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가족신문 2호 표지
 가족신문 2호 표지
ⓒ 김병기

관련사진보기


가족신문 2호 여행을 앞두고 엄마 기자는 아이들에게 파격적인 '특명'을 내렸다.

"지도를 보고 너희들이 가고 싶은 곳을 정해봐라."

당황한 녀석은 지도책과 교과서를 펴놓고 손톱을 물어뜯었다. 가족신문 2호부터 여행지를 고르는 일은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큰딸의 몫이었다. 결단력과 자발성을 키워주겠다는 아내의 의지표현일 수 있다. 그런데 가족여행을 가기 며칠 전까지 아무런 계획을 짜지 않는 아빠 기자에 대한 화풀이였는지도 모른다. 아이들에게 특명을 내리기 하루 전날 아내는 "아니 너무한 것 아니에요!"라면서 목소리를 높이기까지 했다.  

사실 난 여행지를 정하고 일정을 짜는 게 귀찮았다. 모로 가도 서울로 가면 된다는 말이 있듯이 아무데나 발길 닫는 대로 가도 여행지이기 때문이다. 대신 내가 가족신문을 만들면서부터 고민했던 것은 기자 아빠라는 반쪽 DNA를 후천적으로 강화시켜주는 일이었다. 그래서 마음속으로 별렀다.

'이번엔 진짜 취재의 ABC를 가르쳐주자.'

가족신문 창간호는 그럭저럭 만들었는데 막상 아이들에게 전수해준 취재 노하우가 없었다. 녀석들은 2000년 여름, 두 번째 취재 여행지로 부여를 골랐다. 눈치 빠른 녀석이 엄마의 학습여행 취지를 읽은 것이다. 다행이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해수욕장을 갈 수는 없지만, 엄마 기자가 만족할 만한 역사 교육 장소였다. 또 취재의 노하우를 전수하기에도 적합한 곳이다.

첫 행선지는 부여 관북리 백제유적 발굴 현장. 아내는 차에서 내리자마자 전화기를 들고 해설사를 찾았고, 나는 취재수첩을 들고 나름대로 공을 들여 훈계를 시작했다. 

"가족신문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취재하는 게 뭔 줄 알아? 뭔가 쓰려면 재미난 정보를 모아야겠지? 그게 취재야. 육하원칙이라고 학교에서 배웠니? 어~!"

차 안에서 몸을 배배 꼬던 아이들은 훈계에 서투른 아빠의 말을 듣지 않았다. 발굴 현장 쪽으로 뛰어갔다. 거기서 10여 분 기다렸더니 국립문화재연구소 최덕한 연구원이 달려왔다. 아내가 미리 연구소 쪽에 전화를 걸어 현장 소개를 부탁했는데, 바로 그 사람이다. 그는 4명의 가족 취재단을 위해 주말에 나와 땀을 흘려가면서 설명했다. 가족 취재단도 온몸이 젖었다. 취재 열기 때문은 아니었다. 날씨가 무척 더웠다.

관북리 백제유적 주요 유구. 사진이 없어서 팜플릿을 오려 붙였다.
 관북리 백제유적 주요 유구. 사진이 없어서 팜플릿을 오려 붙였다.
ⓒ 김병기

관련사진보기


첫째 딸의 꿈은 고고학자

30여 분 동안 발굴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들은 말 중에 아직도 기억이 나는 것은 두 가지다. 고고학자들은 곡괭이와 호미뿐만이 아니라 붓도 가지고 다닌다는 것. 기와조각이라도 나오면 도화지가 아니라 땅에 붓질을 하면서 흙을 조심스럽게 털어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1500년 전 조상들은 기와를 이용해 과학적으로 배수로를 팠다는 사실이다. 현장 설명을 마치고 연구소로 들어가려는 최 연구원을 아빠 기자가 붙잡았다.
 
"10분 정도만 시간을 내주실 수 있나요? 잠깐 인터뷰를 했으면 해서요."
"예?"

즉석 인터뷰는 미리 계획한 것은 아니었다. 습관성이다. 이번에는 말이 아니라 몸으로 취재의 기본인 인터뷰 요령을 아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생각이 스쳤다. 그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나를 쳐다봤다. 손수건으로 연신 이마에서 흐르는 땀을 씻어내던 그의 얼굴에서 '지금까지 다 설명을 했는데, 무슨 인터뷰냐?'라고 말하는 게 읽혔다. 하지만 아빠 기자는 숨 돌릴 틈 없이 질문을 던졌다.       

"다른 게 아니고, 큰딸아이가 고고학자의 꿈을 키우고 있는데, 고고학은 뭔지 간단하게 설명해주시면 어떨까요?"

이번에도 큰녀석 핑계를 댔는데, 거짓말은 아니었다. 당시 집 앞 놀이터의 모래를 파면서 자주 놀았던 녀석의 꿈은 고고학자였다. 플라스틱 딱지나 총알 등 모래 속에서 제 딴에 신기한 걸 찾아내면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아빠에게 보여주곤 했다.

빨리 연구소로 돌아가고 싶어서였는지, 아빠 기자의 질문이 생뚱맞다고 생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잠시 멈칫거렸다.

"아, 예……. 음……."
"잠깐만 시간 내주시면 돼요."

