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기계의 문제는 결국 인간의 문제"

[인터뷰] SF 소설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 쓴 임어진 작가

등록 2021.03.05 18:50수정 2021.03.05 18:50
0
원고료로 응원
동화와 청소년소설 작가들의 SF스터디 그룹에서 만나 함께 토론했던 임어진 작가가 최근 SF 청소년소설 <아이 캔>과 소설집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를 냈습니다.

지난 1월 출간한 소설집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에는 '나'로 살기 위해 익숙한 궤도를 떠나는 이들의 용기와 변화에 대한 이야기 다섯 편이 담겨 있습니다. 아픈 상처를 지우기 위해 기억제거술을 고민하는 아이는 세월호 사건을 연상케 합니다. 인공지능이 모든 것을 제어하는 곳에서 사는 삶은 어떨까요? 복제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은 또 어떨지. 다섯 편의 이야기에서 다루는 주제는 단순히 과학만이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관한 것입니다.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 겉표지. ⓒ 낮은산

 
임 작가는 샘터상과 웅진주니어 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동화 <이야기가 사는 숲>, <푸른 고래의 시간>, <이야기 도둑> 등을 썼습니다. <델타의 아이들>, <로봇 중독> 등 이미 SF 관련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고 앨빈 토플러 박사는 과학소설이야말로 인간중심주의와 일시적인 편협성에 맞서 문명 전체를 개방화로 이끌어가는 문학이라고 했습니다. 임 작가와 SF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 <아이 캔>,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이번 책이 몇 권째죠?
"<아이 캔>이 지난 여름에 나왔고,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는 2021년 첫 책입니다. 그동안 낸 책은 40여 권쯤 되는데요. 그 중 여러 작가들과 함께 쓴 책이 8권이고, 전집으로 들어간 책이 8권입니다. 저 혼자 쓴 단행본 책은 26권쯤 되는 것 같네요."

다양한 주제로 작품 활동을 꾸준히 하는 모습이 멋집니다. 미래를 상상할 때 자주 등장하는 것이 로봇인 것 같습니다. 작가님의 작품에는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가 자주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인간을 닮은 로봇에 관한 이야기를 쓰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로봇 단테1>, <로봇 단테2>와 단편 <새 NEW>는 인간과 거의 구별이 되지 않는 안드로이드형 로봇 이야기이고, <아이 캔>과 <로봇 중독>은 인간 외형을 닮은 휴머노이드형 로봇 이야기입니다. 둘 다 인간과 아주 흡사하거나 비슷하게 닮았다는 점에서는 같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로봇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타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관계 맺고 있는지를 명징하고 다각적으로 생각해 그려 볼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되는 것 같습니다. 로봇은 우리에게 '존재'의 의미를 묻고 인간 사회를 되비추는 거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계속 탐구해 가며 써 보려고 하는 영역입니다."
   

반포동에 위치한 몽마르뜨공원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임어진 작가 ⓒ 유병천

 
- SF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는 이야기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의 황폐화, 슈퍼인공지능과 인간의 전쟁, 로봇과 인간과의 관계인 것 같습니다. 고 앨빈 토플러 박사의 말을 한 번 더 인용하자면 학교에서 왜 SF를 가르치지 않냐고 했죠. 저는 이 말이 과거는 배우면서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공부하지 않는가라는 일침으로 들렸습니다. 작가님이 생각하는 SF는 어떤가요?
"과학의 상상력인 SF를 사회에 대한 상상력, 소셜 픽션(Social Fiction) SF로도 확장하자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 무함마드 유누스 그라민은행 총재의 말이 인상 깊었어요. 또 그리 익숙하게 쓰는 말은 아니었지만, 미래의 인간상이나 사회상에 대한 사색을 담는 데에 좀 더 힘을 쏟는 사변소설(Speculative Fiction)이라는 용어도 SF의 폭넓은 세계와 깊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고요.

SF가 단지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만을 담는 데에 그치지 않잖아요. 만약 그렇다면 문학으로서 훌륭하기는 어려울 테고, 과학기술 분야와는 거리가 먼 인문학도 출신의 저 같은 창작자는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을 겁니다. 유토피아로든 디스토피아로든 미래를 그려본다는 건, 또 그 속에서의 존재들과 삶을 형상화해 본다는 건, 결국 '지금 여기'와 '인간'에 대한 탐구이면서 보다 나은 세상에 대한 작가 개개인 나름의 비전도(圖) 내지 제안서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그래서 SF는 어쩌면 가장 진보적인 문학일 수 있겠고, 또 그걸 표면의 구호가 아닌 내적 원리로 잘 그려낸 작품을 만났을 때 반갑고 많은 걸 깨우치게 됩니다. SF를 쓰면서 퇴행적인 세계관에 머물러 있거나 현실의 관습만을 되풀이해 그리기는 도리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런 점에서 세상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서도 유익한 문학이고, 어린이 청소년 세대는 물론 어른들도 사고가 굳어 버리지 않도록 계속 가까이 하면 좋을 문학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소설 <아이 캔>에서 해킹에 의한 사고를 보여주셨죠.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이면에는 역시 인간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인간과 인공지능 중 더 위협적인 존재를 꼽는다면?
"기계의 문제는 결국 인간의 문제라고 <아이 캔> 후기에도 썼는데, 인공지능이 어떤 지식들을 습득해 어떻게 운용되고 어떤 결과 양상들을 보여 줄 것인가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손에 달린 문제라고 생각해요. 챗봇에게 편견에 해당하는 말들만 입력해 놓자, 사람과의 대화에서 혐오어와 차별 언어들을 그대로 구사하더라는 실험 결과가 있잖아요.


