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일본군 500여 명 살상한 대첩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 / 22회] 독립군의 피해는 경미한 편이었다

등록 2021.01.28 17:39수정 2021.01.28 17:39
1
원고료로 응원
그동안 연구가들의 노력으로 연해주와 서간도의 독립운동은 많이 발굴되고 알려졌지만, 2020년 봉오동ㆍ청산리대첩 100주년을 보내고도 두 대첩에 크게 기여한 최운산 장군 형제들의 역할은 여전히 묻혀진 상태이다.
 
a

봉오동 전적기념비 봉오동 전적기념비 ⓒ 박도

 
임시정부 군무부가 발표한 「북간도에 재(在)한 아 독립군의 전투정보」에는 봉오동전투에서 적군 사살 157명, 중상 200여 명, 경상 100여 명인 것으로 나와 있다.

독립군의 피해는 경미한 편이었다. 독립군은 또한 이 전투에서 각종 무기를 노획하였다.

중국신문 『상해신문보』는 봉오동전투와 관련, 독립군의 대승과 일본군의 참패 실상을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다. 

6월 6일 밤에 일본군 수명이 강을 건넜다가 독립군에 체포되어 그중 5명이 죽었다. 대안(對岸)의 (일본군) 대대는 이 전투소식을 듣고 모두 강을 건너 사격을 개시했으나 뜻밖에 독립군이 산길을 모두 잘 알고 사로(四路)에 잠복하여 기습공격을 했으므로 일본군은 대패했으며, 당시 전사자가 150명, 부상자가 수 십명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강을 건너 도주하였다. 이번의 전쟁에서(독립군은) 소총 160정, 기관총 3정, 수류탄 수개를 노획하였다. 일본군은 이번의 실패 후에 장차 우리의 화룡현이 관할하는 창강의 도구(渡口)의 통행을 모두 봉금하고 교통을 끊을 것이라고 한다. (주석 1)
 
a

봉오동 들머리에 있는 봉오골 반일 전적지 표지석 봉오동 들머리에 있는 봉오골 반일 전적지 표지석 ⓒ 박도

 
봉오동전쟁에서 참패한 일본군은 독립군의 편제와 막강한 전투력에 대경실색한 내용이 정보 문건에 나와 있다. 정보기관의 기밀문서의 일부다. 

금회(봉오동전투)에서 다음의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안(對岸) 불령선인단은 정식의 군복을 사용하고 그 임명 등에 사령(辭令)을 쓰며 예식을 제정하고 있는 등 전적으로 통일된 군대  조직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나(중국) 측은 이를 묵인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제 경고를 해둘 필요가 있다. (주석 2)


봉오동전투에서는 한국 독립군이 정식군복을 착용하고 통일된 군대조직을 갖추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또 중국 정부에 한국독립군의 활동을 제지하도록 경고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이 전문대로 얼마 뒤 일제는 중국군을 내세워 독립군의 제지에 나서도록 시도했다.
  
a

봉오동 전적지, 산봉우리가 초모정자산으로 그 아래 왼편이 봉오동 중동 마을이고 오른편이 봉오동 상동 마을이다. 봉오동 전적지, 산봉우리가 초모정자산으로 그 아래 왼편이 봉오동 중동 마을이고 오른편이 봉오동 상동 마을이다. ⓒ 박도

 
봉오동전투에서 참패한 일제는 한국독립군의 동향을 추적하면서 독립군이 간도지방을 장악하게 되고, 국내 진공 작전이 본격적으로 감행되는 경우의 위험성을 기밀문서에서 보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간도에 있어서의 불령선인단의 위력은 더욱 강대를 가하여 무시할 수 없는 현세(現勢)에 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조에 그들이 흉위를 나타나기에 이르면 지나(중국) 군경같은 것은 도저히 이를 진정할 수 없으며 홀연히 간도 지방은 그들에게 유린될 것임은 명료한 것이다.

그들이 장정의 모집, 총기의 준비, 군량의 징발 등 군력 군자와 무력 충실에 노력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들이 계획하고 있는 조선국경의 습격 및 간도 지방 일본 관헌의 취체에 대한 반항적 행동은 기회를 타서 감행하기에 이를 것이라고 관측할 수 있다. (주석 3)


일본군은 만주의 한국독립군에 대해 두 가지 대책을 추진하였다.

"하나는 만주 군벌 장작림(張作霖)에게 압력을 가하여 일본군의 지도와 감시하에 중국군을 출동시켜서 독립군을 토벌하는 대책이었고, 다른 하나는 1920년 7월 하순부터「간도지방 불령선인 초토계획」이라는, 일본군이 직접 출동에 의한 독립군 토벌 계획을 입안하여 8월에 이를 확정한 것이었다." (주석 4)


주석
1> 『상해신문보(上海新聞報)』, 1920년 6월 27일치.
2> 『군보』, 밀(密) 제102호, 1920년 6월 15일치, 『현대사자료』27, 585쪽.
3> 고경(高警) 제21186호, 1920년 7월 21일치, 『현대사자료』27, 358쪽.
4> 『현대사자료』28, 116~121쪽 참조, 신용하, 『의병과 독립군의 무장독립운동』, 208쪽, 지식산업사, 2003.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장독립투사 최운산 장군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최운산 #최운산장군평전 #무장독립투사_최운산장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 멋있는 수필 <멋>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4. 4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5. 5 김종인 "윤 대통령 경제에 문외한...민생 파탄나면 정권은 붕괴"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