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대통령 본 적 없다" 나훈아 논란이 비생산적인 이유

[주장] "대통령? 국민이 나라 지켰다" 언어학적으로 분석해본 나훈아 발언

등록 2020.10.05 15:21수정 2020.10.05 15:22
0
원고료로 응원
a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방송화면 캡쳐 ⓒ KBS

 
가수 나훈아의 발언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9월 30일 방송된 KBS 2TV 나훈아 비대면 콘서트 '대한민국 어게인'에서(관련기사 보기) 나훈아는 공연 도중 "왕이나 대통령이 국민 때문에 목숨 걸었다는 사람 못 봤다. 바로 여러분이 나라를 지켰다", "(KBS가) 국민을 위한 방송이 됐으면 좋겠다"는 등 발언을 했다. 그의 말을 두고 정치인들은 물론 양 진영의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공방과 논란이 일어났다.

나는 그의 쇼를 보지 않았고 그가 정확히 무슨 의도로 이런 말을 했는지는 모른다. 그가 이 말을 하기 전에 얼마나 내용과 논리를 준비했는지도 알 수 없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연설문을 발표하는 정도는 아니더라도, 구태여 그의 쇼 중 시간을 내어 전 국민을 상대로 정치적으로 민감하게 들릴 수 있는 주제에 관한 말을 했다. 그가 표현에 세심하게 신경을 썼으면 좋았을 것이다.

왜 그의 말이 이토록 화제가 되고 있을까? 차분히 그 말의 내용과 논리를 분석해 보자.

우리는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절대로 한 문장만 말하지 않으며,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을 밝히기 위해 문장을 연결하여 논지를 전개한다. 나훈아 말을 분석해 보면 "왕이나 대통령이 국민 때문에 목숨을 걸었다는 사람은 한 사람도 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역사적 배경을 언급한 뒤 이어 "이 나라를 누가 지켰냐 하면, 바로 오늘 여러분들이 이 나라를 지켰습니다"라고 말했다. 이게 그의 핵심 주장(글에서는 주제문)이다. 이 부분은 매끄럽게 전개되었다.

즉 한국 역사에서 위정자들이 썩었을 때도, 민초들이 뭉쳐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 왔다는 그의 역사관을 바탕으로 해 핵심 주장을 언급하는 것으로 말을 시작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시로 곧바로 IMF 때의 금 모으기 운동을 언급한 후 최근의 예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우리 국민들이 얼마나 말을 잘 듣고 잘 따르는지"를 추가했다.

그런데 그가 이 추가 예시가 앞서 그가 언급한 "왕이나 대통령이 국민 때문에 목숨을 걸었다는 사람은 한 사람도 본 적이 없습니다"라는 역사관과는 맥락적 연결이 되지 않는다. 그의 말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게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나훈아 발언, 논리상 앞뒤가 맞지 않는데도 


앞서 그는 한국 역사에서 위정자들이 거의 예외 없이 부당한 권력을 휘두르며 국가적 위기를 회피한 비겁한 자들이라고 주장하고서는, 그 주장의 예시로 최근 코로나 사태 속에서 한국 국민들이 말을 잘 듣고, 즉 결국은 정부의 말을 잘 들으며 위기를 극복 중인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연결해보면, '한국 역사에서 위정자들은 다 비겁했는데, 지금 국민들은 그 위정자의 말을 잘 듣고 있다'는 식이다.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고 보인다.

글이나 말에 있어서 필자 또는 화자는, 자신의 핵심 주장을 언급한 후 그 주장을 분명하고 설득력 있게 뒷받침하는 증거나 예들만을 제시하여 글의 일관성(coherence)을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일관성은 글이나 말의 수준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다. 그의 말은 핵심 주장과 예시의 연결 부분에서 일관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의 말이 일관성이 있으려면, 그가 언급한 "국민 때문에 목숨 걸었다는 왕이나 대통령을 본 적 없다"는 발언, 즉 역사적 배경은 오히려 "위정자들은 다 비겁했는데 민초들이 그들의 불의에 맞서 싸우고 저항하여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 왔다'는 취지로 말을 이어갔어야 앞뒤 맥락이 맞는 것이었다. 그리고 만일 그가 '위기 때 한국민들은 말을 잘 듣는다'는 주장을 강조하려고 한 것이었다면, "위정자들이 올곧을 때는 민초들이 말을 잘 듣고 뭉쳐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 왔다"는 식으로 말을 했어야 논리상 옳다.

