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담벼락으로 삐져 나온 감은 서리에 딱입니다. 추억이지요.
 담벼락으로 삐져 나온 감은 서리에 딱입니다. 추억이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감'.

가을, 우리나라에서 흔히 보이는 과일입니다. 뒷산, 골목, 집 안 담벼락,  길모퉁이 등에 어김없이 감나무가 한 그루씩 있습니다. 예전에 주렁주렁 달린 감은 보기만 해도 배가 불렀지요. 늦가을 잎사귀 떨군 감나무 꼭대기에 덩그러니 몇 개 남은 건 일명 '까치밥'이었습니다.

까치밥은 우리네 조상들이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의 지혜였습니다. 배고픔과 허기를 아는 조상들의 나눔이자 배려였지요. 또한 자연을 대하는 멋과 풍류가 깃들어 있습니다. 그래선지, 감에 얽힌 추억이 많습니다.

나이 드니 홍시의 깊은 맛을 뒤늦게 알다

감나무 가지에서 빨갛게 익어가는 감은 아스라한 추억으로 남았습니다.
 감나무 가지에서 빨갛게 익어가는 감은 아스라한 추억으로 남았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까치밥입니다. 제대로 쪼았습니다.
 까치밥입니다. 제대로 쪼았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우리 막둥이 홍시 먹을까."

어릴 적, 외할머니 댁에 가면 위엄 있던 외할아버지 무릎은 홍시를 든 제 차지였습니다. 꼭 왕좌를 차지한 느낌이었지요. 외할아버지께서 보관하시던 홍시를 집안에서 제일 막내였던 저에게만 주셨기 때문입니다. 다른 형제들에게 곶감 등을 주셨던 기억이 또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예전, 저는 홍시를 썩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먹을 때 물렁물렁하고, 흐물흐물 흘러내리는 게 싫었던 모양입니다. 이로 인해 지금껏 아삭아삭 씹히는 맛을 더 선호합니다. 요즘, 나이 드니 홍시의 깊은 맛을 알겠더군요. 그래 종종 찾습니다. 이쯤에서 옛날의 정취를 떠올리게 하는 정지용 님의 <홍시> 한 편 읊지요.

홍시
정지용

어저께도 홍시 하나,
오늘에도 홍시 하나,

까마귀야 까마귀야,
우리 나무에 왜 앉았나.

우리 오빠 오시걸랑,
맛뵐라구 남겨 뒀다.

후락 딱 딱
훠이 훠이!

어디에서 말리냐에 따라 '감' 이름이 갈린다!

감은 어디서 어떻게 말리느냐에 따라 이름이 갈립니다.
 감은 어디서 어떻게 말리느냐에 따라 이름이 갈립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속이 거무스름한 건 떫은 감입니다.
 속이 거무스름한 건 떫은 감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감'.

종류도 많습니다. 감은 크게 떫은 감과 단감으로 나뉩니다. 떫은 감은 대개 재래종이더군요. 단감은 접 붙여 탄생시킨 개량종이라 봐도 무방할 듯합니다.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허기를 달래려고 담장 너머 손을 뻗어 딴 감을 한입 베어 물어 떫었을 때에는 오만상을 쓰며 "퉤퉤" 뱉어내기 일쑤였습니다.

쓰디 쓴 경험이 감의 종류를 구분하게 만들었지요. 감이 작고 뾰쪽한 것은 떫은 감, 즉 땡감이요, 둥글납작한 것은 단감이었습니다. 이는 "감나무 밑에 누워 홍시 떨어지기 기다린다."란 속담처럼 기다린 게 아니라 감 서리를 하며 온몸으로 체득한 것입니다.

감은 한자로 '감나무 시(柹)'입니다. 홍시는 붉게 익은 감을 따 따뜻한 곳에서 숙성시킨 것이요, 곶감은 감을 말린 것입니다. 백시와 황시는 볕에 말린 것을, 오시는 불에 말린 것입니다. 또 준시는 꼬챙이에 꿰지 않고 납작하게 말린 것이며, 상시는 감나무 가지에서 서리를 맞은 감입니다.

