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한류는 이제 주류인가?

국제문화교류진흥원, 최근 발간한 '한류-테크놀로지-문화'와 '한류, 다음'에서 조명

등록 2022.05.12 12:12수정 2022.05.12 12:12
0
원고료로 응원
a

'한류-테크놀로지-문화' 책 표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메타버스와 한류는 이제 주류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진중하게 모색하는 두 권의 책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한류-테크놀로지-문화'와 권역서 '한류, 다음'이다. 두 책은 우리 일상에 더욱 가까워진 메타버스와 한류의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한편으로는 냉철하게 그 유행어를 바라볼 필요가 있음에 주목했다.


우선 '한류-테크놀로지-문화'는 최근 세간에 화제가 되고는 있지만, 누구도 실체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메타버스를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통해 알기 쉽게 살펴봤다. 디지털화의 바람이 끊임없이 이어져 온 것과 같이 '오래된 미래'인 메타버스의 시공간 확장이 텔레비전,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와 어떻게 다른지를 질문함으로써 시공간 경험을 계보적으로 접근했다.

특히 이 책에서는 메타버스와 플랫폼 산업의 새로운 경험과 한계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개념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게임부터 영화, 방송, 케이팝, 미술관까지 각 분야에서 메타버스라는 키워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진단했다.

게임 분야에서는 메타버스로 대두되는 일련의 흐름이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가상과 현실의 중첩을 향해 변화해 가는 트렌드의 별칭이라 제시했고, 영화 부문에서는 이제 두 시간짜리 영화를 위한 시나리오를 쓰기보다는 마치 공상과학(Sci-Fi)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는 마음으로 미래의 영화를 상상해 볼 것을 주문한다.

방송 부문에서는 <오징어 게임>으로 최대 화두가 된 넷플릭스를 조명했다. 이를 중심으로 OTT 한류를 위한 서사극이라는 게 무엇이며, 그에 따른 현지화 전략은 어떤 것인지를 살펴봤다. 또 메타버스와 케이팝의 현 주소에 대한 탐구를 통해 대중음악 산업이 메타버스 시대로 빠르게 이행해가는 본질적인 이유와 그 과정에서 비롯될 다양한 문제점은 무엇인지도 짚어 봤다.
  
a

‘한류, 다음’ 책 표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류, 다음: 영어권 편'은 영어권 주요 4개국의 문화적 배경에서 한류가 현지 대중과 교류하는 지점을 살폈다. 우선 이 책은 한국이 한류를 통해 언어적·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나라가 되었지만, 한류가 글로벌 문화의 주류라 평가받아야 할 당위성은 없다는 질문으로 시작된다. 특히 한류가 세계에 퍼지는 또 다른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 '영어'에 주목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영어권 4개국 중 영국에서 한류의 주요 소비 계층은 아시아계와 청년 세대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비주류 문화 현상이라는 꼬리표가 붙기도 한다"면서 "한류, 다음은 한류가 다문화사회 영국에서 인종·세대 간 화합을 도모하며 영국의 미래가치를 대변하는 전략적 매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진흥원은 또 "미국편에서는 미국 주류사회가 케이팝 팬덤을 비하하기 위한 용어, 즉 '코리아부(Koreaboo)'라는 혐오 표현과 비하의 시선을 의식해 침묵으로 일관함에 주목했다"면서 "나아가 자신의 취향을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샤이 케이팝 팬(Shy K-Pop Fan)' 현상의 구체적 사례를 다뤘다"고 설명했다.

이 책은 또 신한류를 이끄는 스토리텔링에 주목했다. 사실 최근 몇 년간 한류 콘텐츠의 영향력이 확장된 배경에는 한류가 품은 이야기 자체의 희소성과 참신함에 더해 세계를 관통하는 보편적 정서로 지구적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류를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이야기로 인식하는 대표적인 국가를 캐나다로 꼽은 이 책은 다양성을 중시하는 캐나다의 문화 문법 속의 한국 이야기를 녹여내고 현지화한 '김씨네 편의점' 시리즈, 보편적 이야기의 감동을 선사하는 마영신의 '엄마들' 등을 예로 들어 캐나다인의 일상에 파고드는 한류의 현상을 분석했다.

진흥원 조사연구팀 최경희 팀장은 "'한류-테크놀로지-문화'와 '한류, 다음'은 메타버스와 영어가 한류 콘텐츠를 실어 나르는 세계 공통의 플랫폼으로서 공통점을 갖는다"며, 결국 우리 콘텐츠의 미래는 "각 국가의 문화적 특성 안에서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점검하고 앞으로 한류 콘텐츠가 품어야 할 다양성의 가치와 인류 보편의 스토리텔링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류-테크놀로지-문화 #한류, 다음 #문체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그래서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대자보가 대학가에 나붙고 있다
  3. 3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동작을] '이재명' 옆에 선 류삼영 - '윤석열·한동훈' 가린 나경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