앙코르를 요청하듯 한 번 더 졸랐다.

"고고학은 물음표입니다. 정답이 없어요. 땅을 파야 합니다. 땅을 파서 뭐가 나와도 항상 물음표를 던져야 합니다. 왜, 이것이 여기에 있는 건지 되물어야 하고, 이것이 어떤 기능을 했는지? 이것이 여기에 있어야 할 이유가 뭔지? 옆에서 발견된 것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처음부터 끝까지 물음표입니다."

한국판 인디아나 존스, 땅속에서 '지혜' 발굴

그는 선수였다. 단순하고 쉽게, 귀에 콕 박히도록 송곳 답변을 했다. 고고학을 진정으로 좋아하고 자부심이 충만한 젊은 연구자였다. 추상적인 말만 늘어놓는 취재원과는 몇 시간 동안 인터뷰를 해도 기사의 제목이 나오지 않는데 그는 첫 대답에서 기막힌 제목을 안겨줬다.

'고고학은 물음표다'

그는 또 "만날 삽과 호미로 땅을 파면서 고되기도 하지만 재미가 있기 때문에 이 일을 계속한다"면서 "내 목표는 1500년 전 성왕이 부여로 도읍을 옮긴 뒤 건설한 왕궁을 찾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10여 분의 제한된 인터뷰 시간, 기사의 제목을 뽑았으면 한 마디라도 더 들어서 살을 붙여야한다. 속사포처럼 또 다른 질문을 쏟아냈다.

- 호미질을 하면서 찾아낸 백제 유적의 가장 큰 특징은 뭐라고 할 수 있죠?
"예술성이죠. 기와 한 장을 만들더라도 꼼꼼하게 잘 만듭니다. 전문가적 장인 정신이 존경스럽습니다."

- 그런데 연구원님이 고고학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땅을 파는 게 재미있고, 그 속에서 나오는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발견하는 게 신기했습니다. 오늘도 땅을 파면서 과거 사람들의 삶의 지혜를 발굴하고 현대인들에게 전달해주고 싶어요."

그는 한국판 인디아나 존스였다. 오늘도 어딘가에서 호미나 곡괭이로 땅을 파면서 물음표를 던지고 있을 것이다. 깨진 기와 조각이라도 발견하면 잠시 일손을 멈추고 땅 위에 철퍼덕 앉아서 물음표를 던지고 있을 그의 모습이 그려진다. 그런데 그는 인터뷰를 마친 뒤 나에게 되물었다.

"혹시, 이런 데(인터뷰 하는데) 선수 아니세요?"
"그냥 시민인데요. 너무 고맙습니다."
  
그가 나를 알아본 것 같아 순간 우쭐했는데, 녀석들은 그 말의 의미도 모른 채 '인디아나 존스'의 얼굴만 쳐다봤다.
  
한국판 인디아나존스의 인터뷰 기사. '고고학은 물음표다'.
 한국판 인디아나존스의 인터뷰 기사. '고고학은 물음표다'.
ⓒ 김병기

관련사진보기


고고학은 '물음표'... 취재도 마찬가지

그의 말처럼 취재 과정도 고고학이 던지는 물음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들에게 취재의 기본을 가르쳐주려고 했는데, 그가 주말에 나와서 무료로 아이들에게 취재의 정석을 가르쳐줬다. 발굴 현장에서처럼 취재 현장에서도 물음표를 계속 던져야 한다. 땅을 파고 들어가서 호미질과 붓질을 하면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미리 예습을 하고 왔다면 질문의 수준도 그만큼 높아지고 취재원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여행지에서 실천하기란 쉬운 게 아니다. 문제는 시간이다. 여행지에 대해 예습할 시간도, 여행지에 와서 치밀하게 사물을 관찰할 시간이 많지 않았다. 또 집요하게 물음표를 던질 정도로 집중력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안도 별로 없었다. 볼거리도 많고, 놀거리도 많은 데 한곳에 눌러 앉으면 녀석들이 대뜸 얼굴을 찡그리면서 한마디씩 했다.

"아빠! 이젠 다른 데 가요."
"엄마! 다리가 너무 아파요."

녀석들은 취재기자가 아니라 쉽게 싫증을 내는 평범한 아이들이었다. 여행지에서 만드는 가족신문의 한계이다. 하지만 취재수첩에 기록만 하고 다닌다면 아이들에게 여행은 악몽이다. 게다가 해수욕장과 눈썰매장이 코앞인데, 취재수첩을 들고 기록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취재열기가 뜨뜻미지근하다고 해서 심하게 다그칠 수 없었다.

하지만 곧바로 다음 행선지인 국립부여박물관으로 강행군 했다. 2박 3일간의 여행일정이어서 볼 것은 많은데 시간이 없었다. 녀석들이 손톱을 물어뜯으며 선택한 곳이다. 물론 엄마 기자가 좀 보태기는 했다.
    
가족신문 2호 여행 경로>

2007년 8월 3일 : 부여 관북리 백제유적 발굴 현장->국립부여박물관
2007년 8월 4일 : 부소산성->고란사->낙화암->정림사지 박물관->궁남지
2007년 8월 5일 : 귀가




○ 편집ㅣ최규화 기자



태그:#가족신문만들기, #가족여행, #10만인클럽, #부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