이외에도 반시, 등시, 대봉 등 80여 가지의 종류가 있더군요. 또한 감잎차, 감와인, 감 말랭이, 감식초 등 다양하게 먹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주말, 감을 창원에 사시는 지인이 보내왔습니다. 이름 하여, 창원의 '하늘 아래 첫단감'입니다.

상품으로 내는 것은 아니고, 파지를 모아 보내 부담이 덜했고, 무척 고마울 따름이었습니다. 이 파지마저도 맛이 달달했습니다. 역시 감의 주생산지다운 맛이었습니다. 창원 단감을 보니, 일전에 만났던 창원 동읍농협 김순재 조합장의 말이 떠오르더군요.

"농민들 살기 힘들다. 22년 전인 1991년에 10Kg 45개를 1박스에 담아 서울에 보내면 3만6천 원이 왔다. 그런데 지금은 3만 원 이하다. 상품의 질은 높아졌는데 가격은 내렸다. 이러니 농민들이 흥이 나겠나."

그의 말을 들으면서, 공산품 가격은 다들 오르는데, 쌀을 비롯한 농산품 가격은 죄다 내리거나 그대로인 걸 알겠더군요. 여기서 정부의 가격 정책을 비판할 생각 없습니다. 다만, 힘없는 농부들에게 도시민들이 위안과 힘을 실어주자는 겁니다.

곶감, '감쪽같다'는 의미에 얽힌 두 가지 설

감이 설사 예방에 좋아 자주 찾습니다.
 감이 설사 예방에 좋아 자주 찾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대봉입니다. 아내가 엄청 좋아하지요.
 대봉입니다. 아내가 엄청 좋아하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저는 술 마신 후, 어김없이 설사에 시달립니다. 이를 감이 잡아주기에 선호합니다. 정말 감쪽같습니다. 그러고 보니, 꾸미거나 고친 데를 눈치 챌 수 없다는 의미의 '감쪽같다'는 말에 얽힌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첫째, 달달하고 맛있는 곶감을 눈앞에 두고 먹성을 참다가 주인이 잠시 자리를 뜬 사이 곶감의 쪽을 얼른 먹고 안 먹은 것처럼 시치미를 떼던 모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곶감이 얼마나 맛있었으면 그랬겠습니까.

둘째, 다른 과일과 달리 감을 두 쪽으로 잘랐다가 다시 붙이면 자른 면이 보이지 않고 떨어지지도 않아 '감쪽같아'고 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믿기지 않는다면 한 번 실험해 보시지 바랍니다.

아내가 대봉을 좋아합니다. 매년 대봉을 구입해 삭힌 후 냉동고에 넣어 얼려둡니다. 아이들에게 먹이는 재미도 있고, 스푼으로 떠서 맛을 음미하며 먹는 재미가 '솔찬'합니다. 어릴 적, 외할아버지께서 주시던 뒤주에 넣어 보관하던 홍시에 비하겠습니까마는, 한 해 두 해 먹다가 저까지 대봉 맛에 빠졌습니다.

올 겨울에도 홍시 먹는 맛을 즐기면서 우리 조상의 넉넉한 마음 씀씀이를 배울 작정입니다. 참, 감의 떫은맛을 없애는 이야기도 나와야겠군요.

감을 두꺼운 종이에 싸서 10여 일 놔두면 떫은맛이 사라집니다. 또 쌀 속에 20여 일 묻어 두면 떫은맛은 사라지고 단맛만 남습니다. 이게 바로 외할아버지가 홍시를 뒤주에 넣었던 배경입니다.

감 드시고 삶의 감 잡으시길….

단감 드시고 삶의 감 찾길...
 단감 드시고 삶의 감 찾길...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 올립니다.



태그:#창원 담감, #홍시, #대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