽃은 연꽃이 아니다. 현실의 연꽃은 저렇게 생기지 않았다. 저것을 연꽃으로 읽는 순간 우리는 고구려벽화를 불교 세계관으로 읽게 된다. 하지만 불교 세계관 속에서도 이 연꽃은 설명이 되지 않는다. ⓒ 김찬곤

한국 중국 베트남 미술의 실마리는 갑골문 위상(二)에서 찾아야


자연미와 관련하여 하나 더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게 있다. 우리 조상들은 집을 지을 때 일부러 구부러진 나무를 골라 기둥을 세우고 들보로 삼았다. 이 또한 팩트이다. 이것은 미술사학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 어느 누구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미술사학자는 "이걸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 한국미술의 특징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려고 하는 정신이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미, 곧 자연미라 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데서 그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미술사학자는 그 까닭을 말해야 한다. 고려청자는 숨이 막힐 것처럼 엄격하게 디자인했던 장인들이 왜 집만큼은 이렇게 지었는지, 그들의 세계관 속에서 사람이 사는 집은 과연 무엇이었는지, 왜 반듯한 나무보다는 이렇게 구부러진 기둥이 더 잘 맞아떨어진다고 생각했는지 밝혀내야 한다.

나는 얼마 전 한 시민단체 한국미술사 강의에 나가 이렇게 말하며 강의를 시작했다.

"저는 수십 년째 한국미술과 세계미술을 공부하고 있는데요. 특히 한국 중국 베트남 미술을 볼 때 한자 한 글자가 떠오릅니다. 제가 평생 공부하고 있는 이 미술이 결국에는 이 한 글자에 모아지더라고요. 내가 지금 그걸 풀기 위해 이러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 글자는 바로 위상(二)입니다."

위상(二←上의 갑골문) 글자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우리는 한국, 중국, 베트남 옛 미술을 제대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일본은 뺐는데, 그 까닭은 일본 신석기에는 위상에 대한 개념이, 엄밀히 말하자면 '하늘 속'과 '천문(天門)' 개념이 그들 미술에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야요이와 고분시대는 이 위상(二) 개념이 없이는 그들의 미술을 풀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이 위상(二) 세계관은 한반도에서 간 것이라고 본다).

제4장에서 일본 조몬토기에 대해 간단히 말한 적이 있다. 몇 가지를 들었지만 아주 중요한 핵심만 말했다. 나머지는 그들이 풀어야 할 것이다. 그들이 일본 신석기 조몬토기를 제대로 풀기만 한다면 고분시대는 덩달아 풀릴 것이라 장담한다. 실마리는 한국 암사동 신석기 빗살무늬토기에 있고, 이 책의 문제의식을 따라가다 보면 그들이 근대사학 140년 동안 미스터리로 남겨 놓았던 조몬토기와 고분시대 전방후원분의 비밀도 자연히 풀릴 것이다.
 

도8-11 한자 수(水)자 육서통 한자학계에서는 도9-11 수 육서통 글자를 아직 풀지 못하고 있다. ⓒ 김찬곤

육서통 六書通과 중국의 신석기 세계관

도8-11은 중국 청나라 초 민제급이 편찬한 전각 글자 '육서통 六書通'(1661)에 나와 있는 수(水) 글자다. 암사동 빗살무늬토기를 공부하기 전 나는 도9-11 글자를 온전히 읽어낼 수 없었다. 그래도 도8은 쉽게 읽을 수 있다. 비(雨)가 내려 시냇물(川)을 이루고, 이 시냇물이 모여 큰 강(江)이 된다. 이것이 바로 물(水)인 것이다. 그런데 도9를 보면 시원하게 풀이가 되지 않는다. 특히 물음표(?) 한 것이 무엇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물음표 한 부분은 위상(二)과 구름(云) 글자가 합쳐진 부분이다. 이는 뒤에서 자세히 논할 것이다) 도10-11도 마찬가지이다.

이 글자를 내보이는 까닭이 있다. 중국 한자 갑골·금문·전서·육서통에서 상하(二?←二자 뒤집은 꼴), 하늘(天), 구름(云), 기(气), 바람(風), 용(龍), 말(馬), 물(水), 비(雨), 령(霝), 입(口) 같은 글자는 중국 신석기와 암사동 신석기 세계관이 전제되지 않으면 온전히 해석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것은 도12, 13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한자 연구서를 보면 주로 갑골과 금문으로 글자를 풀이하는데, 육서통을 드는 학자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까닭은 다른 게 아니다. 위 도9-11처럼 봐도 봐도 도무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왜 그런고 하니 육서통에는 중국인들이 신석기 때부터 생각했던 세계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인의 신석기 세계관을 알지 못하면 알 수 없는 글자다.

바로 그 때문에 나는 갑골이나 금문보다는 육서통을 더 알뜰히 살핀다. 물론 먼저 갑골과 금문을 보고, 그다음 이 글자가 육서통에는 어떻게 나와 있는지 찾아본다. 한중일, 베트남 미술을 볼 때 육서통이 중요한 까닭은 또 있다. 동한시대(25-220) 허신(許愼 30∼124)이 주역(周易)으로 전도한(지워버린) 중국의 갑골과 금문의 신석기 세계관을 이 육서통을 통해 복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화에서 이어집니다.
#한국신석기미술사 #김찬곤 #덕화리제1호무덤 #김찬곤 #육서통 수(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세상 말에는 저마다 결이 있다. 그 결을 붙잡아 쓰려 한다. 이와 더불어 말의 계급성, 말과 기억, 기억과 반기억, 우리말과 서양말, 말(또는 글)과 세상, 한국미술사, 기원과 전도 같은 것도 다룰 생각이다. 호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childkls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