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촛불 2008과 미디어 리더쉽'에 관해 종합토론을 벌이고 있다.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촛불 2008과 미디어 리더쉽'에 관해 종합토론을 벌이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촛불'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가 불을 붙인 '촛불집회'가 두 달째 지속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1인 미디어로 무장한 '디지털 게릴라'들이 전통 매체를 압도했고, '집단지성'이 출현했다. 전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세계가 깜짝 놀랄 일이다.

이 '세계 최초의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런 미디어 지형의 변화는 일시적인 것인가 아니면 구조적인 미디어 리더십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인가. 과연, 더 많은 참여가 더 좋은 '집단지성'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또 만일, 5년 후에 다시 유사한 '촛불'이 켜진다면 그때의 미디어 지형은 어떻게 바뀔까?

'촛불 2008과 미디어 리더십'을 주제로, 이런 질문에 해답을 찾는 토론회가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3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제4회 세계시민기자포럼의 일환으로 <오마이뉴스>(대표 오연호)가 주최한 이날 포럼의 종합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그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보여줬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촛불집회는 집단지성의 가능성과 한계 모두 보여줬다"

우선 '사이버 민란'에서 광장의 시민저항으로 나타난 촛불현상의 배경에 대해서는 대부분 참석자들의 진단이 일치했다.

패널로 참석한 황용석 교수(건국대 신방과)는 "촛불집회 기간에 나타난 언론의 신뢰도의 저하와 독자이탈, 그리고 대의제 시스템의 일시적 마비 등"을 예로 들며, 2008 촛불집회에 나타난 정치커뮤니케이션적 특성으로 '정보와 여론지표로서 대중매체의 역할 약화'와 '정치매개 집단의 영향력 약화'를 들었다.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 에디터가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촛불 2008과 미디어 리더쉽'에 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 에디터가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촛불 2008과 미디어 리더쉽'에 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역시 패널로 참석한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 에디터는 "인터넷의 네트워크가 아니었으면 이 많은 사람들이 이명박 정부에 불만이 이렇게 깊고 광범위하다는 것을 상호 확인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며 '새로운 시민사회로서 온라인 공론장'과 '오프라인의 속도를 바꾼 온라인 속도'에 주목했다.

그는 특히 "취임 100일 맞은 정부의 국정 전반에 대한 반대가 이렇게 빨리 조직되는 것은 이전에 상상하기 어려운 현상"이라며 "일반적으로 2010 지방선거에서 이명박 정부가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막연하게 전망했는데 인터넷의 속도에 따라 여론이 신속하게 형성되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저항이 광장에서 즉각 표출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미디어 지형의 변화에 대해 "인터넷과 뉴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겠지만 전통 매체와 인터넷 기반 뉴미디어의 대결 구도는 형성되지 않을 것"이라며 "서로 다른 미디어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뉴미디어 전문기자도 "촛불집회 기간에 전통 매체 일부가 백기를 들고 수용하는 등 미디어리더십의 동요와 후퇴의 양상이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촛불'이 이겼다고 보지 않는다, 전통 미디어들이 분발해 스스로 혁신하면서 독자와 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가 '협력'의 가치를 믿는다면 '집단지성'을 믿는 것"

더 많은 시민들의 참여가 더 좋은 집단지성을 만들어낼 것인지에 대해서 이대근 에디터는 "지난 총선이 '욕망의 정치'를 표출한 것이라면 촛불은 탈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정치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그런 점에서 촛불집회는 집단지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패널로 참석한 강인규(미 위스콘신대-매디슨 신방과 강사)씨는 "하워드 라인골드의 '영리한 군중(Smart Mobs)'은 촛불시위에 딱 맞는 개념"이라며 "우리가 '협력'의 가치를 믿는다면 '집단지성'을 믿는 것"이라고 집단지성의 방향성을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만일 5년 후에 다시 2008년과 비슷한 '촛불'이 켜진다면 그때 미디어지형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라는 질문에 참석자들은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강씨는 "5년 후의 미디어기술은 더 발전하겠지만 '참여'는 기술의 문제가 아닌 사회역사적 문제이기에 유사한 기술적 환경이 유사한 참여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5년 후의 모습은 우리가 앞으로 5년 동안 무엇을 요구하고 이뤄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3부 발제자인 류한석 소프트뱅크 미디어랩 소장도 "미디어의 범위가 확장되고, 미디어 분산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디지털 도구는 중립적이며, 그것이 아날로그적 감동과 결합할 때 비로소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며 '도구와 감성의 결합을 통한 세상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백병규 전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은 "한국의 저널리즘에서 현장주의가 이처럼 꽃을 피운 적이 없다"면서 "아직 실패를 속단할 수 없지만, 촛불의 문제는 미디어 지형 변화보다는 진화 가능성이 더 중요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류한석 소프트뱅크 미디어랩 소장이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에 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류한석 소프트뱅크 미디어랩 소장이 27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에 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조중동'은 워치독(감시견) 아닌 가드독(보호견) 역할 했다"

사회를 맡은 오연호 대표는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서울시청 앞 소식을 전하면서 "현재 네티즌이 조중동과 한판 붙고 있는데 과연 누가 이길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으나, 참석자들은 대부분 한국 사회의 역동성을 들어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황용석 교수는 "언론은 권력 감시가 핵심기능인데 '조중동'은 워치독(감시견)이 아닌 가드독(보호견) 역할을 했다"고 전제했다. 이어 "국제통상 이슈는 흔히 정권과 국민 이익이 같이 가는데 촛불정국에서는 전통 언론이 거꾸로 국민을 감시하고 정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했기 때문에 프레임의 충돌이 벌어진 것"이라며 "저널리즘의 본질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오연호 대표는 포럼 인사말에서 "미디어 세계를 둘러싼 정치권력, 자본권력과 언론권력의 상호작용(상호견제)이, 종이신문-방송-인터넷-모바일-네티즌(독자)의 상호작용(상호견제)이 결국은 대한민국의 여론형성 과정에서의 민주주의의 질을 더 높이는 과정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종합토론에 앞서 <참여군중>(스마트 몹스)의 저자 라인골드의 영상 기조연설을 듣고, '촛불정국'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한 인터넷 현장 생중계(1부), 의제 설정자로서의 커뮤니티(2부), 미디어로서의 블로그(3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28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인터넷생중계를 담당했던 각사 주체들을 초청해 '촛불과 대안적 현장 생중계'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28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인터넷생중계를 담당했던 각사 주체들을 초청해 '촛불과 대안적 현장 생중계'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태그:#세계시민기자포럼, #미디어리더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