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으로도 힐링을 주는, 흔치 않은 영화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제목만으로도 힐링을 주는, 흔치 않은 영화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 이수C&E


파라다이스 같은 곳에서의 뜬구름 잡는 희망 섞인 대화에서, 썩어가는 포도와 출근 준비를 하는 찌든 얼굴의 남자로 이어진다. 그리고는 좁은 사무실에 우루루 모여 있는 직장인들의 모습들까지. 아오야마는 홀로 도쿄에 올라와 자취하며 오랜 취업 활동 끝에 영업사원으로 발탁되었다. 하지만 상사에 의한 일방적인 갈굼, 당연히 수당을 받을 리 없는 야근, 한밤중까지 걸려오는 상사의 전화로 더 이상 살아갈 마음이 없다.

어느 날 밤늦게 퇴근하던 그, 너무 힘들어서 쓰러진 것인지 자살하려고 했던 것인지 지하철이 들어오던 찰나 선로로 떨어지려 한다. 간발의 차이로 그를 살려내는 이, 야마모토. 다짜고짜 만면의 웃음을 띠며 아오야마의 초등학교 동창이란다. 그러며 한잔하러 가 서로를 알아간다. 그것도 모자라 아오야마가 쉬는 날을 이용해 아오야마의 고루한 외모를 세련되게 바꿔준다. 이후 일이 잘 풀리는 듯한 아오야마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진 못한다. 가장 중요한 계약 건을 거의 다 끝내놓고도 마지막에 가서 황당하고 어이없기 그지없는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급기야 부장의 명령 때문에 그 계약 건은 에이스인 이가라시에게 맡겨진다. 한편 야마모토가 성가신 아오야마인데, 우연히 길을 가던 야마모토의 평소답지 않은 우울한 모습에 전격적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고 다름 아닌 그가 3년 전에 자살했다는 기사를 접한다. 이게 무슨?

힘겨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이란?

 '제로'에서 시작하는 게 아닌 '마이너스'에서 시작하는 시대에 '희망'이란 존재할까. 있다는 그건 무엇일까.

'제로'에서 시작하는 게 아닌 '마이너스'에서 시작하는 시대에 '희망'이란 존재할까. 있다는 그건 무엇일까. ⓒ 이수C&E


힘겹게 살아가는 현대 젊은이들의 삶의 면면, 특히 취업을 다루는 콘텐츠가 정녕 부지기수다. 사실 2008년 전 세계 금융 위기가 있고 나서 몇 년 후인 2010년대 초반에 절정으로 유행했기에 이젠 조금 시들한 감이 있다. 하지만 그 여파는 취업 시장에서 회사로까지 침투했으니, 영화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는 그 이야기다.

물론 회사에서 힘든 이야기는 비단 지금 뿐의 이야기는 아니다. 오히려 육체적으로는 위기 시대가 아닌 성장일로 시대 때가 더 힘들었을 것이다. 그때의 노동자는 성장을 위해 한 몸 바쳐 희생하는 조직체였다. 지금의 객체적 개념과는 천지 차이다. 그래서 '나 때는 말이지-' '요즘 젊은것들은-'으로 이어지는 장광설이 나오는 것일 테다.

지금은 제로성장, 아니 마이너스성장 시대다. 아무리 열심히 해도 가까스로 제자리를 지킬 수 있는 지금, 육체적 고통 이전에 정신적 고통이 기본적으로 수반된다. 압박하고 압박을 당하는 모양새가 전과 비할 바가 아니다. 육체적 고통은 어떠냐고? 절대적 강도가 줄어들었을 뿐, 여러모로 발전된 현대사회의 기준과 일치하진 못한다.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사는 게 뭐냐는 질문에 희망을 품는 거라고 대답하는 대화로 영화가 시작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결국,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건 '희망'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희망이라는 게 어떤 성격일까. 더 나은 회사원이 될 거라는 희망? 더 나은 인간이 될 거라는 희망? 부디 후자이길 바라본다.

치가 떨리게 공감되는, 회사의 악랄한 일들

 영화는 신입사원이 겪는 악랄하기 짝이 없는 회사 상사의 술수를 초중반에 집중적으로 보여주며 후반에 있을 감동 코드를 배가시키고자 한다.

