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폭우 대책으로 10년 전 중단됐던 '대심도 터널' 다시 꺼낸 오세훈

10년간 1조 5000억 원 투자... 오 시장 “지방채 발행해서라도 추진”

등록 2022.08.10 17:12수정 2022.08.10 18:49
9
원고료로 응원
a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발달장애 가족이 침수로 고립돼 사망한 서울 관악구 신림동 수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서울의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해 10년 전 백지화됐던 대심도 배수터널을 재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오 시장은 10일 오후 입장문을 통해 "같은 서울이라도 양천지역은 침수피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반면, 강남은 대규모 피해로 이어졌다"며 "중앙정부와 힘을 합쳐 2011년 이후 중단됐던 상습 침수지역의 빗물저류배수시설 건설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현재 30년 빈도 95mm 기준의 시간당 처리용량을 최소 50년 빈도 100mm, 항아리지형인 강남의 경우 100년 빈도, 110mm를 감당할 수 있도록 시의 치수관리 목표를 상향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서울시는 2027년까지 강남역 일대와 도림천(관악구), 광화문 지역의 터널 공사를 완료하고, 2030년까지 동작구 사당동 일대, 강동구, 용산구 일대의 2단계 사업을 순차적으로 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사업에 향후 10년간 1조 5000억 원을 집중 투자하고, 기존 하수관로 정비와 소규모 빗물저류조, 빗물펌프장에도 3조 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양천지역은 시간당 95~100mm의 폭우를 처리할 수 있는 빗물저류배수시설이 있는 데 반해 강남 지역의 시간당 처리 능력은 85mm에 불과하다고 두 지역을 비교했다. 오 시장이 말한 빗물저류배수시설은 지표면으로부터 40m 이하의 깊은 지하공간인 '대심도(大深度)'에 지하터널을 뚫어 물을 배출하는 시설을 말한다.

2011년 7월 광화문 광장과 강남역 일대가 물에 잠기고 우면산 산사태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자 오 시장은 시간당 100mm 폭우를 감당할 수준의 대심도 터널 공사 계획을 처음 내놓았다.

그러나 오 시장 후임 박원순 시장은 2012년 5월 21일 대심도 터널 대상지 6곳 중 양천구 신월동의 공사만 확정하고 나머지 5곳은 백지화하겠다고 발표했다. 2015년 3월에 내놓은 강남역 일대 침수대책에도 대심도 터널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


전임 박 시장도 처음에는 대심도 터널에 적잖은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2012년 2월 9일 일본 방문시에는 직경 12.5m², 연장 4.5km에 달하는 도쿄 칸다가와 환상 7호선 지하조절지를 답사하기도 했다.

답사 현장에서 "대심도를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몰아붙일 것이 아니라 '민생수해대책'의 일환으로 살펴야 한다"(고태규 물관리국 하천관리과장)는 서울시 입장과 "대심도는 졸속 대책이며 각 지역별 환경에 맞게 다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관동대 토목공학과 박창근 교수)는 환경단체 입장이 팽팽히 맞서기도 했다.

박 시장 시절 정책에 관여했던 서울시 관계자는 "신월동만 뚜렷한 대안이 없어서 대심도를 유지하기로 했고, 나머지 지역은 비용 대비 실효성이 적다는 얘기가 많아서 사업을 중단한 것"이라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오 시장이 서울시청에 돌아온 지 1년 만에 2011년을 뛰어넘는 폭우 피해가 발생하면서 대심도 터널이 시정의 우선순위로 다시 떠오르게 됐다.

오 시장은 "열악한 시의 재정여건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제적 투자인 만큼 필요할 경우 지방채 발행을 통해서라도 추진하겠다. 10일 오전 대통령 주재회의에서도 국비 지원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오세훈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100만 해병전우회 "군 통수권" 언급하며 윤 대통령 압박
  4. 4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5. 5 두 번의 기회 날린 윤 대통령, 독일 총리는 정반대로 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