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무명기자전'은 어디 없냐는 질문에 답합니다

[에디터만 아는 TMI] 무명기자들의 찐반란을 볼 수 있는 곳

등록 2020.12.09 18:53수정 2020.12.11 09:29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 라이프플러스 에디터만 아는 시민기자의, 시민기자에 의한, 시민기자를 위한 뉴스를 알려드립니다.[편집자말]
"나는 오늘부터 얼굴이 알려질 가수다."

이는 <싱어게인> 무명가수전에 나온 55호 가수가 자신을 소개하기 위해 쓴 문장이다. 드라마 <SKY캐슬> OST, 'we all lie' 부른 55호는 "노래가 가수를 삼켰다"라는 표현을 쓰며 이제라도 자신의 얼굴을 알리고 싶어 오디션에 지원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JTBC 싱어게인 무명가수전 ⓒ JTBC

 
그의 말대로 이 오디션은 노래만 유명할 뿐 노래를 한 가수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거나, 오디션을 통해 다시 성장의 기회를 갖고 싶은 가수, 그룹이 해체되면서 개인으로 활동하고 싶은 가수 등 우리가 잘 몰랐던 혹은 노래만 알고 있던 무명 가수들이 진검 승부를 겨루는 프로그램이다. 


육아신문 기자로 일하는 페친이 이 방송을 보고 "꿈꾸는 데는, 도전하는 데는 나이가 중요치 않은 것 같다. 마음을 뒤흔드는 이들의 노래를 들으면서 이들의 지난 삶에 박수를, 그리고 앞으로의 삶에 응원을 보냈다, 그런데 무명기자전은 어디 없나? ㅎㅎㅎ"라고 자신의 SNS에 적은 걸 우연히 보게 됐다.  

'무명기자전'이라.... 없긴 왜 없어요? 내가 일하는 오마이뉴스가 바로 그런 역할을 하는 곳이에요'라고 댓글을 달려다 말았다. '에디터만 아는 TMI'에 쓰고 싶어서.

축구 선수로 빙의되었던 편집부 시절
 

나는 내가 하는 편집기자 일이 축구 선수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 Pixabay


내가 5년차 즈음인가. 그때 나는 내가 하는 편집기자 일이 축구 선수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한 경기를 뛰는 축구 선수가 11명인데 마침 그즈음 편집부 기자 수도 그 내외였다). 

당시 편집부는 '정치사회경제사는이야기문화여행책동네스포츠영화'까지 분야를 막론하고 기사가 들어오는 시간 순서대로 검토했다. 특정 누구의 기사도, 특정 분야의 기사도 아닌 그저 그 타이밍에 내가 보는 기사가 있을 뿐이었다. 

기사 성격도, 소재도, 글쓴이들도 다른 기사들을 매일 보며 축구 선수들을 떠올렸다. 상대 팀에게 골을 먹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골키퍼가 나 같았다. 기사를 검토할 때 사실 확인이 잘 되지 않은 걸 뒤늦게 알았거나, 오보, 혹은 오탈자, 비문 등이 생길 때면 나는 실수로 '골을 먹은' 골키퍼처럼 자책했다. 어느 날은 수비수가, 공격수가 되는 날도 있었다.


그런데 편집부가 각자의 전문 영역으로 분리되면서 생각의 대상이 바뀌었다. 축구장에서 뛰어야 하는 선수들에게 좀처럼 빙의되지 않았다. 그 대신 오디션 무대에 오르는 가수들에게서 시민기자(시민기자들이 쓴 기사)가 보였다. 

매일 기사로 오디션을 보는 사람들
 

JTBC 싱어게인 찐무명 가수 조 ⓒ JTBC

 
시민기자들은 어쩌면 '무명기자'들이다. 소속도 없고, 알아주는 사람도 없다. 생업도 따로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저마다의 간절함을 가지고 기사를 써서 올린다. 그중에서는 내가 상상도 못할 일을 하며 글을 쓰는 분들도 많다. "도대체 왜 이제야 오신 거예요!"라고 말한 <싱어게인> 심사위원 가수 이선희의 심정과 같은 마음일 때가 나도 있다.  

