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에는 영화 <비긴 어게인>의 줄거리와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비긴 어게인> 포스터

영화 <비긴 어게인> 포스터 ⓒ 판씨네마


문명 사회 속에 원자화된 존재로 던져진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마주치게 되는 건 기쁨이나 행복, 성공보다는 오히려 좌절, 실패, 소외, 그리고 슬픔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를 찾아오는 많은 작품들은 그런 개인들을 위로하고, 부축해 일으켜 다시 한번 살아가자고 토닥인다. 제목부터 알 수 있듯 영화 <비긴 어게인> 역시 다르지 않다.

감독의 전작 <원스>처럼 <비긴 어게인> 역시 음악을 통해 두 남녀가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 막상 영화의 스토리는 단순하다. 오히려 스토리를 능가하는 음악의 힘이 크다. 하지만 여기서 알맹이는 음악이라는 매개를 통해 실의에 빠진 두 남녀가 힘을 얻는 그 순간, 그 지점의 환희다.

<비긴 어게인>의 오프닝은 스티브(제임스 코든 분)가 노래하던 술집 소파에 찌그러지듯 앉아있던 그레타(키이라 나이틀리 분)가 마지못해 스티브의 부름에 불려나가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부르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같은 장면이 그녀를 바라보던 댄(마크 러팔로 분)의 시점에서, 그리고 그레타의 시점에서 다시 되풀이 되면서 영화는 비로소 이야기를 시작한다.

'실패자'가 된 두 사람의 만남

힙합 독립 레이블로 시작하여 스타 프로듀서가 된 댄은 몇 년 동안 이렇다할 실적을 내지 못했다. 함께 했던 회사는 동료에게 넘기고 집은 아내에게 넘긴 채 뉴욕의 허름한 아파트에서 머물며 술로 세월을 보내다 자살까지 결심한 처지의 실패자이다.

그레타 역시 그다지 나은 상황은 아니다. 영화 한 편을 통해 벼락 스타가 된 남자 친구 데이브(애덤 리바인 분)와 함께 뉴욕 행을 택한 그녀는, 그저 스타가 된 남자의 연인이 아니라 그의 노래를 작곡해 주었던 음악적 동반자였다. 하지만 이제 그의 곁에 그녀의 자리는 없다. 애정 전선에도 문제가 생겼다. 이제 그녀에게는 연인도, 음악도 남아있지 않다. 그래서 버틸 수 없어 뉴욕을 등지고자 한다. 그런 그레타가 마지못해 노래를 부르고, 그 노래를 댄이 듣는다.

두 사람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음악은 영화에서 더욱 빛난다. 술 기운을 빌려 지하철에 뛰어들겠다고 마음먹은 댄은 술집에서 그레타의 노래를 듣는다. 사람들의 시끄러운 대화 속에서 독백하듯 읊조리는 그녀의 노래 소리에, 오래도록 그를 떠났던 영감이 다시 찾아온다.

 영화 <비긴 어게인> 스틸컷

영화 <비긴 어게인> 스틸컷 ⓒ 판씨네마


오로지 기타 반주에 의존한 그레타의 노래에 저절로 피아노가 반주를 넣고, 베이스와 바이올린, 드럼이 등장한다. 완성되지 않은 곡이라며 노래를 마치치도 않고 자리를 뜬 그레타와 달리, 댄의 귀를 울린 그녀의 음악은 그토록 그가 찾아헤매던 바로 그 '곡'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댄이 진흙 속에 숨은 진주라며 그레타를 자신의 동료에게 데리고 가지만, 데모 테이프조차 없는 그녀를 알아줄 리 만무하다. 하지만, 기적처럼 영감을 길어올린 댄은 포기하지 않는다. 데모 테이프 대신 그레타의 오랜 동료 스티브를 비롯하여 고전 음악을 연주하던 예일대생 오누이, 발레 반주를 하던 건반 연주자, 오랜 친지를 통해 소개받은 드럼과 베이스 연주자, 그리고 거리에서 음반 녹음을 방해하던 아이들까지 합류해 시끄러운 소음이 가득한 뉴욕의 거리를 배경으로 한 곡의 음악을 만들어 낸다.

삶의 의미 되찾은 두 사람, 그것만으로도 영화는 충분하다

조용히 해주는 댓가를 요구하던 아이들도, '그저 비발디가 아니라면 그것으로 족하다'던 음대생들도,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던 뉴욕 할렘가의 주민들도, 그리고 노래를 하는 그레타나 이들을 지휘해 나가는 댄 까지. 성공에 대한 생각도 잊은 채 모두가 잠시 음악에 어우러져 흥에 겨웠던 그 순간, 그것이 바로 <비긴 어게인>이 빛나는 지점이요, 그레타와 댄을 좌절에서 길어올린 순간이다. 이는 <원스>의 두 주인공이 악기점 안에서 노래를 부르며 소통하는 장면과 겹쳐 보이기도 한다.

영화 속에서 그런 순간들은 반짝반작 빛이 난다. 그 어떤 시도를 해도 늘 어긋나기만 했던 아버지 댄과 딸 바이롤렛(헤일리 스테인 펠드 분)이 그녀의 기타 연주를 통해 화해하는 신도, 그레타와 데이브의 관계를 설명해 준 데이브의 생일 신이나 데이브에게 전화로 이별을 통보하던 신까지, <비긴 어게인>은 인간사의 교감을 음악을 통해 빛나게 해준다. 그리고, 그것들이 바로 우리가 다시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삶의 계기라 밝힌다.

<원스>에서도 그랬지만, <비긴 어게인>의 남녀 주인공은 사랑인 듯 사랑이 아닌 듯한 관계로 마무리된다. 하지만 그로써 족하다. 뉴욕 거리를 함께 거닐거나 음악을 연주하며 교감을 나누었던 그들은 서로가 함께 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되찾았기 때문이다. <비긴 어게인>은 그렇게 서로를 통해 다시 삶을 살아가게 된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말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비긴 어게인 원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