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이지헌 홍국기 기자 =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액이 지난해 1분기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안심전환대출을 출시하며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을 약속했지만, 새해 들어 가계빚이 워낙 가파르게 늘다 보니 가계부채의 총량에 대한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 관리의 적기를 놓쳤다는 지적도 나온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외환, 기업은행 등 7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316조4539억 원에서 이달 말 323조4876억 원으로 올해 1분기에 7조745억 원 급증했다.

1분기에 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조원 넘게 급증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통상 1분기는 겨울철 이사 비수기인데다, 연말 상여금과 소득공제 환급액 등으로 대출을 갚는 사람이 많아 주택대출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해 1분기 주택대출 증가액은 1조9846억 원으로 2조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3.5배에 달할 정도로 비정상적인 급증세였다는 뜻이다.

은행별로 보면 우리은행의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조2천억 원 늘어 시중은행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신한은행(1조9천억 원), 외환은행(1조5천억 원), 하나은행(1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들어 주택담보대출의 급증은 전세 매물 품귀와 이로 인한 전셋값 상승을 견디다 못한 사람들 이 대거 주택 매수로 몰렸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더구나, 다음 달 1일부터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면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불안 심리가 작용해 주택 매수 심리를 더욱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달 들어 27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1489건에 달해 지난달의 9478건을 훌쩍 넘어선 것은 물론, 3월 거래량으로 가장 많았던 2006년의 1만1854건에 육박했다. 31일까지 집계되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재건축 이주 등으로 전세난이 심화되면서 임대 수요가 매매로 돌아선데다, 분양가 상한제 폐지도 주택 매수 심리에 불을 붙였다"며 "이에 따라 당분간 주택대출의 급증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가 안심전환대출로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을 꾀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주택담보대출의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대출은 일부라도 안심전환대출을 통해 10∼30년의 장기 분할상환대출로 유도할 수 있겠지만,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가파르게 늘어 주택대출 총량이 너무 커지면 이 같은 대책도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은 35조5천억 원 증가해 사상 최대로 늘었지만, 올해 1분기의 주택대출 급증세가 2분기 이후에도 계속된다면 지난해 기록을 깨고 올해 사상 최대 기록을 세울 것이 확실시된다.

박창균 중앙대 경영대학 교수는 "가계부채 관리는 이미 적기를 놓쳤으며 더는 나빠지지 않도록 하는 수밖에 없는데, 주택대출 금리가 워낙 낮다 보니 대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 등이 필요하지만, 경기 부양에 여념이 없는 정부가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원장을 지낸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안심전환대출은 가계부채의 위험도가 가장 낮은 그룹을 대상으로 빚의 구조를 바꾼 것인데, 2금융권 채무자나 저신용자, 다중 채무자 등 위험도가 가장 높은 그룹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 다소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안심전환대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