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중고가 천만 원 LP판, 김동률·이승환도 거북하다 한 이유

[주장] 매년 성장하는 국내 엘피 시장, 마니아 아닌 대중을 겨냥해야

21.04.05 19:00최종업데이트21.04.05 19:00
원고료로 응원

2020년 미국에서 엘피(LP)는 1991년 이후 처음으로 시디(CD) 판매량을 추월했다. ⓒ Unsplash

 
1980년대 오래된 레코드 가게를 운영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 레이첼 조이스의 소설 <뮤직 숍>은 시대의 흐름 속 왜 다시 엘피(LP)가 사랑받는지를 명쾌히 요약한다(엘피는 음반 규격을 의미하는 용어로 아날로그 음반을 통칭하기 위해서는 '바이닐'이라 지칭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시디(CD)가 여러모로 편리하긴 하지만 엘피판의 그윽하고 멋스러운 느낌을 따라갈 수는 없어. 다들 두고 보면 알겠지만 시디의 유행은 그리 오래가지 않을 거야. 소장 가치가 없으니까." 
 
<뮤직 숍>의 예언대로 바이닐 판은 시디의 권위를 박탈했다. 빌보드와 음반 판매량 조사회사 MRC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LP는 2754만 장이 팔려나가며 1991년 이후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2006년 이후 꾸준한 판매 증가세를 보이더니 1986년 이후 34년 만에 시디 매출을 뛰어넘은 것이다. 피지컬 음반 소비가 나날이 줄어드는 가운데서도 시디 매출이 전년 대비 48%나 감소할 때 LP는 꾸준한 구매 상승률을 보여왔다.

5년 전쯤만 해도 레코드 숍에 들러 바이닐 판을 구입하는 이들은 이른바 '레트로 마니아'들이었다. 벌집 같은 박스 속 가늠할 수 없는 시간과 수없이 많았을 공간의 이동을 거쳐 도착한 중고 판들 가운데 나만의 보물을 찾아 나서는 '디깅(digging)족'들이었다.

하지만 지금의 관심은 사뭇 다르다. 코로나19로 한풀 꺾이기 전 '서울 레코드페어'와 같은 레코드 행사장은 인산인해를 이뤘고, 지금도 한정반을 구하기 위해 매장 앞에서 줄을 서고 인터넷 예약을 기다리는 이들이 많다.
 

2020년 음악 소비 시장에서 전체적인 피지컬 음반 시장 규모가 줄어드는 가운데 엘피는 유일하게 소비 규모가 증가하며 새로운 음악적 물리 매체의 표준이 엘피임을 선언했다. ⓒ Unsplash

 
바이닐의 위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두 가지 키워드가 있다. 첫째는 감성이다. 바이닐을 통해 음악을 듣는 행위 자체가 MZ세대에게 쿨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민 없이 터치 몇 번이면 평생 들어도 모자랄 수의 노래를 추천받는 스트리밍 시대의 음악 감상은 익숙하고 건조하다. 바이닐 감상은 다르다. 오래도록 판을 고르고, 턴테이블을 세팅하고, 오디오 시스템을 만든 다음 바늘을 올리기까지의 섬세한 과정이 필요하다. 다시 한 번 <뮤직 숍>의 한 구절을 가져온다.
 
"나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음악이 좋아요. 엘피판을 들으려면 제법 번거로운 과정이 있죠. (…) 엘피판은 반드시 손으로 들고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흠집이 나 판이 튀기도 해요. 엘피판은 세심하게 신경 써주어야 깊고 그윽한 음질로 보답하죠. (...) 삶을 축복해 주는 음악을 들으려면 기꺼이 그 정도 수고쯤은 감수해야죠."

과장 좀 보태 신세대 음악 팬들에게 바이닐 감상은 경량화된 형태로만 존재했던 음악 감상을 신성한 의식으로 끌어올리는 새로운 경험이다. 음악을 듣지 않아도 좋다. 세워두기만 하면 인테리어 소품, 인스타그램 계정을 장식할 좋은 도구가 된다. 심미적인 차원에도 타 매체에 앞서는 것이다.

제작사들도 이를 파악하여 레코드판에 색을 입힌 컬러 바이닐을 제작하고, 일반 앨범 커버와 다른 감각적인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하며 음악 감상 이상의 가치를 부여한다. '어떤 음악을 듣느냐'보다 '어떻게 음악을 듣느냐'가 중요해진 시대에 LP의 강점이다.

