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김경수 "내년부터 공무원 대상 기후위기 의무교육 실시"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과 간담회서 "기후위기 대응 늦추기 어렵다" 강조

등록 2020.11.12 21:15수정 2020.11.12 21:44
1
원고료로 응원
a

김경수 경남지사는 11월 12일 경남도청에서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과 간담회를 가졌다. ⓒ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김경수 경남지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더 이상 늦추기는 어렵다"며 "앞으로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내 공무원 대상 기후위기 의무교육, 민관협력 강화, 기후환경국 내 기후위기대응 담당 신설 등의 구상을 밝혔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12일 경남도청에서 김경수 지사와 간담회를 했다며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간담회에는 박종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대표와 이찬원 경남대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에 따르면, 김 지사는 "기후위기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있을 때부터 이야기를 했다"며 "태양광 확대에 대해서도 금융권과 주민이 결합한 협동조합 방식을 제안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하지만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답이 없다. 여러 경로로 협의를 해봤지만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를 넘기가 가장 힘들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회의가 내년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데 대한민국이 무엇을 내놓을 것인지가 문제다"며 "우리나라는 '기후깡패' 내지 '무늬만 그린뉴딜'이라는 말을 듣고 있다. 그래서 대통령이 결심해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산업이 바뀌어야 하는데 저항이 너무 크다. 하지만 더 이상 늦추기 어렵다"며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바이든 당선으로 유럽과 미국 양대축이 기후위기에 나설 것이고 국면전환이 일어날 것인데 이제는 못 따라가면 안 된다. 앞으로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과 관련해, 김 지사는 "2021년부터 공무원교육 때 기후위기를 다루겠다"며 "인재개발원에 기후위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직원 전체에 대해 의무교육을 실시하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민관 협력을 강조했다는 것.


김 지사는 "기후위기대응 비상대책본부를 지금 바로 구성하는 것은 힘들다"며 "민간협력자문위원회, 협력위원회 방식의 기후위기 대응 소규모 기구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민관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설계를 잘해야 한다. 지역 언론과의 협력도 중요해 언론이 기후위기 보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김 지사는 "확대를 해나가야 하는데, 어떻게 보면 가장 큰 걸림돌이 정치권이다"며 "정치권이 재생에너지에 관심을 갖도록 시민사회가 나서서 설득하기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김경수 지사는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스마트 그린산단 전환'에 대한 계획도 밝혔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내년 1월에 경남도청 '기후대기과'가 '기후환경국'으로 바뀐다"며 "과가 국이 되는 의미이고 기후위기대응 담당을 신설한다. 신설의 의미이기도 하다. 국의 가장 중요한 의무는 기후위기대응이다"고 설명했다.

'탈석탄 금융금고 지정' 여부에 대해, 김 지사는 "금융기관 평가 항목에 '탈석탄'을 넣지 않고, 재생에너지 지원을 많이 한 금융을 선정하는 방향으로 하고, 은행이 1년 정도는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준비기간을 주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그동안 여러 차례 기자회견과 농성, 항의방문 등을 통해 김경수 지사의 면담을 요구해 왔다.
#김경수 지사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기후위기 #기후깡패 #재생에너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