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커다란 눈을 한 소녀, 한 여성 화가의 비밀

[전시] 빅 아이즈 (BIG EYES) - 마가렛 킨 회고전

등록 2020.07.08 09:21수정 2020.07.08 09:49
0
원고료로 응원
삭막한 도시가 연상되는 회색빛 담벼락 앞에, 혹은 스산한 해변가에 한 소녀가 서있다. 온 세상을 담을 듯 커다란 눈망울, 그림을 보는 순간 배경도, 소녀의 옷도, 머리도 사라지고 그 눈망울에 담긴 애잔한 감성에 압도된다. 이 그림을 보고, 이 소녀를 보고 어떤 느낌이 들까? 
 

제 1성배 ⓒ 마가렛 킨

'저는 이 그림에 전쟁이 끝난 후  부모를 잃고 남겨진 전쟁 고아의 슬픔을 고스란히 담았습니다.'

공감하시는가? 이 그럴 듯한 한 마디에 2차 대전 후 미국 사람들은 마음을 열었다. 그리고 지갑을 열었다. 1950~1960년대 마크 로스코나 잭슨 플록과 같은 추상 미술이 주류였던 미국 미술계에서 인형처럼 큰 눈을 그린 저 그림들을 전시할 기회조차 얻을 수 없었다.


겨우 자리를 잡은 것이 술집 벽 한 켠. 하지만 우연히 신문에 실린 사진과 그 사진에 얹혀진 그림 작가 월터 킨의 그럴 듯한 해석은 '키치'라는 평론가들의 폄하에도 불구하고 대중적 인기를 불러왔다.

하지만, 거기에는 '숨겨진 진실'이 있다. 2014년 팀 버튼에 의해 만들어진 동명의 영화 <빅 아이즈>의 이야기처럼, 이 커다란 눈망울을 가진 소녀들의 그림을 그린 진짜 주인공은 이 그림을 팔아 한 몫을 크게 챙긴 월터 킨이 아니라 그의 아내였던 마가렛 킨이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그림,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평생을 정진해온 화가 마가렛 킨의 전시회가 지난 5월에서부터 9월까지 마이아트 뮤지엄에서 개최되고 있다. 특히 정우철씨 등의 도슨트를 통해 마가렛 킨의 생애에 대한 보다 친절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전쟁 고아의 슬픔이 아니라면, 이 그림의 진짜 작가 마가렛 킨은 무엇을 그리고자 했을까? 바로 이름을 잃어버린 작가의 슬픈 마음을 그대로 그림에 드러낸 것이다. 
 
'내가 아이에게 그리는 눈은 나 자신의 가장 깊은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눈은 마음의 창이다'. - 마가렛 킨 

마가렛 킨 ⓒ 마가렛 킨

이름을 찾기 위한 지난한 싸움 

첫 번째 결혼으로 딸을 얻었지만 폭력적인 남편을 피해 도시로 나온 마가렛은 거리에서 그림을 그리며 힘들게 살아가는 처지였다. 1950년대 미국은 아직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인정'되지 않았던 시대였다. 함께 그림를 그리던 동료 월터가 다가오자, 홀로 딸을 키워야 하는 불안정한 처지였던 마가렛은 그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하지만 그 결혼은 그녀의 '무덤'이 되었다. 남편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선 여류 화가가 인정받기 힘들다는 핑계를 들어 그녀의 이름에 남편의 성인 '킨'을 서명하게 유도했다. 그림이 팔리기 시작하고, 사업 수완이 좋은 월터가 이른바 '굿즈'와 같은 형태로 그림을 상업화하며 떼돈을 버는 동안, 그녀는 딸조차 모르는 숨겨진 방에서 강아지들을 벗삼아 하루 18시간씩 그림을 그려야 했다. 그림이 많이 팔리면 팔릴수록,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그녀의 고통은 더욱 극심해졌다. 