두 번째 이유는 래플(raffle)과 리셀 문화다. 복권 혹은 응모권을 의미하던 래플은 선착순 판매 드롭(Drop) 마케팅과 반대되는 추첨식 판매 마케팅이다. 기업들은 고급 운동화 혹은 한정판 패션 아이템 구매의 기회를 응모와 추첨으로 진행하고, 당첨된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한 다음 직접 사용하거나 구매한 물건을 되파는 리셀을 선택한다. 래플 마케팅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신발 시장에서는 신발과 재테크의 합성어인 '슈테크', '스니커 테크'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리셀' 문화가 일반화되어 있다. 

최근 레코드판의 소비 유형도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바이닐 레코드를 제작하는 공장의 수가 줄어들며 엘피는 긴 제작 기간과 한정된 수량의 리스크를 감당해야 했는데 이것이 오히려 '품귀 현상'을 불러오며 희소가치를 높였다. 오래전 제작된 데다 보존 상태까지 좋은 제품이 빈티지 숍에서의 상품처럼 비싸게 거래되고, 인기 가수들은 자신들의 신보를 한정판으로 제작해 일반 시장에서 구할 수 없는 제품임을 강조한다.

일련의 흐름에 힘입어 한국 엘피 시장은 작지만 탄탄한 구매층을 확보하며 저변을 넓히고 있다. 2016년 28만 장에 그쳤던 국내 엘피 판매량은 2019년 60만 장까지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2019년 대비 73.1% 성장세를 보였다. 세월의 흐름에 사라진 엘피 공장이 다시 문을 열고, 유명 아티스트들부터 케이팝 아이돌까지 한정반부터 일반반까지 다양한 판을 발매하고 있다. 

지난해 5월 2000장만 제작된 백예린의 첫 정규 앨범 <에브리 레터 아이 센트 유(Every letter I sent you)> 한정판 LP가 발매와 동시에 품절됐고, 16년 만에 바이닐로 재발매된 이소라의 <눈썹달> 한정판 3000장이 예약 판매 1분 만에 매진됐다.

이외에도 듀스의 <듀스 포에버(Deux Forever)>, 이승환의 <폴 투 플라이(Fall To Fly )>, 김동률의 <오래된 노래> 등이 레코드판으로 다시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중고 거래도 만만치 않다. 일례로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 담배 연기 디자인의 초반 엘피는 중고 시장에서 1000만 원에 거래된다. 아이유의 <꽃갈피> 미개봉 한정 LP는 중고가가 무려 200만 원이다. 
 

공개와 동시에 품절되며 화제를 모은 백예린의 <에브리 레터 아이 센트 유> LP는 제작 과정에서의 불량으로 제작사 마장뮤직픽처스의 불량 알판 교환 절차를 거쳐야 했다. ⓒ 마장뮤직픽처스

 
디지털의 시대 아날로그의 가치가 '뉴 노멀'로 자리 잡아가는 광경은 분명 흥미롭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의 바이닐 생산 및 소비 시장이 마냥 긍정적으로 보이진 않는다.

우선 비용 문제다. '음악에 돈 쓰는 것을 두려워하다니!'라 비판한다면 할 말 없다. 하지만 과거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된 음원을 담은 판이라면 모를까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음원을 마스터링만 한 최근 생산품의 가격이 5~10만 원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은 의아하다. 가격이 높으면 그만큼의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그렇지도 않다. 내부 구성이 충실한 것도 아니며 판의 만듦새도 좋지 못하다. 한정판이라는 이름으로 높은 가격을 책정하지만 수요는 넘치고 생산은 제한되어 있으니 질적 검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단적으로 백예린의 <에브리 레터 아이 센트 유(Every letter I sent you)> 일반반과  이소라의 <눈썹달> 한정반의 경우 제작 불량으로 인한 음질 문제가 불거지며 제작사에서 교환을 진행해야 했다. 제작 단계부터 마스터링 과정까지의 변수가 상당한데도 가격은 언제나 높다. <뮤직 숍>의 주인공이 말하는 '깊고 그윽한 음질'을 듣기 위해 턴테이블, 스피커, 기타 장비들을 세팅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엘피 가격은 너무 과장되어 있다. 해외 엘피판과 비교하면 더욱 국내 판 가격은 비싸다. 
 