영화는 신입사원이 겪는 악랄하기 짝이 없는 회사 상사의 술수를 초중반에 집중적으로 보여주며 후반에 있을 감동 코드를 배가시키고자 한다. ⓒ 이수C&E


야마모토 덕분에 더욱 밝게 바뀌는 만큼, 아오야마는 회사에서의 일로 더욱 힘들어한다. 영화는 한순간 눈물 쏙 빼놓는 감동도 선사하는 걸 잊지 않는다. 전형적이리만치 일본적인, 즉 밝은 것이든 악랄한 것이든 감동적인 것이든 극단을 선보이는 것이다. 그중 가장 와닿는 건 단연 회사에서 겪는 악랄한 일들이다.

같은 회사원으로 공감을 하고 조금이나마 위로를 받아야 하는데, 오히려 아오야마를 위로하고 걱정하는 나를 발견한다. 힘든 하루 일을 마치고 오직 상사만을 위해 야근까지 완료한 후 걸려오는 상사의 전화, 그저 쉬고 싶고 자고 싶고 내일 따위는 오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여기서 가장 악랄한 건 업무시간 이후에 걸려오는 상사의 전화다.

믿기 힘든 실수로 중요한 계약 건이 날아간 아오야마에게 내려진 명령, 에이스 이가라시에게 계약을 통째로 넘겨라. 그리고 사무실 직원 모두에게 무릎 꿇고 진심으로 사과하라. '죄송합니다! 잘못했습니다!' 여기선 인격살인과도 같은 사과 방식보다 몇 개월 동안 공들인 계약 건이 성사 직전 통째로 넘겨졌다는 게 더 악랄하게 다가올 수 있다.

아오야마가 자살을 생각하는 부분은, 극의 전개상 어쩔 수 없는 거라고 해도 100% 공감되지는 않는다. 반면, 다음날 기다리고 있을 끔찍하고 견디기 힘든 일을 생각하느라 '자야 한다, 자야 한다' 말하면서도 잘 수 없는 아오야마의 잠자리는 치가 떨리게 공감된다. 생각이 꼬리를 물어 잘 수 없고, 벌떡벌떡 일어나고, 괴로워 미칠 것 같은….

전형적인 현실 공감 판타지

 이 영화는 현실공감판타지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결론으론 현실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들이다. 그럼에도 공감이 가는 건...

이 영화는 현실공감판타지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결론으론 현실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들이다. 그럼에도 공감이 가는 건... ⓒ 이수C&E


우린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 야마모트를 쫓아가 들여다봐야 한다. 모르긴 몰라도 그에게도 아마 아오야마와 비슷한 일이 있었을 게다. 그가 아오야마에게 건네는 별거 아니지만 그 어떤 말보다 진실한 말들에서 행간을 읽어볼 여지가 있다. '무슨 일 있니?' '잠은 잘 자니?' '밥은 잘 챙겨 먹고?'

저렇게 물어봐 주는 사람은 아마 가족, 또는 가족 같은 사이뿐이지 않을까. 영화는 이쯤에서 자연스럽게 가족 이야기, 가족의 소중함으로 이어진다. 이어서 회사원이 아닌 한 사람의 인생 이야기로까지. 전체적으로 본연의 맛을 잃고 조금 삐거덕대는 느낌이 들지만, 한순간에 짧고 굵은 감동의 눈물로 어느 정도 상쇄가 된다.

아오야마의 선배이자 팀 에이스 이가라시의 표정에서 드러나는 불만과 불안 등이 일찌감치 겉으로 표출되어 갈등이 이어졌으면 단순히 신입사원의 이야기가 아닌 회사 전체의 이야기가 될 수 있어 영화 전체적으로 더욱 입체감이 살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그러기엔 이 영화의 가고자 하는 방향이 다른 데 있긴 했다.

자신을 제외하고는 책임질 사람이 없는 아오야마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제목처럼 쉽게 회사를 그만두는 것에 긍정적 공감을 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 영화는 현실 공감 판타지. 영화를 보는 순간이나마 공감하고 위로하고 위로받고 대리만족할 수 있었다. 이 영화의 목적이 그것이었을 테고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본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singenv.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젊은이 회사 희망 공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