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 인천 내 일본과 조선의 경계, 홍예문

등록 2020.08.21 10:47수정 2020.08.21 10:47
0
원고료로 응원

ⓒ 이희동


인천 자유공원 근처에는 오래된 문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일본 공병대가 1905년에 착공하여 1908년에 준공한 홍예문입니다.
 

ⓒ 이희동


이 문의 이름은 처음 혈문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후 무지개 홍자에 무지개 예자를 써서 홍예문이 되었는데, 아마도 이는 조선민중들이 일본식 혈문이라는 이름 대신에 무지개문이라는 이름을 자주 써서였을 겁니다. 결국 이름은 부르는 사람의 의지가 반영되는 법이니까요.
 

ⓒ 이희동


홍예문은 현재 인천 송학동과 전동의 경계에 서 있는데요, 이곳은 1900년대 초 인천항 주변 각국의 조계와 조선인의 마을 간 경계이기도 했습니다. 지금으로 보면 인천항과 동인천역을 가장 가깝게 잇는 길입니다.
 

ⓒ 이희동


당시 일제는 자신들의 조계도 모자라 인천 전체를 장악하기 위해 응석봉 너머 만석동 일대로 눈을 돌렸는데, 일본조계에서 만석동까지 가려면 해안선 지역을 거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해변도로를 만드느니 응석봉 산허리를 잘라 홍예문을 만들기로 했죠.
 

ⓒ 이희동


일제는 높이 17m, 폭 10m로 화강석을 쌓았습니다. 설계, 감독은 일본인이 맡았고, 유명한 중국의 석수장이들이 공사에 참여했습니다. 흙을 나르는 등의 잡일은 기술 없고 돈 없었던 조선의 노동자들의 몫이었습니다.
 

ⓒ 이희동


일제는 이후 이 문을 통해 당시 포화 상태였던 일본인 거주지를 조선인 마을까지 확장하였고 물자 수송의 편리함을 도모했습니다.
 

ⓒ 이희동


일제 강점기가 끝난 이후에도 홍예문은 인천 사람들에게 특별한 공간이었습니다. 그 주변의 본격적인 개발은 1955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인천 사람들은 그곳에 올라 멋들어진 풍광을 보며 더위도 식혔고, 데이트도 했다고 합니다. 주위에 고급주택이 들어서면서 영화촬영지로도 각광받았다고 하네요.
 

ⓒ 이희동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홍예문은 그곳에 그대로 있습니다. 역사의 흔적을 켜켜이 안고 우리의 근대를 이야기하고 있죠. 한때는 자유공원 옆이라 그 주위에 맥아더 장군을 모신 점집들도 많았는데, 요즘은 도시재생과 함께 꽤 예쁜 카페들도 하나둘씩 늘어가고 있답니다.
 

ⓒ 이희동


인천의 근대를 구경하시고 싶은 분들은 한 번 찾아가보시기 바랍니다.
 

ⓒ 이희동


#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2. 2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3. 3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4. 4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5. 5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