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등 전국 항구 화학물질 보관 실태 공개해야"

경남건생지사, 민주노총 경남본부 ... 베이루트 항구 폭발사고 관련 성명

등록 2020.08.10 15:42수정 2020.08.10 15:43
0
원고료로 응원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폭발사고와 관련해, 노동계는 전국 항구 화학물질에 대한 '보관 실태 공개'와 '관리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경남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경남건생지사),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10일 낸 성명을 통해 부산, 여수, 울산, 대산 등 주요 항구에 대한 실태 공개 등을 촉구했다.

베이루트 항구에서 폭발한 물질은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CAS번호 6484-52-2)으로, 이는 로켓 발사 화약으로 쓰일 만큼 폭발성이 아주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항구의 대규모 화학물질 폭발사고는 지난 8월 4일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에서 일어나기 이전인 2015년 8월 12일 중국 텐진항에서도 발생했다. 텐진항 폭발사고로 1000여명의 사상자가 났고, 5년만에 레바논에서 화학물질에 의한 대규모 폭발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는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이후 우리나라 전국 항구의 화학물질 보관 실태조사와 개선 대책을 요구했다.

당시 이 단체는 "체계적이지 못하고 관리 책임이 이원화되어 있으며, 소규모 업체의 경우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주변 주민을 포함한 어느 누구도 보관 실태를 알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경남건생지사는 "다행히 5년 전과 다른 점은 사고 이후 해당 지자체가 발 빠른 실태조사 발표와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는 점이다"며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하다"고 했다.


이들은 "화학물질 보관 항구가 있는 부산, 여수, 울산, 대산 등 지역 주민들은 내 주변 어디에, 어떤 물질이, 얼마나 많이 보관되어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했다.

이들은 "그 물질이 얼마나 위험한지도 모른다. 5년 동안 뉴스에 나오는 2건의 핵폭탄급 폭발사고를 속보로 시청할 뿐이다"며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제2의 텐진항, 제2의 베이루트항이 우리나라 부산, 여수, 울산, 대산항 등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고 했다.

지난 5일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현재 부산항 8개 컨테이너 운영사가 9개 부두에서 레바논 폭발 사고 원인 물질로 추정되는 질산암모늄 108TEU를 보관하고, 이는 약 2160t 규모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경남건생지사는 "이는 베이루트 항에 6년간 보관되었던 질산암모늄 2750t과 맞먹는 규모다"며 "더욱이 부산항엔 질산암모늄 이외에 다른 위험 물질 1200여t도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했다.

경남건생지사는 "조속히 전국 항구별 화학물질 보관실 태를 파악하고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자체만으로 부족하다. 조속히 노동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정부 부처는 합동점검단을 구성하고 전국 항구별 화학물질 보관실태 조사 결과를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이들은 "위험물관리법과 화학물질관리법으로 이원화된 관리체계의 맹점이다"며 "조속히 특수한 항구 화학물질 보관 및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경남건생지사는 "2015년 중국, 2020년 레바논, 다음은 한국 도시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부산, 여수, 울산, 대산 등이 제2의 톈진, 베이루트가 되지 않도록 정부 당국, 지자체, 기업이 협력하여 조속히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레바논 폭발사고로 135명이 사망하고 50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4일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대형폭발이 일어났다. ⓒ 연합뉴스

#레바논 #베이루트 #경남건생지사 #질산암모늄 #부산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3. 3 버스 앞자리 할머니가 뒤돌아 나에게 건넨 말
  4. 4 "김건희 여사 라인, '박영선·양정철' 검토"...특정 비서관은 누구?
  5. 5 "총선 지면 대통령 퇴진" 김대중, 지니까 말 달라졌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