그녀는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전에 그렸던 그림과 다른 그림을 그렸다. 전시는 마가렛의 전 생애 기간 동안 그린 그림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배열해 놓았다. 그녀에게 혼란함을 안겨주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전 세계적으로 그녀를 유명작가로 만들어 준 작품 '빅 아이즈'를 시작으로 작품들이 이어진다. 부부 화가로 이름을 날렸던 시기에 그린 '모딜리아니 풍'의 그림도 잇달아 걸려있다. 

하지만, 변화시킨 화풍만으로 그녀는 자신의 고통을 상쇄할 수 없었다. 더구나 딸을 위해 선택했던 결혼이었지만 딸 앞에서조차 빅 아이즈의 주인 행세를 하는 남편을 견딜 수 없었던 마가렛은 모든 재산을 놔둔 채 딸과 함께 월터를 떠난다. 그리고 미국 사회 내에서 성장하던 여성 인권 운동에 발맞춰 자신의 정체성 찾기에 돌입한다. 

하지만, 그 시간이 짧진 않았다. 무려 12년이 지난 후, 1986년에 이르러서야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되찾는다. 마가렛은 자신의 그림과 그 그림으로 만든 굿즈를 팔아 일군 수많은 재산을 탕진해 변호사조차 내세울 수 없었던 월터를 상대로, 법정에서 53분 만에 스스로를 증명하는 그림, '증거 번호 227'을 완성했다. 늘 울타리에 갇혀서 세상을 바라보던 소녀가, 울타리 밖으로 나온 '세심한' 포인트는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나는 12년 동안 거짓말을 했고, 이는 내가 두고두고 후회하는 결정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나는 진실이 가지는 가치를 배웠고, 명성, 사랑, 돈, 그 무엇도 양심을 버릴 만한 가치는 없다고  배웠다.'  -마가렛 킨 

도슨트의 말처럼 때로는 일본 서스펜스 영화 속 아이 귀신과도 같은 커다란 눈에 대한 호불호는 차치하고, 키치 풍의 팝 아트가 익숙한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마가렛 킨의 '빅 아이즈'는 낯설지 않은 '화풍'이다. 그 친숙한 화풍에 담긴, 한 여성 화가가 벌인 자기 정체성에 대한 지난한 싸움이야말로 전시회를 통해 얻은 진짜 수확이다. 그저 애잔했던 눈망울에 그림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했던 한 여성의 사연이 담겨 있다고 생각하니 더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
 

증거물 227호 ⓒ 마가렛 킨

그 슬픈 눈망울은 자신의 이름을 찾는 여정에 나선 이후 변화한다. 하와이에서의 자유로운 삶, 종교, 그리고 사랑을 경험한 이후, 마가렛 킨이 그리는 눈망울을 한결 더 커졌지만 더 이상 슬픈 느낌이 들지 않는다. 평생에 걸쳐 일관되게 자신이 그린 그림 속 인물을 통해 마음을 표현하고자 하는 작가의 일관된 작품 세계가 느껴진다.

더구나 아직도 생존해 있는 작가는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한결같이 그림을 그리고 있고, 그 결과물을 전시회장에서 만날 수 있었다. 또, 영화감독 팀 버튼이 그려낸 커다란 눈망울을 가진 캐릭터들이 마가렛 킨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팀 버튼이 마가렛 킨의 생애를 스크린에 옮기는 건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다. 팀 버튼의 <빅 아이즈>는 바로 그런 두 사람의 '인연'을 통해 탄생한 작품이다. 아마도 전시회를 보고 팀 버튼의 <빅 아이즈>를 본다면 색다른 감흥으로 다가올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빅아이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3. 3 "총선 지면 대통령 퇴진" 김대중, 지니까 말 달라졌다
  4. 4 '파란 점퍼' 바꿔 입은 정치인들의 '처참한' 성적표
  5. 5 민주당은 앞으로 꽃길? 서울에서 포착된 '이상 징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