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내 한 거대 통신사가 해외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로 인해 도입이 중단된 '인터넷 사용자 모니터'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 전망이다.

 

호남대 정보통신대학 김진홍 교수는 17일, 영국 <가디언>과 미국 <뉴욕타임스>가 "한국의 대형통신회사(인터넷제공회사)가 '인터넷 사용자 모니터'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고 문제 제기했다. 김 교수는 한국의 대형통신회사는 KT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 기사를 인용하며 "논란이 되는 기술을 BT(BRITISH TELECOM)가 테스트한 것은 1만 가구에 불과하나 한국의 KT는 십만가구 이상, 십만에서 십오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며 7월 초 시점에서 수주일 이내에 테스트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KT의 이 같은 움직임이) 왜 지금까지도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는지 모르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술이 테스트된 후 상용화과정을 밟게 될 경우 상당한 논란과 갈등이 예상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인터넷 사용자 모니터 '기술이란, 어느 인터넷 사용자가 온라인상의 어느 사이트를, 어느 내용을 보는지를, 해당 사이트의 동의없이 추적하고 축적해서 그 사용자의 이해와 관심사를 파악한 후 그 내용을 인터넷 제공회사가 광고회사에 제공하고 광고회사는 그 사용자에 맞춘 광고를 내보내는 기술이다. 즉, 온라인상에서 사용자가 보는 사이트와 내용을  근거로 해서 개인 각자가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알아내고 각각이 어떤 사이트를 방문하건간에 타겟 광고를 보내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행위에 대해 광고효율성을 높이는 것이지만, 일반 웹회사들이 이미 하는 부분적인 웹브라우징 패턴에서 사용자의 관심사나 이해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ISP(인터넷제공회사)가 제공하는 실제 자료를 분류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논란 야기되었다"며 NYT를 인용해  밝혔다.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시사프로에 출연해 이 같은 내용을 밝힌 김 교수는 이 기술이 한국에 도입되는 것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며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을 권리는 헌법에 보장된 권리인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회사가 고객들이 주고 받는 것을 감시하고 그로부터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이익을 취하는 것이 타당한 일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인터넷은 국가경제를 지탱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통신망이 개인에게는 포괄적인 감시에 해당하는 행위에 사용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묻고 싶다"고 거듭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미국과 영국의 인터넷제공회사에서는 인터넷사용자모니터 기술을 개발, 도입을 시도한 바 있으나 자국내 강한 반발에 직면해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영국의 <가디언>지는 갈등 양상이 심했던 영국 정부는 사생활 침해문제로 기술이 적용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했으나 기술개발사인 BT는 해외 인터넷제공회사들과 기술 거래는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특히 BT는 한국의 대형 인터넷제공회사와 기술 실험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


태그:#인터넷 사용자 모니터, #조지오웰, #동물농장, #빅 브라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