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굴·바지락·게에서 나온 '하얀 물체'... 인간도 위험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 ②] 버린 후 수거하려면 이미 늦다

등록 2020.09.21 13:06수정 2020.09.21 13:06
10
거북이코에 꽂힌 빨대, 새들의 몸통을 뒤덮고 있는 비닐봉지, 고래 뱃속에 가득 찬 비닐들. 우리가 버린 쓰레기들이 바다와 그 곳에 사는 생명들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수 십년 간 플라스틱 사용량이 크게 늘었고,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의 60~80%가 플라스틱 쓰레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은 더 큰 문제입니다. 매우 작아 수거가 어려워 계속 쌓이고, 해양생물들은 먹이로 잘못 알고 섭취하기 때문입니다.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어류를 섭취하는 우리에게도 피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시민들이 직접 미세 플라스틱을 줍고 조사했습니다. 쓰레기가 아닌 바다 생명이 돌아올수 있도록 미세 플라스틱을 줄일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아보려 합니다.[기자말]

해변에 가득한 스티로폼 ⓒ 녹색연합

 
☞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 ①] 제주 함덕해수욕장에서 바다거북 1830마리를 구했습니다

녹색연합은 8월 15~17일 제주 해변 3곳(함덕, 사계, 김녕)의 미세 플라스틱을 조사했습니다. 모래 해안은 바다보다 접근이 용이하고 시료 채취에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어 미세 플라스틱의 오염을 평가하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시료 채취와 분석은 모래 해변의 미세 플라스틱 시료 채취 및 분석 지침에 따라 진행했습니다. 

조사 대상지 모두 스티로폼, 노끈, 플라스틱 조각, 비닐 등이 쉽게 발견되었으며 이 중 스티로폼 파편이 가장 많았습니다. 또 플라스틱의 생산 원료인 펠릿(pellet)이 해변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이 펠릿이 어떻게 해서 제주 해안까지 유입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제주 해양생태계에 빨간 경고등이 들어온 것은 분명합니다. 지금 제주 바다는 켜켜이 쌓인 미세 플라스틱으로 망가지고 있습니다.  

바다로 유입된 미세 플라스틱 중 해수보다 밀도가 낮은 미세 플라스틱은 해수 표면에 부유하다가 밀물 때 해변으로 밀려와 퇴적됩니다. 특히 해수보다 물리화학적 풍화작용이 큰 해변에서 플라스틱의 미세화는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지의 미세 플라스틱의 풍도(밀도)는 35,360-168,160 particles/㎥의 범위로 확인되었습니다. 함덕이 가장 적고 사계가 가장 많았습니다. 조사 대상지 3곳 중 2곳에서 펠릿도 발견되었습니다. 참고로 조사 지점이 아닌 함덕 해변 다른 지점에서는 수십, 수백 개의 펠릿이 나왔습니다. 
     

미세플라스틱 종류 ⓒ 에코오롯

 

제주 해변 3곳의 조사결과 ⓒ 녹색연합

 

각 조사지점별 특징 ⓒ 녹색연합

 
우리나라 해안에서 미세 플라스틱 오염은 이미 확인된 바 있습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해안 18곳에서 모두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었습니다. 남해안이 동·서해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해안과 해상 모두 스티로폼이 가장 많았습니다.
 

18개 해변 미세플라스틱 조사지역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거제 칠전도 해역에서는 조사 대상인 바위털갯지렁이 10개체 모두 몸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왔고, 2016년 경남 거제와 마산 일대 양식장과 근해에서는 굴·담치·게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확인되었으며, 진해만 주변 해안에서는 바지락과 담치에서 검출되었습니다.

이렇게 미세 플라스틱을 먹은 해양생물의 몸 안에는 플라스틱 첨가제 독성이 축적됩니다. 그 해양생물을 인간이 먹고 있습니다. 심지어 2017년 환경부는 4대강 수계 정수장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된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 위해성 연구(2016)에 따르면 해변 미세 플라스틱(1-5mm) 중 약 94%가 스티로폼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 역시 이 연구를 뒷받침합니다. 대상지 3곳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도 조사 결과 스티로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 개수 기준 스티로폼이 함덕 48%, 김녕 75%, 사계 81%에 달합니다. 
 

함덕 해변에서 부서진 스티로폼을 줍고 있다. ⓒ 녹색연합

사계 해변에 널려 있는 스티로폼 ⓒ 녹색연합

 

스티로폼이 가득한 거제 해변. 잘게 쪼개져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 녹색연합

 
해양 환경에 배출된 스티로폼은 수거되지 않는 한 풍화를 통해 끊임없이 파편화됩니다. 이 때문에 당장 새로운 스티로폼 쓰레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한다 해도 바다에서 미세 플라스틱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폐스티로폼의 해양 유입을 철저하게 차단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 쓰레기 발생 예방을 위해 폐스티로폼 부표를 회수하고, 친환경 부표 보급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매우 부진합니다. 해수부는 2025년까지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제로를 추진할 계획이지만 2019년까지 친환경 부표 보급률은 24.9%에 그치고 있습니다. 2019년 기준 전국 양식장 부표 5500만 개 중 4100만 개(75%)가 스티로폼입니다. 4100만 개의 스티로폼 부표가 파편화하면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는 실정입니다.  

계획대로 2025년 스티로폼 부표가 제로가 되어도 파편화한 스티로폼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친환경 부표 교체 목표 달성 기한을 앞당기고, 폐스티로폼 의무 회수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현재 해양수산부는 해양환경공단을 통해 국내 연안에서의 미세 플라스틱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 후 분포 현황을 안다 해도 수거할 방법이 없습니다. 버린 후 수거하기보다는 버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플라스틱 생산과 사용 억제입니다.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업통상부 등 관계기관이 더욱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제주 #녹색연합
댓글10

녹색연합은 성장제일주의와 개발패러다임의 20세기를 마감하고, 인간과 자연이 지구별 안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초록 세상의 21세기를 열어가고자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4. 4 [단독] 김건희 일가 부동산 재산만 '최소' 253억4873만 원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