여기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보자. 한국 역사의 근본적인 정체성은 무엇일까? 민초들이 줄곧 말을 잘 듣는 순응적 역사였을까? 아니면 민초들이 부당한 지배세력에 순응하지 않고 늘 맞서서 투쟁한 저항의 역사가 그 줄기일까?

세계 역사적으로 볼 때도 한국 민초들처럼 말을 안 듣는 사람들이 없을 것이다. 한국 민초들은 불의한 왕이나 썩은 독재 권력과 부당한 세력에 정면으로 맞서서, 자신들 목숨까지 던지며 대항하고 투쟁하고 저항해 온 역동적인 역사를 이끌어 왔다. 가까이는 작년의 서초동 촛불시위부터 시작하여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시위, 6월 항쟁, 광주 민주 항쟁, 부마 항쟁, 4.19 혁명, 3.1 운동, 동학혁명, 수많은 민란 등 한국사는 실로 부당하고 불의한 권력에 맞서 싸운 민초들의 저항과 투쟁의 역사로 점철되어 있다.

물론 한국 민초들이 말을 잘 들은 적도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나훈아가 최근 코로나 사태 속에서 한국 사람들이 정부 방침을 잘 따르고 뭉쳐서 위기를 잘 극복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면, 그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는 담화의 흐름 속에서 바로 한국 민초들이 권력의 말을 잘 듣고 순응한 때는 바로 그 권력과 집권 세력이 민주적이고 올곧을 때만 그랬다는 함축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고 있지 못하기에, 오해를 야기하게 되고 억지 논리로 보이게 된 것이다.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적 측면에서 볼 때 나훈아의 말은 말의 전개에 있어서 앞뒤로 이어지는 맥락의 불일치로 응집성(coherence)이 심각하게 부족하고, 그런 이유로 그가 의도한 함축의 메시지가 어떤 것인지 매우 모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진영의 정치인들이나 지지자들은 그의 말의 일관성 없음과 모호성을 애써 외면하고 그의 말을 이용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치적 여론을 만드는 데에만 열중하고 있는 모습이 실로 개탄스럽다.

특히 야당과 현 정부 비판 세력들은 그의 말의 일관성의 구멍을 교묘하게 파고 들어서 그가 앞서 언급한 역사적 배경만을 강조하여, "(위정자들은 다 비겁하고 현재 정부와 대통령도 그런데) 국민들이 (말을 잘 듣고)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는 식으로 해석한다. 국민들이 누구 말을 잘 듣는지, 정확한 해석은 애써 무시하고 마치 대통령과 정부는 문제가 심각한데 국민들의 힘으로만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는 식의 억지 해석을 전파하려고 혈안이 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십 년 동안 조용히 지내던, 왕년에 인기 있던 가수가 갑자기 나타나서 그의 쇼 중에 정치적으로 민감하게 해석될 수 있는 말을 한 것도 이상하지만, 일관성이 없는 그의 말의 모호성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억지 해석도 마다하지 않는 일부 정치인들과 지지자들의 행태는 더욱 개탄스럽다.

결론은 그가 한 말은 이상하며, 그의 말의 의미 해석 또한 이상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그의 말을 둘러싼 논란 또한 비생산적이라고 생각한다. 
#나훈아 #일관성 #정치적 이용 #한국 역사의 정체성 #한국 민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현재 가톨릭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로서 언어학(세부 전공: 화용론) 전공자이다. 언어와 문화의 밀접성 관련 주제들 (은유의 의미와 화용)을 연구하며 영어 교과서와 학습서 출간 및 투고 활동을 하고 있다. 정치와 사회 및 문화 현상을 언어문화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글을 Facebook에 자주 쓰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