가장 최근 기사를 활발히 쓰는 분들 중심으로만 언급하면, 싱가포르의 속사정을 그 어떤 해외 특파원보다도 더 디테일하게 알려주는 이봉렬 시민기자, 스위스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김나희 시민기자, 캐나다에서 패러메딕(응급구조사) 일을 하는 김준일 시민기자, 양민학살에 대한 관심으로 글을 쓰는 박만순 시민기자, 1990년대 대중문화에 대해 쓰는 양형석 시민기자, 넷플릭스 리뷰를 쓰는 김형욱 시민기자, 만년필을 수리하며 기록하는 김덕래 시민기자, 직접 요가를 가르치며 글을 쓰는 최성연 시민기자, 교통에 관련한 모든 것을 쓰는 기차 덕후 박장식 시민기자, 쿠팡 일용직 2년을 기록하는 김상현 시민기자 등 오로지 그들만이 쓸 수 있는 콘텐츠를 오마이뉴스라는 무대에 선보인다.

이들이 각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야기들. 그 이야기에서 독자는 자신들의 삶을 돌아보고 나아가 글을 쓰게 만드는 선순환을 만들어가는 곳이 바로 오마이뉴스의 20년이 아니었을까.

실제로 무명기자에서 시작해 찐반란을 일으킨 사람도 여럿이다. 산문, 인터뷰 등 논픽션을 쓰고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는 집필 노동자 은유 작가가 그렇고, 오소희 작가가 그렇고(지금은 성인이 된 아들 중빈이와 세 살부터 함께 여행한 이야기를 오마이뉴스에 연재한 바 있다), 탐사보도 전문매체 <셜록> 대표 박상규 기자도 그렇다.

박상규 기자는 2002년 6월 첫 기사를 시작으로 그의 개인 홈페이지 '개천마리네집에서 잡글을 끄적이다(본인 표현)'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다 2004년 우연한 계기로 오마이뉴스 기자가 됐고 10년 후인 2014년 사표를 냈다. '매체가 아닌 기사로 말하고 싶어서'.

이후는 많이 알려진 대로다. 2015년부터 박준영 변호사와 함께 '재심 프로젝트 3부작'을 진행했고 2017년 진실탐사그룹 셜록을 만들었다. 급기야는 계획에 없던 드라마 작가로도 데뷔했다. 그가 쓴 대본으로 만든 드라마가 바로 권상우, 배성우 주연의 <날아라 개천용>(SBS 금토드라마)이다. "무명기자전은 어디 없나?"라는 말에, "여기 있다"라고 꼭 대답하고 싶었던 이유다. "이걸 왜 아직도 모르시는 거예요!"

내가 모르지만, 오마이뉴스와 시작을 함께 한 지금은 무명이 아닌 기자나 작가들, 혹은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들이 훨씬 많을 거다. 또 아직 베일에 가려진 무명기자들도 많을 거고. 한때 기자 일을 해보았거나, 글과 관련된 일을 해본 사람들이 세상에 얼마나 많겠는가 말이다(수많은 이유로 꿈을 포기했거나, 경력이 단절된 지금 이 글을 보는 바로 당신들 말이에요!).

해마다 생기는 가수 지망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면서, '세상에 이렇게 노래 잘 하는 사람이 많나' 하는 생각을 자주 했다. 편집할 때도 마찬가지다. '세상에 글 잘 쓰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나'라며 내 짧은 글 실력을 감추고 싶을 때가 많았다. 질투가 날 때가 많았지만 언제나 그들의 등장을 환영했다. 찐무명 기자들의 출현을 진심으로 바랐다. 

레전드 가수도, 잘 나가는 아이돌 가수도 무명가수들의 무대와 목소리에 환호하는 프로그램 <싱어게인>처럼, 어떤 매체에서도 볼 수 없는 고유한 사는이야기, 일상을 바탕으로 한 칼럼을 쓰는 무명기자들을 <오마이뉴스>에서 자주 보고 싶다. 무명가수에 버금가는 무명기자들의 찐반란을 보고 싶다. 언젠가 이런 포부의 말도 들어봤으면 좋겠다.

"나는 오늘부터 '기사 OOO를 쓴 기자'로 알려질 시민기자다."
#에디터만 아는 TMI #시민기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시민기자 필독서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AD

AD

AD

인기기사

  1. 1 '특혜 의심' 해병대 전 사단장, 사령관으로 영전하나
  2. 2 "윤 대통령, 달라지지 않을 것... 한동훈은 곧 돌아온다"
  3. 3 왜 유독 부산·경남 1위 예측 조사, 안 맞았나
  4. 4 총선 참패에도 용산 옹호하는 국힘... "철부지 정치초년생의 대권놀이"
  5. 5 '파란 점퍼' 바꿔 입은 정치인들의 '처참한' 성적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