인공지능이 딥러닝 방식으로 자기 학습을 하더라도 그 내용은 우리 사회에 축적되어 있거나 통용되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해 응용하는 것일 테지요. 유에서 다른 유로 발전하고 비약해 갈 수는 있겠지만 애초에 없는 데서 시작하기는 어려운 게 아닐까 싶어요. 아이들 교육 과정, 성장 과정과도 비슷할 거라는 생각도 들고요.

그런데 좁은 시야로 부정적인 면을 간과한 채 성급히 만들고 보자는 식일 때는 문제가 될 것 같아요. 기계를 제어할 수 있다는 오만함에서 시작되었든, '이 따위 세상 망해 버려라!' 하는 무차별적 복수심에서 아무렇게나 풀어 놓는 식이든, 자칫 잘못 설계되거나 운영되는 인공지능과 로봇은 언제든 정말로 인간을 뛰어 넘는 무시무시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와 같은 우연적 사고나 악의적 사고는 얼마든지 예상이 되는 문제지요. 그래서 결국은 인간의 문제라고 썼던 거고요. 문제도 인간에게서 발생할 테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결국 인간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몽마르뜨공원에서 만난 임어진 작가 ⓒ 유병천

 
- <호모데우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도 자신의 책에서 미래의 위협 요소 중 하나가 '해킹'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람이 집에서 나가려는데 인공지능이 문을 잠가버리는 장면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실제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끔찍할 것 같아요.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에 실린 <해피 하우스>를 말하는 거죠? 사물 인터넷으로 제어 관리되는 우리 생활의 한 단면을 '만약에'라는 가정으로 밀어붙여서 써 본 작품입니다. 역시 인공지능 기술의 허점을 파고들어가 본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책 <호모데우스>에서 유발 하라리는, 데이터교도들에게 내려진 계명이 '가능한 한 많은 매체와 연결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함으로써 데이터 흐름을 극대화' 하는 것이며, '연결되기를 원치 않는 이단까지 포함해 모든 것을 시스템에 연결하라'는 것이라며, 만물인터넷은 그 자체로 신성해질 것이라고 말하더군요. 그런 점에서 '연결'의 문제와 '연결하지 않을 권리'도 무척 논쟁적인 사안이라고 생각했어요. <해피 하우스>는 해킹의 문제와 함께 이 점도 같이 다뤄 본 작품입니다."
  
- <로봇 중독>과 <아이 캔> 그리고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에서 등장하는 로봇의 공통점이 있는 것 같은데,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공학 3원칙처럼 추구하는 '로봇관'이 있나요?
"현재까지 제가 쓴 로봇 이야기의 로봇들과 주요 인물들의 관계는 대체로 긴밀한 우호성과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이 캔>의 구형 로봇 캔과 소년 룬의 관계가 그렇고, <로봇 중독>에서 엄마가 준 3D 프린터로 로봇을 만든 선우와 로봇 지니가 그렇고, <로봇 단테2>에서 위기를 맞은 지성 로봇 단테2와 준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사람이 기계에게 일자리를 빼앗기게 될 미래를 심각하게 우려하죠. <인간은 필요 없다>라는 책에 옥스퍼드 대학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인용되어 있는데, 전체 노동 인구의 절반 가까이 되는 사람들이 머잖아 기계에게 일자리를 내 주어야 할 거라고 하더군요. 일자리 수준이 아니라 많은 경우 직종 자체가 사라질 거라는 게 저자의 견해고요. 이걸 대체하는 건 당연히 인공지능이나 로봇이겠지요.

테슬라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인간 20%만이 의미 있는 일을 해 나머지를 먹여 살리는 세상이 될 거라고 하잖아요. 80%는 일하는 척 시늉만 하게 될 거고요.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으니까 그런 '가짜 노동'을 하는 거지요. 굉장히 암울한 이야기로 느낄 수도 있지만, 어쩌면 산업사회를 거쳐 오며 강박적으로 길들여져 온 '일'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보면 다르게 풀어갈 수 있는 지점도 분명히 있다고 생각해요.

위에 언급한 책에서 저자는 특정 이익을 위해 로봇을 의도적으로 의인화하는 경향을 경계하는데, 저 역시 편의적인 인간중심주의로 로봇을 바라보는 것에는 공감하기가 어려워요. 다른 존재와의 모든 관계에서 지켜야 할 예의가 인식 능력을 가진 로봇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는 없을 테니까요. 그게 인간이 지닌 최소한의 기품이라고 생각해요.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에 대해서는 <로봇 단테2>에서 얘기를 나누는데, 작품 속 단테2가 하는 말이 제가 하고픈 말일 겁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대해 전적인 낙관으로나 비관으로나 치우치기보다는 각각의 가능성들을 다 생각해 보며 슬기롭게 미래를 대비해 나가야 할 것 같아요. 기술과 인간은 상호 관계에 있는 만큼 로봇과도 공존할 수 있는 길을 잘 모색해야겠지요."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

임어진 (지은이),
낮은산, 2021


#임어진 작가 #궤도를 떠나는 너에게 #SF소설 #로봇 중독 #아이 캔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평일에 회사에 다니고 주말에 글을 쓰는 주말작가입니다. 다양한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좋은 기사를 쓰고 싶습니다. https://brunch.co.kr/@yoodluffy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4. 4 '휴대폰 통째 저장' 논란... 2시간도 못간 검찰 해명
  5. 5 김종인 "윤 대통령 경제에 문외한...민생 파탄나면 정권은 붕괴"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