인기 레코드 숍 김밥레코즈는 청하의 <케렌시아> 엘피 발매 소식에 인스타그램을 통해 장문의 글을 통해 한정반 판매의 아쉬움과 소비자들을 위한 엘피 생산자들의 노력을 촉구했다. ⓒ 김밥레코즈 인스타그램 캡쳐

 
리셀이 여기서 다시 한 번 문제가 된다. 최근 한국 바이닐 시장에는 한정반만 있을 뿐 일반반이 드물다. 신보나 재발매반의 경우 굳이 '한정'이라는 이름을 붙여야 할 이유가 없는데도 희소성을 강조한다. 대중을 염두에 둔 결정이 아니라 소수 마니아들을 위해 제작하는 듯한 인상이다. 그렇다면 높은 가격과 어려운 구매 과정만큼 품질도 좋아야 하는데, 바로 위에서 말한 것처럼 만족스러운 경우가 거의 없다. 심미성을 위해 음질이 떨어지는 컬러 바이닐을 택하고, 몇 가지 추가 구성품을 더한 것으로 높은 가격의 이유를 대신한다.

그럼에도 대부분 한정반들은 발매와 동시에 품귀 현상을 빚으며 원래 가격의 4~5배 상당으로 중고 거래가 이루어진다. 중고 거래를 위해 판을 구입한 후 비싼 '플미(프리미엄)'을 붙여 판매하는 '리셀러'들의 횡포에 음악을 듣고 싶은 대중은 기회를 놓치거나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중고반을 구입한다. 백예린, 김동률, 이승환 등이 중고 거래의 횡포를 지적하며 '리셀 금지'를 호소했지만 근본적인 마케팅과 생산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양심에 호소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유명 레코드 숍 '김밥레코즈'는 지난 3월 26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청하의 <케렌시아(Querencia)> 한정반 가격을 비판하며 "일반적인 커팅, 일반적인 프레싱, 그리고 특별할 것 없는 패키지인데 가격만 특별한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라고 주장했다. LP 수요가 늘어난 만큼 한정반뿐 아니라 일반반, 디럭스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다(<케렌시아(Querencia)> 엘피는 기본 가격이 11만4900원, 할인가 9만5800원이다).
 

국제 음반 산업 협회가 발표한 2020년 음악 시장 리포트에 의하면 지난해 피지컬 음반 시장은 전체적으로 4.7% 감소한 상황에서 엘피 소비는 23.5% 성장을 이뤘다. ⓒ IFPI

 
바이닐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이다. 엘피가 머천다이즈(MD, 상품 또는 서비스를 알맞은 시기와 장소에서 적정가격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일련의 시책)화 되는 것을 개탄하는 일부 음악 팬들의 시선도 있지만, 음악 감상의 물리적 주 매체를 바이닐로 인식하고 있는 현세대에게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음악을 '구입한다'는 사실만으로도 가치가 있고, 그 인원의 증가는 늘어나는 판매량과 꺼지지 않는 수요로 증명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흐름 속에서 <뮤직 숍>처럼 음악을 소중하게 듣고자 하는 팬들을 위한 자리는 점차 좁아지는 듯하다.

바이닐 판을 일부 소수 마니아들의 취향, 시디나 스트리밍과 구분되는 고급 매체로 생각하고 있다면 그것은 크게 잘못된 생각이다. 소중히 용돈을 모아 청계천 세운상가에서 소위 '빽판'을 구입해 밤새 턴테이블 위 돌아가는 레코드판을 바라보던 경험의 세대라면, 레트로에 열광하는 신세대에게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생각이 아니라 음악의 신비로운 경험을 보다 손쉽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음악에 진입장벽이 있어서는 안 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대중음악웹진 이즘(www.izm.co.kr)에도 실렸습니다.
엘피 레코드판 바이닐 레트로 음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중음악평론가 - 대중음악웹진 이즘(IZM) 에디터 (2013-2021) - 대중음악웹진 이즘(IZM) 편집장 (2019-2021) 메일 : zener1218@gmail.com 더 많은 글 : brunch.co.kr/@zenerkrepresen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