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경술국치는 안 되고 뷰티엑스포는 된다? 청주 현수막 논란 왜

광복회 "허가받았는데 철거, 다른 건 유지"... 서원구청 "육교 게시 불법, 충북도 현수막 내릴 것"

등록 2021.08.24 13:36수정 2021.08.24 13:36
1
원고료로 응원

청주시 서원구청이 광복회충북도지부가 경술국치를 잊지 말자며 내건 현수막을 철거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광복회가 게시한 경술국치 현수막(사진제공 : 광복회충북도지부) ⓒ 충북인뉴스

 

청주시 서원구청이 광복회충북도지부가 경술국치를 잊지 말자며 내건 현수막을 철거해 논란이 일고 있다.서원구청 측은 광복회 현수막이 불법으로 내 걸린 것이여서 철거했다고 해명했지만 충복도가 오송화장품 엑스포를 홍보하기 위해 내건 현수막은 철거하지 않았다.  (사진제공 : 광복회충북도지부) ⓒ 충북인뉴스


충북 청주시 서원구청이 광복회충북도지부(지부장 장기영, 이하 광복회)가 경술국치를 잊지 말자며 내건 현수막을 철거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구청은 육교에 게시한 현수막 자체가 불법이고 민원에 제기돼 철거했다고 해명했지만 같은 자리에 충북도가 게시한 현수막은 그대로 있어 형평성 문제도 제기됐다.

충북 광복회는 지난 17일 삼일공원과 청주시 서원구 충북고등학교 인근 육교를 비롯해 총 4군데에 경술국치를 잊지 말자는 취지의 현수막을 게시했다.

현수막에는 "8월 29일 나라를 빼앗긴 치욕의 날! 제111주기 경술국치일 조기를 게양합시다"라는 문구가 적혔다.

광복회는 현수막을 게시하기 전에 서원구청을 비롯한 해당 구청에 허가를 받고 게시했다고 밝혔다.

광복회에 따르면, 네 개의 현수막 중 서원구청 관할 장소인 분평동 충북고등학교 인근 육교에 걸린 현수막만 철거됐다. 장기영 광복회충북도지부장은 "23일 충북고 앞 육교에 현수막이 없어졌다는 제보가 들어와 서원구청에 확인해보니 구청에서 철거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장 지부장은 "구청 관계자는 민원이 제기돼 철거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며 "담당 공무원에게 경술국치의 의미를 설명하며 항의했지만 소용없었다"고 주장했다.

서원구청 측은 법대로 집행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구청 관계자는 "육교는 광고물 지정게시장소가 아니어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없는 곳"이라며 "(불법 현수막이 게시됐다는) 민원이 제기돼 현수막을 철거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수막에 태극기도 들어가 있고, 이를 태극기 부대로 생각해 불편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다"며 "민원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원구청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광복회 현수막이 철거된 자리에 '2021 오송화장품 뷰티산업 엑스포'를 홍보하는 현수막이 게시돼 있었지만 철거되지 않았다. 이 현수막의 게시자는 충북도청이다.

이에 대해 서원구청 관계자는 "충북도 현수막은 광복회 현수막에 가려져 있어 민원이 안 들어와 철거하지 않았다"면서도 "불법인 만큼 충북도 현수막도 철거하겠다"고 답했다.

장기영 광복회충북도지부장은 "100년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경술국치의 교훈을 새기자는 현수막"이라며 "전국에 걸린 현수막 중 철거된 곳은 충북 청주시밖에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술국치는 1910년 경술년 8월 29일 이완용이 서명한 한일합병조약으로 조선왕조가 일제에게 주권을 완전히 빼앗긴 사건을 말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립니다.
#경술국치 #광복회 #청주시 #서원구청 #이완용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충북인뉴스는 정통시사 주간지 충청리뷰에서 2004년5월 법인 독립한 Only Internetnewspaper 입니다. 충북인뉴스는 '충북인(人)뉴스' '충북 in 뉴스'의 의미를 가집니다. 충북 언론 최초의 독립법인 인터넷 신문으로서 충북인과 충북지역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정론을 펼 것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니, 소파가 왜 강가에... 섬진강 갔다 놀랐습니다
  2. 2 "일본정치가 큰 위험에 빠질 것 우려해..." 역대급 내부고발
  3. 3 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
  4. 4 시속 370km, 한국형 고속철도... '전국 2시간 생활권' 곧 온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